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지관리 의사결정

Search Result 29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BIM (BIM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방안)

  • Nah, Hei-Sook;Choi, Won-Sik;Kim, Nam-Gon;Moon, Hyoun-Seok;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5-436
    • /
    • 2013
  • 최근 유지관리 단계에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시설물 유지관리 효율성과 성능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현행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에서는 준공도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유지관리 단계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체계 미흡, 자산관리 체계 미흡 등으로 효율성 측면에서 유지관리 운영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3차원 형상정보 관리체계와 능동적 의사결정 모델 등 BIM기술을 활용한 유지관리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의 핵심인 BIM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시설물의 유지관리 정보의 통합관리와 시설물 성능관리에 대한 효율적 의사결정을 지금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Necessity of Maintenance of Railway Structure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LCC and LCA (LCC 및 LCA 통합에 근거한 철도시설물 유지관리 필요성 고찰)

  • Jin, Nam-Hee;Park, Joon-Oh;Park, Mi-Yu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11b
    • /
    • pp.37-44
    • /
    • 2008
  • 철도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전통적인 의사결정 방법은 구조물의 기술적인 측면 즉, 시설물의 안전성과 사용성 등을 만족시키는 조건하에 경제적인 측면 즉, 시설물의 생애주기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며, 생애주기 비용을 정량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LCC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이후로 지구온난화 등의 피해가 부각됨에 따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환경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을 도입하고 있으며, 환경 부하를 정량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LCA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유지관리 행위와 관련된 경제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서 LCC 및 LCA의 적용 방안을 고찰하고, LCC 및 LCA 결과로부터 시설물 유지관리 최적 방안을 결정하기 위한 의사결정 기법을 제안한다. 국내의 철도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철도시설물의 규모가 커서 유지관리 행위에 따른 경제적 및 환경적 파급효과가 큼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제안된 내용은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철도시설물 유지관리 방안을 선정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Waterfront Utilization Index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다기준의사결정을 이용한 친수공간 이용지수 분석)

  • Kim, Byeong-Chan;Kim, Man-Sik;Maeng, B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5-195
    • /
    • 2011
  • 국가하천의 주변지역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성 이용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그에 따른 이익을 하천의 정비 및 관리 등에 활용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친수구역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곧 시행될 예정이다. 친수는 단순히 하천 보전과 상대되는 수변이용의 측면이 아니라 하천의 경관, 생태계, 물 등 전체적인 하천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활동과 심리적 만족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활동 유형을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실무자들의 도움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간의 중요도를 합리적으로 부여하고자 전문가 집단 활용을 통한 다기준의사결정 기법 중 계층분석과정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이의 일반적인 형태인 ANP(Analytic Network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AHP는 의사결정의 목표 또는 평가기준이 다수이며 복합적인 경우, 다수의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기법으로 다수의 목표, 다수의 평가기준, 다수의 의사결정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하여 해결한다. 그러나 의사결정 문제는 대부분 요소들 간의 수평적 상호작용과 수직종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계층적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ANP는 AHP 분석을 확장한 개념으로 평가 요소가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 평가 요소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시스템 분석, 통합 및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 요소들 간의 비선형 관계를 모델화하는 복잡한 의사결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ANP는 AHP의 기본 공리인 독립성이 유지되지 않을 때도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방법이기 때문이다. AHP와 ANP 분석을 위해 평가기준은 하천특성, 생태환경특성, 인문환경특성, 경관, 유지관리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세부평가항목은 하천의 물리 생태학적 특성, 개발여건과 관련된 특성, 경관의 이용가치, 유지관리 용이성 등 20여 개로 나누었다. AHP와 ANP를 이용하여 친수공간 이용지수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두 기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ANP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최종 결정의 공정성이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oposed Information Management Plan for Build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Based on COBie-IM and BIM (COBie-IM 및 BIM 기반 건축물 점검 및 유지보수 정보관리방안 제시)

  • Lee, Chaewon;Kim,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1
    • /
    • pp.57-68
    • /
    • 2023
  • To maintain the normal function of an aging building, regular inspection, repair, and reinforcement must be performed. However, the form of i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generated in the current building maintenance stage still depends on inefficient methods. This causes an increase in cost and waste of time in building maintenan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COBie-IM document for build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by benchmarking COBie, and suggested a method of checking information by linking it with BIM. In addition,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designation of colors according to the damage grade of defects occurring in the building was suggested. Through this, we are able to systematically integrate and manage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in the building maintenance stage.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supporting decision-making that determines the priority of repair and reinforcement for defects.

A Study of Port Facility Maintenance and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Development (항만시설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 연구)

  • Na, Yong Hyoun;Park, Mi Yeon;Choi, Doo 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2
    • /
    • pp.290-305
    • /
    • 2022
  • Purpose: Currently, port facility informatization technology is focused o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s, so the necessity of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on the port facility maintenance system based on life cycle-level information is emphasized. Method: Based on the maintenance history data of port facilities and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fe cycle of port facilities, the system is configured to enable maintenance decisions for port facilities through analysis of aging patterns, performance degradation prediction models, and risk analysis and proposed a method of expressing information. Result: A function wa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isplay the SOC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so that mid-to long-term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and facility expansion can be applied and comparatively judged. Conclusion: The integrated port performanc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nduces and supports the risk minimization of port facility management by proactively promoting appropriate repair and reinforcement measures through historical and operational information on port faciliti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aste-Water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Using GIS (GIS를 활용한 하수도 유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Ki-Woo;Cho, Sun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1-14
    • /
    • 2001
  • This paper is studied on waste water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ed computing environment. This computing environment consist of Waste-Water Maintenance Management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is system can be developed by constructing Database which is set of rules occurring while management work of waste water system is processed. This system will help person who has responsible for making decision. Objective of such computing environment is providing 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for waste water facility management. Especially we analyzed problems of existing waste water maintenance management. We carried out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facility and it will provide solution for major decision making work with low cost using Waste-Water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PDF

Proposal of Maintenance Scenario and Feasibility Analysis of Bridge Inspection using Bayesian Approach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교량 점검 타당성 분석 및 유지관리 시나리오 제안)

  • Lee, Jin Hyuk;Lee, Kyung Yong;Ahn, Sang Mi;Kong, Jung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4
    • /
    • pp.505-516
    • /
    • 2018
  • In order to establish an efficient bridge maintenance strategy, the future performance of a bridge must be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current performance, which allows more rational way of decision-making in the prediction model with higher accuracy. However, personnel-based existing maintenance may result in enormous maintenance costs since it is difficult for a bridge administrator to estimate the bridge performance exactly at a targeting management level, thereby disrupting a rational decision making for bridge maintenance. Therefore, in this work, we developed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each bridge element considering uncertainty using domestic bridge inspection data, and proposed a bayesian updating method that can apply the developed model to actual maintenance bridge with higher accuracy. Also, the feasibility analysis based on calculation of maintenance cost for monitoring maintenance scenario case is performed to propose advantages of the Bayesian-updating-driven preventive maintenance in terms of the cost efficiency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periodic maintenance.

Analysis of Appropriateness for Maintenance of Aged Small Bridges based on Condition and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상태평가와 내하성능평가를 통한 소규모 노후교량의 유지관리 적정성 분석)

  • Lee, Huseok;Roh, Hwasung;Sun, Jong-Wan;Park, Ky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59-66
    • /
    • 2019
  • Small bridges carry out only general inspections based on visual inspection. The Bridges with more than 30 years of public use need to be decided on whether or not they will be reconstruction according to aging. However, there are some situations that need to be determined only by appearance condition, which is insufficient in terms of safety maintenance. In this paper, the condition evaluation and the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were carried out for aged small bridges. A comparison of the evaluation result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aintenance related to the decision making of the reconstruc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wo of the bridges showed that there are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of the state evaluation, but the load capacity were insufficient. Thus evaluation the safety and performing the reconstruction decision of aged small bridges by visual inspection alone with may cause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dditional research on the ambient measurement and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for the maintenance of the bridges, and to supplement it through application of the bridge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