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지보전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timation of River Maintenance Water in the Geum River Watershed (금강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 안상진;김종섭
    • Water for future
    • /
    • v.24 no.1
    • /
    • pp.83-92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river maintenance water of the main gauging stations in Geum river watershed. The estimation methods of river maintenance water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views of supply and demand. The definition of river main-tenance water in this paper, is the maximum value between mean drought flow and environmental conserving flow. In order to estimate river maintenance water, the mean drought flow estimated at the upstream of the Daecheong Dam but the downstream of the Daecheong Dam estimated mean drought flow and water quality control flow use of QUAL2E Model. In result, a mean drought flow showed large value at the Gong ju and Gyu am station as the downstream of the Daecheong Dam. The river maintenance water is 33.82m3/sec at the Gong ju station, 51.51m3/sec at the Gyu am station. Therefore, an estimation of the river maintenance water in the Geum River watershed concluded suitability which is determined mean drought flow.

  • PDF

The Study on the Habitat Change of Nannophya pygmaea Ramber in the Abandoned Paddy Field Ulsan City and Its Management (울산시 산림휴경지의 꼬마잠자리 서식지 변화 및 관리방안 연구)

  • Kim, Dong-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6
    • /
    • pp.867-877
    • /
    • 2011
  •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habitat change and the insects and flora that live in the abandoned paddy field in Daun-dong Jung-gu, Ulsa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Nannophya pygmaea Ramber from June 2008 to July 2011. In case of the insects, 53 species in 32 families of 10 orders were identified, with Odonata, Hemiptera and Coleoptera being the three dominants (18.9% in total). For flora, 60 species in 30 families of 23 orders were identified, with Cyperaceae and Gramineae being the dominants(13.3% and 11.7%, respectively). The influx of woody plants in the surveyed area led to the rapid progress of succession and the carnification of the habitats for aquatic plants. Besides, the number of phytophagous insects and mountainous insects were increasing. Consequently, the habitat of Nannophya pygmaea Ramber has been relocated to the place, whose water depth remains unchanged at 2.5~9.5cm and water space is open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duct long-term monitoring and appropriate management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habitats to continuously conserve and maintain the habitats of Nannophya pygmaea Ramber.

Limits and improvements of the river master plan with the change of public water management system (물관리 체계 개편에 따른 하천기본계획의 한계 및 개선방안)

  • Lee, Du H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6
    • /
    • 2020
  • 하천관리정책은 국가의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각 나라에 맞는 고유한 방향으로 정착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치수와 개발이 중심이 있는 되는 일본식 하천관리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왔으며 개별 하천의 관리에 기본이 되는 하천기본계획체계는 일본의 신하천법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물관리체계는 2019년 6월에 시행된 물관리기본법에 의해 수량과 수질 통합관리 체계로 크게 개편되었다. 현행 물관리체계에서는 수질과 수량은 관리주체가 통합되었으나 하천관리는 하천시설물과 하천수의 관리주체가 분리되어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주요 선진국은 하천관리에서 치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하천의 치수관리에 대한 정책적 중요도는 떨어지고 있으며 환경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천기본계획은 개별 하천에 대한 치수, 이수, 환경의 유일한 종합적 계획으로 광범위한 조사/분석/계획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타계획과의 연관성이나 활용성이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하천관리정책 수립, 일관성 있는 치수, 이수, 환경 계획의 수립, 정부의 효율적인 하천관리 실행 등의 관점에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한계를 살펴보고 변화하는 기후 및 사회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하천관리체계를 검토하고 도로, 상하수도 등 유사 분야의 계획 체계와 하천계획 체계를 비교하였다. 물관리 체계 개편을 고려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주요 논점을 정리하고 현행 법체계와 사회환경을 고려하여 하천기본계획이 실질적인 하천에 대한 종합적 계획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체계 개편 방안과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장단기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차세대 해안공간확보기술

  • Gwon, Hyeok-Min;An, Gyeong-Mo;Yun, Jong-Tae;Ryu, Gi-Jeong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7 no.1 s.24
    • /
    • pp.19-35
    • /
    • 2007
  • 본고는 건설교통부의 지역특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차세대 해안공간확보기술"에 관하여 일반 적인 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과제 "차세대 해안 공간확보기술"는 2005년 06월 30일부터 2010년 07년 29일 까지 진행 예정이다. 과제의 연구를 위하여 주관기관 1개, 협동연구기관 4개, 참여기업 2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구비는 약 95억원이다. 2007년 3월 현재 2차년도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본 과제는 해안공간확보를 위하여 방(防) 용(用) 보(保)를 목표로 하고자 한다. 즉, 해안을 방어, 이용, 보전을 대상으로 각각의 세부과제를 분할하였다. 세부과제는 방어에 해당하는 제1세부과제인 해안저지대 방호기술, 이용에 해당하는 제2세부과제 해안매립공간 확보기술과 제3세부과제 해안 레저공간 확보 기술, 보전에 해당하는 제4세부과제 해안유지 및 확보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과제는 기술적 목표 외에 기반구축, 기업지원, 정책지원, 지역기여, 연계활동(홍보활동, 국제협력, 창업지원) 등의 의무적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단은 언론을 통한 홍보, 지방정부에 대한 정책자문, 참여자 및 기술자를 대상으로 워크샵, 심포지움을 통한 교육 및 홍보, 일본 공항항만연구소와 방문 세미나개최, 요코하마국립대학 시바야마 연구실과 국제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안공간학회"설립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A Game Theoretic Approach to the Container Quay Construction in Busan (게임이론 접근법에 의한 부산항 컨테이너부두의 비용배분에 관한 연구)

  • Seong, Suk-Gyeo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4 no.3
    • /
    • pp.23-3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rational cost allocation method that is efficient and fair. Cost allocation by taking cooperative game theory shows fair allocation considering marginal cost by ship type. Current berth occupancy charging method can not recover quay construction costs. Because it levies charges according to berthing time and tonnage of ships without considering the recovery of quay construction costs. And there are also cross subsidies among ships. This paper suggests the cost allocation method of cooperative game theory as a fair and efficient method.

  • PDF

The recent trend of th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and the role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ology (최근의 토양지하수환경 정책동향과 물리탐사기술의 발전과제)

  • Kim Young-Woong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9a
    • /
    • pp.5-18
    • /
    • 2000
  • 토양지하수환경분야와 관련된 제도들이 최근 개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조사단계 및 처리단계이후의 유지관리분야에서 지구물리탐사분야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특히 토양지하수오염과 관련하여 오염유발가능시설의 80%가 농촌지역에 산재되어 있으나, 그 규모와 오염정도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지하수의 수질은 점차적으로 저질화 되어가고 있으나 비가시적인 이유로 인하여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또한 오염조사 및 오염복원 등이 제도적으로 뿌리내리지 못해 오염원의 범위, 정도 등을 확인하는데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관계법령의 개정을 통해 보다 엄격하고 강화된 규제 및 책임을 법제화하는 일은 현재와 미래의 환경보전을 위해 다행한 일이라 하겠다. 특히, 지하수오염 등은 국가적인 불행한 일이므로 향후 토양지하수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오염인자에 대한 정밀실태조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토양환경보전법과 지하수법의 개정취지를 제대로 살리면서 환경오염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지구물리탐사분야와 지질조사분야에서의 다양하고 정밀한 조사를 위한 방법들과 내용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오염부지 특성조사를 위한 절차 및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법제화되어 할 것이다.

  • PDF

National Plan and Vision on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in the 21th Century (21세기 농촌정비사업의 계획과 전망)

  • 김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0a
    • /
    • pp.1-24
    • /
    • 2000
  • 21세기는 생명, 환경, 정보를 주제로 새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20세기 절대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성장제일주의의 경제개발정책은 짧은 시간에 성공적으로 달성되어 높은 문화수준과 산업사회를 이룰 수 있었다. 한편, 국민생활향상과 산업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해왔던 수자원개발은 동강에서, 시화호에서, 지리산, 인천 앞바다에서 개발 부작용으로 생태와 환경이 심한 몸살을 앓기 시작하고 있다. WTO에 의한 시장개방으로 생산구조가 붕괴되고 농촌지역이 공동화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누군가는 농촌에서 농사를 짓고 살아야만 국가의 산업구조가 유지되고 아름다운 국토의 자연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 농촌은 식량생산을 위한 공간과 인간생활을 위한 공간 등 두 가지 기능을 가진 공간이다. 쾌적한 농촌을 이룩하려면 농업생산성을 향상시켜 농업소득을 높이고, 농공단지의 활성화와 농촌관광과 휴양시설에 의한 농외소득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농업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은 물론 홍수 및 토양침식 억제, 수자원함양, 수질정화, 대기정화, 생물 다양성 등 환경보전적 기능이 WTO에 대응하여 쌀시장을 지킬 수 있는 논리로 새롭게 평가받고 있다. George Brokeway (경제인의 종말, 1991)의 “ 이윤극대화라는 경제원칙이 인간의 자연파괴와 기상이변 앞에 모순을 드러내고 있어 경제학의 인간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지적에 비교우위론자들은 다시 한번 귀기울여주기 바란다.

  • PDF

Diagnosi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a Areas and Improvement of Impact Assessment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 Jun, Eun Ju;Yi, Yong Min;Lee, Dae In;Kim, Gui You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8.06a
    • /
    • pp.143-143
    • /
    • 2018
  • 최근 3년간 환경관리해역(환경보전해역 및 특별관리해역)에서 이루어진 해역이용협의 검토 건수는 총 60건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보전해역에서는 2015년 9건, 2016년 7건, 2017년 3건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별관리해역에서는 2015년 12건, 2016년 13건, 2017년 16건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환경관리해역의 개별사업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공구조물 설치사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항만 어항개발, 연안정비 및 해수 인 배수 사업유형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관리해역에서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자료를 참고하여 생태기반 해수수질 평가지수(WQI)와 경년별 수질변화경향을 비교한 결과, COD는 뚜렷한 증감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TN과 TP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관리해역인 광양만과 마산만 및 환경보전해역인 가막만에서는 빈산소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이용 개발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등 해양환경부문 환경영향평가시에는 충분한 수질변화에 대한 실태분석 및 사업추진에 따른 수질영향을 철저히 진단해서 오염원관리에 대한 대책이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각 환경관리해역의 지정 목적에 따른 유지 수질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사업에 따른 협의 평가과정에서의 검증을 위하여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수질 및 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결과에 대한 정도관리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eplacement Model Following the Expiration of NFRRW (비 재생무료교체-수리보증이 종료된 이후의 교체모형)

  • Jung, Ki-Mu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6
    • /
    • pp.1147-1156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replacement policy following the expiration of a non-renewing free replacement-repair Warranty(NFFRW). The non-renewing free replacement-repair warranty is defined and then the maintenance model following the expiration of the NFRRW is studi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s the criteria to determine the optimality of the maintenance policy, we consider the expected cost rate per unit time from the user's perspective. All maintenance costs of the system incurre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warranty are paid by the user. Given the cost structure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system, we determine the optimal maintenance period following the expiration of a NFRRW. Finally, the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in Mt. Cheonchuk (천축산 일대 금강소나무림의 군집구조 및 종조성)

  • Byeon, Jun Gi;Park, Byeong Joo;Joo, Sung Hyun;Cheon, KwangIl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3 no.1
    • /
    • pp.1-1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Stand in Mt. Cheonchuk (653 m).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3. 74 plots (20×20 m) were set up, 5 herb layer plots (3×3 m) were constructed for each plot, and there, Diameter at Breast Heigh t(DBH), height, environmental factor, annual growth were measured.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as following; 66 family, 165 genus, 211 species, 2 sub species, 29 variety, 6 form 248 taxa. Results of cluster analysis for P.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3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Quercus mongolica (P-1), Quercus variabilis (P-2) and Quercus aliena-Stephanandra incisa (P-3). There were significant environmental factors that organic layer, annual growth, CEC, total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and pH for each community. As a result of DCA, P-1 and P-2 were distributed large r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but relatively limited in P-3. Distributions of herb layer were affected by sand, cation exchange capacity, silt and total nitrogen. Results of MRPP test for herb layer communities, it was significantly analyzed (A=0.003, P<0.008).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ly recorded in P-3 and influenced by cation exchange capacity, total nitrogen, annual growth in consequence of NMS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