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 Title/Summary/Keyword: 유지보전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도시권하천의 수자원 최적관리방안

  • 심순보;이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6.07a
    • /
    • pp.179-180
    • /
    • 1986
  • 우리나라 도시권 하천의 특성은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대하천의 분류를 끼고 그 중·하류에 위치하여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역활을 하는 다목적 댐을 가진 경우와, 큰 하천의 지류이거나 자체 유역내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능력을 가진 시설을 갖지 못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수도권 지역의 한강 분류와 부산권의 낙동강 하류, 대청댐 하류-금강 하구언 지역 등은 모두 다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조절 능력을 가진 다목적 댐을 가진 도시권을 가지고 있다. 한편 대구권은 낙동강 제1 지류 금호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주권은 금강의 지류인 무심천 하류에 대전권은 대전천 하류 및 갑천 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류에 수자원 조절용 댐이나 도시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적정 시설물이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도시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인 문제점은 해당 도시로부터 많은 각종 용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성이 크다는 것이다. 직상류에 팔당댐이 운용되고 있는 한강의 경우, 팔당댐은 한전에 의하여 발전전용댐으로 건설되어 저수 및 갈수기엔 하류의 각종 요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천 유지 용수의 공급을 현재로서는 제도상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금강 하류의 인접지역(전주, 이리, 군산 등)에 광역 금강 상수도 망으로서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대청댐으로서는 하류지역의 요구에 맞추어 댐 운영을 할 수 있는 여건에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구권이 있는 금호강은 상류에 영천댐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유역 변경하여 포항 지역에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막상 금호강 자체유역에는 안정된 하천 유지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genetic diversity of a riparian marginal species, Aristolochia contorta (수변 경계종인 쥐방울덩굴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 Nam, Bo Eun;Park, Hyun Jun;Son, Ga Yeon;Kim, Jae G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2 no.2
    • /
    • pp.100-105
    • /
    • 2020
  • Northern pipevine (Aristolochia contorta) commonly inhabits marginal areas between waterside and terrestrial vegetation. In particular, A. contorta is ecologically important in the marginal areas as a food plant of dragon swallowtail butterfly (Sericinus montela), which is designated as vulnerable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long-term sustainability of the plant population, assessment of the genetic diversity of exist populations should be conducted. Genomic DNA of A. contorta leaf samples were extracted from four populations where the vigorous growth were observed in the South Korea. Intra-population genetic diversity and inter-population genetic distance were assessed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ith five polymorphic random primers. Overall genetic diversity was lower, compared to other wetland species (h: 0.0607 ~ 0.1401; I: 0.0819 ~ 0.1759), while GP showed the highest intra-population genetic diversity. Despite of the geographical distance, GP showed the larger genetic distance from other populations. This result seemed to be caused by the fragmented habitat and lower sexual reproduction of A. controta. Mixture of the different source populations and construction of the proper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shade and physical support for sexual reproduc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conservation of A. contorta population.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e Using the Management Condition Evaluation of Public Facilities in Japan (일본공공시설의 시설운영관리평가를 통한 실태조사연구 -지방자치단체간 비교분석을 통하여-)

  • Yi, Sang-Jun;Komatsu, Yuki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843-846
    • /
    • 2008
  • There are a lot of municipalities that do not grasp even by the current state of having public facilities though various management&maintenance researches have been done.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make it to the foundation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of the municipality in the future through investigating,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management&maintenance of the public facilities. Tn the beginning, I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of the community facilities of the municipality. To read the current state of the management condition of the object facilities from the collection data, I applied the radar chart that used the deviation value of the evaluation index and PPM matri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discovered that there is a municipality thought to having efficient facilities maintenance management.

  • PDF

Estimation of Suitable Flow Needs for Maintaining Fish Habitat Conditions Us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Simulation (수량.수질 모의치를 이용한 어류 서식 조건 유지에 필요한 적정 유량 산정)

  • Kim, Gyu-Ho;Jo, Won-Cheol;Jeon, Byeo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1
    • /
    • pp.3-14
    • /
    • 2000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uitable flow in need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fish habitat in running water ecosystem, which has very important status in the instream flow for stream environment. Year, monthly low flows are estimated to properly maintain the fish habitat. Water depth and velocity are simulated, and also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DO) are predicted at gradually varied flow using estimated low flows. These simulated conditions for each low flow are graphically compared with the requirements to maintain fish habitat at each life stage. These processes were applied to 3 riffle transects located at Dalcheon(Dal stream) in the South Han river. Pirami (Zacco platypus)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fish species in Dalcheon. It was shown that the suitable flow for maintaining the representative fish habitat at each life stage depends on hydraulic conditions rather than water quality conditions, and the flow ranges from the 10-year minimum low flow to consecutive 7-day 2.33-year low flow.w flow.

  • PDF

Applicability Estimation of LID Techniques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평가)

  • Yeon, Jong Sang;Kim, Eung Seok;Shin, Hyun Suk;Jang, Yo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4-444
    • /
    • 2015
  • 현제 도시유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직접 유출량 증가, 지하수자원 고갈, 침투량 감소, 증발산량의 감소 등의 물 순환 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체계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개발 및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LID는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로써 유역 내 소규모의 LID 요소기술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저류, 체류, 방지 및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는 궁극적 목표로 계획단계에서 개발이전의 수문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 영향최소화, 유출이동시간 유지, 추가유출량 감소, 오염발지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된다. 현제 LID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해되어지고 있으나, LID 요소기술별 시공 비용, 유지관리 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LID요소기술별 적용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나무화분 여과장치, 옥상녹화, 빗무정원,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빗물통, 식생수로 등의 총 7가지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시공비용, 유지관리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촐 5가지 평가인자를 Entropy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다기준의사결정 방법 중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현제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별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옥상녹화가 첫번째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침투트렌치, 나무화분여과장치,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통, 빗물정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LID를 적용할 경우 옥상녹화, 침투트렌치, 나무화분 여과 장치 등의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및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국내 LID 요소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별 신뢰도 높은 LID 요소기술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 내 시공된 LID 요소기술을 계측하여 비점오염원 및 우수유출수 저감효율, 시공 비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수행되어 한다고 판단된다.

  • PDF

Study on Amen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Multi-functionality on the Grassland (초지형 축산의 어메니티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eon, D.W.;Lee, S.Y.;Park, M.S.;Park, H.S.;Hwang, K.J.;Yun, S.H.;Ko, M.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7 no.4
    • /
    • pp.297-312
    • /
    • 2007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economical value of Jeju grassland and validity of its preservation, and draw up several measures to support. To measure its economical value, this study examined its environmental value and social and cultural value. For environmental value, this study used replacement method while it applied CVM method, a widely used method, to assess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two-level two-best choice selection method, which ask questions by assuming virtual circumstances to avoid reflecting some biased opinions. Jeju grassland has multiple functions-environmental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soil corrosion and flood, handling animal excrement, and purifying air, and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such as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roviding recreation places. From the results of the feasibility study, Jeju grassland's annual multiple functions are assessed to have a total 397,115418,995 million won worth.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Jeju visitors recognize Jeju grassland for its functions to contribute to public interests. That is, they think it can provide attractive views and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places and promote emotional development. Especially, many people presented their ideas that it be continuously preserved since it is worthwhile for us and our next generations. To preserve grassland's cultural resource, which create a huge economic value like this,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a certain amount of financial aid for turning to a better grassland environment and its maintenance to realize environment-friendly livestock farming on Jeju Island and promote its tourism industry and consequently, add more value to Jeju.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and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비무장지대(DMZ)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자연보호지역)

  • Cho, Do-so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1
    • /
    • pp.272-287
    • /
    • 2019
  •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was established in 1953 by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It extends from the estuary of the Imjin River, in the west, to the coast of the East Sea. It is 4 km in width and 148 km in length. However, the ecosystems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located between the southern border of the DMZ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CCL) and the CCZ in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and the Yellow Sea are similar to those in the DMZ, and, therefore, the ecosystems of the DMZ and the CCZ are collectively known as the "ecosystems of the DMZ and its vicinities." The flora in the DMZ and its vicinities is composed of 1,864 species, which accounts for about 42% of all the vascular plant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ffiliated islands. Conducting a detailed survey on the vegetation, flora, and fauna in the DMZ is almost impossible due to the presence of landmines and limitations on the time allowed to be spent in the DMZ. However,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Munsan-Gaesong railroad reconstruction project, it was possible to undertake a limited vegetation survey within the DMZ in 2001. The vegetation in Jangdan-myeon, in Paju City within the DMZ, was very simple. It was mostly secondary forests dominated by oaks such as Quercus mongolica,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The other half of the DMZ in Jangdan-myeon was occupied by grassland composed of tall grasses such as Miscanthus sinensis, M. sacchariflorus, and Phragmites japonica.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the DMZ may be covered with pristine mature forests due to more than 60 years of no human interference, the vegetation in the DMZ was composed of simple secondary forests and grasslands formed on former rice paddies and agricultural fields. At present, the only legal protection system planned for the DMZ is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ich ensures that the DMZ would be managed as a nature reserve for only two years following Korean reunification. Therefore, firstly, the DMZ should be designated as a site of domestic legally protected areas such as nature reserve (natural monument), scenic site, national park, etc. In addition, we need to try to designate the DMZ as a UNESCO Biosphere Reserve or as a World Heritage site, or as a Ramsar international wetlan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nomination as a world heritage site, we can emphasize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value of the wetlands converted from the former rice paddies and the secondary forests maintained by frequent fires initiated by military activities. If the two Koreas unexpectedly reunite without any measures in place for the protection of nature in the DMZ, the conditions prior to the Korean War, such as rice paddies and villages, will return. In order to maintai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ecosystems in the DMZ, we have to discuss and prepare for measures including the retention of mines and barbed-wire fences,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roads in the form of tunnels or bridges, and the maintenance of the current fire regime in the DMZ.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a Rare and Endemic, Spring Ephemeral Plant Corydalis filistipes Nakai of Ullung Island in Korea (울릉도 희귀.특산 식물 섬현호색의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

  • Kim, Jin-Seok;Yang, Byeong-Hoon;Chung, Jae-Min;Lee, Byeong-Cheon;Lee, Jae-Che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29 no.3
    • /
    • pp.247-252
    • /
    • 2006
  • For the spring ephemeral and myrmecochorous perennia, Corydalis filistipes Nakai (Fumariaceae), rare and narrow endemic to Ullung Island in Korea,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4 subpopulations of the species were investigated with allozyme markers. Levels of genetic diversity (A=1.73, P_{95%}=61..2%, Ho=0.201, He=0.167)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endemic species with widespread distribution range, but considerably higher than other endemic species with similar life history traits isolated in island. The moderate level of genetic diversity within subpopulations in C. filistipes is characteristic of the species with predominantly outcrossing, myrmecochorous seed dispersal by dual function of the elaisome and mode of sexual and asexual reproduction by the cleistogamy. The analysis of fixation indices showed an overall excess of heterozygotes (mean FIS=0.1889,FIT=0.1226) relative to H-W expectations. About 5.6% of the total genetic variation was found among subpopulations (FST=0.0557). The strategies of reaso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nd the maintenance mechanism of genetic diversity of Corydalis filistipes Nakai, endemic plant species in Korea were discussed.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of a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Population: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금개구리 (Rana chosenica) 개체군의 생존분석: 개체군의 효과적인 보존과 야생복귀를 위한 제안)

  • Cheong, Seok-Wan;Sung, Ha-Cheol;Park, Dae-Sik;Park, Shi-Ry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7 no.1
    • /
    • pp.73-81
    • /
    • 2009
  •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of a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population at Cheongwon-gun, Chungbuk, in South Korea was conducted and we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of the species. Simulating a developed model over 1,000 times predicted that the population will exist over 30 years with a relatively low growth rate of 0.113, but with a high probability of extinction as 81.1%. Population growth and extinction probability were the most greatly depended on the rate of successful metamorphosis. In the case of outbreak of amphibian diseases such as Chytridiomycosis and Ranavirus, the population will be easily extinct within 4 years with 100% probability. In a habitat of which carrying capacity is 200, to successfully re-introduce an extinct population, it is initially needed to put 100 individuals of which 83% is males and its age structure is normal-distributed. If we additionally conducts artificial supplementation of 10% individuals every 2 years from 4 years to 10 years after initial reintroduction, the population will become a stable with 0.297 growth rate and 0.290 extinction rate. Our results are the first case of amphibian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in Korea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effectiv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plans for endangered Gold-spotted pond frog.

The Flood Elevation Reduction Effect by Sluice Operation at Multistage Movable Weir System (다단식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시스템에서 수문개도 조작에 의한 홍수위 저감효과)

  • Lee, Ji Haeng;Han, Il Yeong;Ra, Su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7-367
    • /
    • 2016
  • 우리나라는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특성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의 고정보를 설치하여 하천수위를 유지하고, 취수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고정보는 유수방해, 토사퇴적으로 인한 홍수위 상승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4대강에는 다양한 형상과 운영방식이 적용된 가동보가 설치되었으며, 소하천과 중규모 하천 역시 하천기능의 복원을 위한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천관리의 목표는 하천의 이수, 치수 및 생태환경 기능의 종합적이며, 유기적인 관계를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각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우선, 토사의 퇴적을 사전에 예방하고, 퇴적된 토사는 유수에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방류 형식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홍수기에는 통수가 원활하도록 보의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야 하는 한편, 하류구간이 범람하지 않도록 상류구간에서의 완충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다단형태의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다단형태의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시스템은 경사 하천에 가동보에 의해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을 보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량 만큼만을 수문 하단 개도부를 통하여 방류하도록 하여, 일정량이 항상 저류되면서 퇴적토사가 배출되도록 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지류인 치성천 9Km 구간을 대상으로 HEC-RAS 4.1 모형을 적용하여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하류부터 상류구간까지 다단형태로 설치하였을 경우, 하천의 저류와 분배기능 회복에 따른 홍수위 저감 효과를 고정보 설치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소통 능력을 검토하기 위해서 연구대상 구간을 200년 빈도의 확률홍수량 별로 10개 구간으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고정보 설치의 경우에는 여유고 기준을 초과하는 부분이 나타났으나, 다단식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설치하고, 수문개도를 조작하여 운영할 경우에는 여유고 기준을 초과하는 부분이 없어, 홍수위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홍수기이후에도 하천유지용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치 및 유지관리의 비용측면과 용수확보 및 홍수피해 절감의 편익측면에서도 50년 운영주기의 비용편익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환경보전과 친수공간 확보측면의 편익성을 추가로 고려할 경우, 경제성은 충분히 확보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