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지관리 체계

검색결과 1,389건 처리시간 0.029초

정보의 기밀등급 분류 방법의 개요

  • 김세헌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4-129
    • /
    • 1991
  • 정보 보안의 요소는 인가되지 않은 사람이 시스템에 액세스(Access)하거나 인가없 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액세스 통제이다. 이를 위해서 정보의 기밀정도에 따라 보호정 도를 결정하는 기밀등급분류가 이루어져 정보를 선택관리하는체계가 이루어 져야한다. 정 보를 선택관리하기 위해서는 보호할 만한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중요정보를 어떤 방법 으로 유지, 관리, 이용할 것인지를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기밀등급 의 체계적인 분류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PDF

組織体における知蕙と経驗の伝承 - デジタル化時代における我が國の記錄管理實態と今後の課題 -

  • 호판 용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2-204
    • /
    • 2002
  • 정보기술혁명에 의해 대량의 정보와 지식이 다양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지금,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조하고, 인류 기억의 보고의 풍부한 전승을 꾀하여, 이것에 의해 사회의 진보와 발전에 공헌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디지털 시대에 기록관리의 역할이 광범위하게 논의되어야 하며, 다면적으로 검토, 연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이 필름 전자매체에 관계없이, 기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장기에 걸쳐 유지관리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지금까지는 민간기업이나 각 관청에서 일시적으로 기록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였으나, 대부분 일시적으로 활용하였을뿐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시행하여 온 기관이 적은 실정이다. 앞으로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기록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유지가 더욱 더 필요한 것이다. 또한 기록관리에 대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본 한국 중국 등 극동아시아지역에 있어서의 기록관리학회가 긴밀한 협력관계에 구축하고, 기록관리의 보급과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목표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자산관리개념을 접목한 네트워크 방식의 도로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etwork Level Management System of Road Facilities Based on the Asset Management Concept)

  • 지승구;서종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46-154
    • /
    • 2011
  • 최근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공공투자는 신규건설에 대한 지출이 감소하고 유지관리분야에 대한 지출이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도로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분야에서도 선진 개념인 자산관리 방법론이 접목되고 있으며, 보다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도로관리주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산관리개념의 유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산편성의 효율성을 높이고, 도로망 전체를 고려한 네트워크 방식의 합리적인 유지보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다수의 시설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 및 방법론을 정립하였다.

SMART (Software Management Assist ant and Reference Tool)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Software Management Assistant and Reference Tool))

  • 진기성;원종호;김준;김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367-369
    • /
    • 2002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경쟁력 프로젝트의 생명 주기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계적인 관리는 경쟁력 있는 프로젝트의 개발 및 유지를 위한 하나의 전략적 기술(strategic technology)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생명 주기 전반에 걸쳐 프로젝트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고품질의 결과물을 생성하고, 이를 통한 결과물의 기술 및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당 연구부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관리 및 지원도구인 SMART (Software Management Assistant and Reference Tool) 시스템을 소개한다.

  • PDF

공종분류체계를 활용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Urban Metro Maintenance Facility System Using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 현지훈;양병수;문성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9-77
    • /
    • 2012
  • 건설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생성부터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사업관리정보시스템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은 설계를 포함하여 시공단계에서 사업관리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유지관리와의 연계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분류와 도시철도시설물 공종분류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유지관리 활동에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유지관리분류와 공종분류를 연계함으로써 시공정보와 유지관리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시 필요한 시공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과 유지관리정보시스템(MMIS,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연동할 수 있으며, 시공정보를 건설사업의 라이프싸이클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생애비용을 추적관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정보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했으며, 업무적용 시 타당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효율적인 항로표지시설 관리를 위한 거점등대 중심의 광역관리체계 구축 연구

  • 국승기;박혜리;정해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4-346
    • /
    • 2015
  • 항로표지시설(Aids to Navigation, AtoN)은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및 효율적인 항해를 위하여 설치 운영되는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총 4,722기의 항로표지시설을 해양수산부 산하 해사안전국 항로표지과를 중심으로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11개의 지방해양수산청을 두고 항로표지시설 설치 유지 및 보수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각 직무에 대한 명확한 업무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지방청별 관리해역을 기준으로 항로표지시설을 관리하고 있어 실질적인 업무 상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시설을 인적요소와 물적요소로 구분하여 전체 항로표지시설 관리체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업무량 기반의 항로표지시설 관리 인적요소 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통한 거점등대 중심의 효율적인 물적요소 관리체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WBS 기반의 국책 건설사업 기록물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WBS)

  • 정기애;정국환;김창하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1호
    • /
    • pp.173-200
    • /
    • 2010
  • 정부 주도하에 정책적으로 이루어지는 국책 건설사업은 국가의 사회간접자본시설에 주로 집중되며 상당한 국가예산이 투입되고 관련 분야의 전문적 역량이 총체적으로 투입되는 장기적 사업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기반시설은 반영구 혹은 영구적 국가 자산으로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기록물 또한 해당 시설물의 수명기간 동안 보존 활용되어야 한다. 또한 국책사업 특성상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유기적 협의체계를 지원하고 오랜 기간 동안 일관된 문서 및 기록관리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관별 특성을 최대한 배제한 사업 역무 위주의 표준화된 분류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책사업 기록물의 분류체계는 사업 자체 업무 분석을 근거로 사업 업무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를 기반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WBS는 프로젝트 관리(PM) 분야에서 통상적인 사업관리 기법으로 업무구분을 위해 사업초기에 수립되며,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산출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팀이 실행할 작업을 인도물 중심으로 분할한 계층 구조체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WBS에 기반한 국책사업 기록물 분류체계 수립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 관리, 행정기록물 중심의 기록물 분류 체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