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지관리 시나리오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mergency Scenarios of Rail-mounted Window Cleaning System (유리창 외부 부착형 청소장치의 비상상황 시나리오 도출)

  • Kim, Kyoon-Tai;Jun, Young-H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4-245
    • /
    • 2019
  • Recently, a variety of window clean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ere are, however, few cases of anticipated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that may arise after these devices are install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mergency condition was derived and the emergency scenario was derived for the rail-mounted cleaning device. Emergency scenarios and countermeasure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of cleaning devices through prototyping and testing.

  • PDF

유지선박의 충돌회피협력 동작 시점에 대한 연구

  • 이희진;박득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76-77
    • /
    • 2022
  • COLREGS의 규칙 17에는 피항선박만의 충돌회피동작으로 충돌을 피할 수 없을때 유지선박은 충돌을 피하기 위한 협력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두 선박 간 충돌 시 각도별 거리(CDC)를 통해서 유지선박이 언제 충돌회피 협력 동작을 취해야 하는 시점을 제시하였다. 두 선박 간 충돌평가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행되었고, 시뮬레이션은 MMG 모델에 의해 설계되었다.

  • PDF

An Assessment Method of Asset Worth and Value Cost for th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공공시설 자산관리정보시스템에서 자산값어치 및 가치비용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 Choi, Won-Sik;Nah, Hei-Sook;Jeong, Seong-Yun;Choi,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369-1372
    • /
    • 2012
  • 공공시설 자산관리는 새로운 시설물 유지보수 개념으로 유지관리체계를 넘어 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관리체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로 및 교량 같은 공공시설에 자산관리체계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자산의 가치와 가치비용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산가치를 자산평가 척도인 LoS(Level of Service)를 바탕으로 금전적인 값어치로 공학적 관점에서 계산하는 이론적 방법을 연구하였다. 가치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성능은 LoS를 적용하였고, 비용은 유지관리를 위한 직접 투입비용을 적용하였다. 연구목적상 기존 연구결과인 자산비용과 가치비용의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합리적인 시설물의 가치비용을 추정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자산의 규모, 시설물의 현재 상태, 투입예산의 효과, 시설물의 중요도를 고려하도록 제안하였다. 제안한 자산비용을 바탕으로 하는 가치비용이 최대가 되는 유지관리대안을 선정한다면 최적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다.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ydrological safety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on Chungju da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충주댐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 Park, Jiyeon;Gwon, Ji-Hye;Kw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9-479
    • /
    • 2017
  • 전지구적으로 진행 중인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 등으로 강우량 및 유출량의 증가는 지속적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현재 댐 시설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에 대한 기준 및 제도에는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대책 및 적응방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기후변화로 인해 지속적 증가로 예상되는 피해에 대응하기 위하여 댐 수문학적 안전성 재평가가 필수적이고, 그에 따른 각종 위험도 및 취약성 평가가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에 대한 댐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IPCC AR5 RCP 4.5/8.5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충주댐 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PMP)와 가능최대홍수량(PMF) 산출 및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전 기간(2040, 2070, 2100)에 대한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를 수행하여 향후 미래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Calcualtion of flood quantile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청미천 유역의 미래 홍수량 산정)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2-452
    • /
    • 2017
  • 지속가능한 물관리는 필요한 용수(생활 공업 농업 유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이수측면과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치수측면을 포함한 수량관리와 맑은 물 공급, 친수환경 조성, 생태계 보존을 위한 수질환경관리로 구분된다.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분석되어야 할 과학적 요소는 물순환과 관련된 각종 인자들의 변동성이며, 물순환은 크게 인간의 할동으로 인한 변화요소와 기후적인 변화요소에 의해 급진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변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홍수에 관한 잠재적 위협요인의 분석을 위한 RCP 4.5 및 8.5 시나리오 극한강우 사상의 통계적 특성 분석,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가뭄예측을 위한 수문순환 모형을 구축 및 수문학적 가뭄의 분석, 미래 수질을 모델링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매개변수 보정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극한강우사상을 이용하여 청미천 유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확률홍수량을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파악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고려된 청미천 유역에서의 홍수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Evaluation of salt water intrusion and soil salinization in agricultural reclaimed lands by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에 따른 간척지의 해수침투 및 염류화 영향 평가)

  • Jung, Euntae;Park, Namsik;Park,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3-223
    • /
    • 2019
  •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해안 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야기해 해안 지하수의 염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해수면 상승은 토양 염류화를 심화시켜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며, 지하수위를 증가시켜 불포화대의 토양두께가 감소한다. 이처럼 지하수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포화대와 토양 염류화가 발생하는 불포화대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대부분 포화대와 불포화대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간척지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포화대의 해수침투 및 불포화대의 토양염류화 영향을 연계하여 모의하였다. 포화대 모의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개발한 3차원 이송확산 모델인 SUTRA, 불포화대 모의는 미국환경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에서 개발한 1차원 이송확산모델인 VADOFT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IPCC에서 공표한 바와 같이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고, 미래 21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라 해수침투 및 토양염류화 면적 그리고 지하수위 및 불포화대 토양두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한반도 91개 간척지에 대해서 모의를 수행하였고,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지하수 해수침투 면적이 $82.19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83.71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 염류화 면적은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22.25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24.86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호 또는 저수지가 있는 대상 지역에서는 해안선으로부터 거리 및 관리 수위가 해수 침투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서는 해안선 인근 저수지 수위의 적절한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안선의 위치변화와, 기존 관정에서의 양수량, 강수량 변화를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위의 세 가지 사항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n Efficient Test Scenario Management on Virtual Network (가상 네트워크 망에서의 효율적인 테스트 시나리오 관리 기법)

  • Jang, Jun-Young;Kim, Jai-Hoon;Kim, Eu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867-870
    • /
    • 2010
  • 여러 장치들과 연동하여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시, 회귀 테스트는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필요한 테스트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서비스가 되고 있거나 연동을 위한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할 경우 테스트의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회귀 테스트를 위한 가상 네트워크 망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를 디자인 한다. 또한, 시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동작하기 위한 UI 환경을 제안한다.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본 시나리오의 관리 툴은 회귀 테스트의 자동화와 시나리오의 생성 및 배포가 가능하며 여러 프로토콜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검증 코드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시스템 상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기능 및 회귀 테스트가 가능해 질것이고 결과적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시간 단축과 유지보수에 탁월한 환경을 제공받게 될 것이다.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uilding using KModSim: Case Study of Nak-dong River Watershed (KModSim을 이용한 유역 통합 물관리 모형 구축 - 낙동강 유역 중심으로 -)

  • Lee, Jin-Hee;Jee, Yong-Keun;Jang,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5-55
    • /
    • 2011
  • 기후변화는 지구 온난화와 같은 인위적인 변화와 기후 자체의 자연적인 변동성에 기인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물관리 분야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영향은 가용 수자원량의 예측과 이를 관리하는 측면의 불확실성을 증가 시키고 있으며 미래 물관리가 더욱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수자원의 종합적인 관리 차원에서 시공간적 물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유역 물관리 모형인 KModSim을 이용하여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수자원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유역의 자연유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현실적으로 유역의 물관리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 낙동강 유역의 수리시설물, 생 공용수 및 농업용수, 댐용수 및 하천수 점용허가 등의 수리권 자료에 근거하여 KModSim을 구축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온실가스 배출이 현 수준에서 지속될 것으로 가정한 균형적 발전 시나리오인 A1B 사용)를 적용하였으며 현재(1980~2009년)와 미래(2011~2100년)를 각각 30년씩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생활 공업 농업용수의 수요량 변화, 하천유지용수의 공급 변화, 다목적 댐 모의 운영 결과를 검토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상류 다목적댐의 용수공급 능력은 2040년 초반부터 저류량이 감소 등 물공급에 심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의 영향은 수요량에 대응하는 저수지의 공급능력에 영향을 주게 되어 물공급 시설의 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농업용수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평가 결과 또한 2041년부터 2070년의 기간에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생활과 공업용수의 물공급은 기존의 물공급 시설 투자 덕분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이 두드러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지역은 기후변화에 영향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취약한 것으로 모의 되었다. 하천유지유량의 경우 지류가 본류에 비해 하천유지유량의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지만 양적으로는 본류가 부족량이 더 많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 PDF

Proposal of Maintenance Scenario and Feasibility Analysis of Bridge Inspection using Bayesian Approach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교량 점검 타당성 분석 및 유지관리 시나리오 제안)

  • Lee, Jin Hyuk;Lee, Kyung Yong;Ahn, Sang Mi;Kong, Jung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4
    • /
    • pp.505-516
    • /
    • 2018
  • In order to establish an efficient bridge maintenance strategy, the future performance of a bridge must be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current performance, which allows more rational way of decision-making in the prediction model with higher accuracy. However, personnel-based existing maintenance may result in enormous maintenance costs since it is difficult for a bridge administrator to estimate the bridge performance exactly at a targeting management level, thereby disrupting a rational decision making for bridge maintenance. Therefore, in this work, we developed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each bridge element considering uncertainty using domestic bridge inspection data, and proposed a bayesian updating method that can apply the developed model to actual maintenance bridge with higher accuracy. Also, the feasibility analysis based on calculation of maintenance cost for monitoring maintenance scenario case is performed to propose advantages of the Bayesian-updating-driven preventive maintenance in terms of the cost efficiency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periodic maintenance.

Road O&M Cost Prediction Model with the Integration of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using Binomial Tree Model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도로시설 유지관리 비용변동성 예측 이항분석모델)

  • Kim, Du Yon;Kim, By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5
    • /
    • pp.1165-1171
    • /
    • 2015
  • Due to the increasing trend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 (O&M cost) of infrastructure, the accurate estimation of O&M cost is crucial part to the government. Recent literatures pointed out that gradual climate changes such as average temperature changes, average precipitation changes, and etc. have significant impact on infrastructure O&M cos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develop a long-term O&M cost prediction model of road facilities by considering the impacts of average temperature changes. For this end,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of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s $5^{th}$ report are adopted to structure the impact of average temperature changes by using binomial lattice model. The proposed framework is expected to regional government in supporting decisions for road O&M c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