Pathology of the Rotator Cuff i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 동반된 회전근 개 병변

  • Yoo, Jae-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Ahn, Jin-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ae-H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ang, Moon-J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eo, Hee-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l, Eun-Ji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유재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안진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재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장문종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서희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설은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i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with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or ultrasonography (USG), and to see any differences in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to December 2005, 80 consecutive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with either MRA or USG.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xamination. Evaluation were focused on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especially supraspinatus tendon. Results: Small (less than 1 cm) full-thickness SSP tendon tear were seen in 6 patients (MRA 4, USG 2, 8%) and partial-thickness SSP tendon tears in 21 (MRA 12, USG 9, 26%). In addition, supraspinatus tendinopathy were seen in 15 patients (MRA 7, USG 8, 19%). Overall, various SSP pathologies were reported in 42 patients (53%) of the study objects (MRA 23, 68% and USG 19, 41%). Subscapularis tendon partial tears were reported in 9 patients (MRA 6, USG 3, 1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in detecting rotator cuff pathologies (p>0.5). Conclusion: Nearly one half of the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showed various supraspinatus tendon pathology in MRA or USG. Although MRA group showed slight higher percentage of associated rotator cuff pathology than USG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could be attributed to better resolution capacity of MRA than USG.

목적: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자기 공명 관절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및 초음파 (ultrasonography, USG)를 이용해 평가해 보았으며, 검사 소견에 있어서 MRA 및 USG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한 연속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무작위로 나누어 MRA 혹은 USG를 시행하였으며,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서 극상근을 중심으로 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여섯 예(MRA 4, USG 2, 8%)에서 극상근에 소규모(1cm 이하)의 전층 파열을 보였으며 극상근의 부분 파열은 21예(MRA 12, USG 9, 26%)에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극상근의 건 병증(tendinopathy)이 15예(MRA 7, USG 8, 19%)에서 관찰되어, 총 42예(53%)에서 극상근 병변을 동반하고 있었다(MRA 23, 68% USG 19, 41%). 견갑하근의 부분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9예(MRA 6, USG 3, 11%)로 관찰되었다. 두 군간 극상근 병변의 동반 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한 MRA 또는 USG검사 상, 약 반 수(53%)의 환자들에서 극상근의 병변이 동반된 소견을 보였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USG군 보다 MRA군에서 다소 높은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소견을 보였으며 이는 MRA가 USG보다 해상도가 더 뛰어 난 데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