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지관리체계

검색결과 1,397건 처리시간 0.032초

교육시설물의 효율적 유지관리 체계정립을 위한 분류 기준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Standard for Efficient Maintenance System of Educational Facilities)

  • 김송화;김성겸;조창연;손재호;김재온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03-407
    • /
    • 2007
  • 정부에서는 2001년 5월에 실무적용을 위한 ${\lceil}$건설정보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rfloor}$ 를 추진하여 대${\cdot}$중분류 등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을 건설교통부 공고로 2001년 8월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구축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는 건설공사에서 실무활용이 미흡한실정이다. 일반적인 시설물과는 다르게 교육시설물의 경우 적용기준이 혼재되어있는 문제가 이다. 더욱이 2005년부터 교육시설물에 BTL 민간투자 사업이 시행되면서 유지관리시업무기준이나 비용계상에 대한 기준을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에 적용할 경우 경계를 명확하게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유지관리 비용분석으로 사용되었던 공종(Work)중심의 시설물 유지관리를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위해 공간(Space), 부위(Element)중심 유지관리 분석을 하여, 효율적인 유지관리 체계정립을 위한 분류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GSIS를 이용한 교량 유지보수 이력관리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Bridg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GSIS)

  • 유복모;주현승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141
    • /
    • 1999
  • 거대 토목구조물의 붕괴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모든 구조물은 자체의 결함뿐만 아니라 자연의 힘이나 인간의 실수에 의해서도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중이나 건설 후에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건설 후의 유지보수에도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건설안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여 토목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체계(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GSIS)를 이용하여 교량관리의 편이성 제공 및 유지보수 이력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종 도면과 부재에 대한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자료기반화 하였으며, 이들 자료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관련자료의 기록유지, 보완, 첨가 등을 관계형 자료기반으로 구축하여 영상이나 도면, 이력정보관리화면 등을 통하여 기록된 자료에 손쉽게 접근하여 유지보수 이력관리에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무도상 강철도 교량상 목침목 유지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Maintenance System for Timber Sleepers of Ballast-less track on Railway Bridge)

  • 최정열;신태형;김상진;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89-39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무도상 궤도가 부설된 국내 도시철도의 철도 교량상 목침목에 대한 선로검사내규의 점검사항 및 불량판정 기준을 개선하여 목침목의 손상유형에 따른 상태등급체계를 분류하고 침목별 이력관리대장 시스템 도입을 통해 목침목의 유지관리체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 철도교량에 부설되어 있는 목침목의 손상현황을 분석하여 손상별 코드를 구축하였으며, 침목별 손상 및 유지관리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유지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단면형상 및 침목 고정장치가 다양하고 유지관리가 복잡한 무도상 철도교량상 목침목의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댐 시설물의 NFC 기반 이력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totype for Dam Facilities Using NFC Technology)

  • 안지원;박진홍;장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261-271
    • /
    • 2014
  • 국내 건설 산업이 대형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건설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각종 공사 관리정보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는 시스템 개발과 적용보다는 유지관리 노동에 대한 투자가 큰 노동집약체계로서 시스템 발전이 상당히 정체되어 있고, 건설 프로세스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비효율적으로 소모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IT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그리고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건설 프로세스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건설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체계를 통해 건설공정 및 유지관리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댐 시설물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통합유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함으로 업무 편의성과 사용성을 향상하고, 건설 유지관리업무의 효율성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지하철 구조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위한 BIM 개발 (Development of BIM for a Maintenance System of Subway Infrastructures)

  • 심창수;김성욱;송현혜;윤누리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6-12
    • /
    • 2011
  • 시설물 전생애주기에 걸쳐 정보가 공유되고 피드백 될 수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의 등장은 유지보수 관리자들에 게 가장 필요한 유지관리점검 도구의 의미를 지님과 동시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주요 기술영역 및 사업주체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효율적인 지하철 터널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조직된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건설정보분류체계에 기반하고 유지관리 업무의 점검 단위를 고려한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유지관리 프로세서에 정보모델링 프로세서를 도입하여 유지관리 작업의 흐름을 최적화하고 표준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서의 불필요한 절차 및 시간을 효율적으로 절감하여 시설물의 총 생애주기비용을 절감하고 객체의 수선교체시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였다. 게다가 터널정보 모델링 프로세서 모델을 유지관리 정보의 이력관리에 도입하여 기존 정보관리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자치단체 표준기록관리시스템 유지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Method of the Local Government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 오진관;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5-154
    • /
    • 2022
  • 이 연구는 자치단체 RMS 유지관리 현황 분석을 통해 RMS 운영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MS 개발 및 유지관리 사업 제안요청서 분석, RMS 업무담당자 및 사업자 인터뷰 수행 등을 통해 자치단체 RMS 유지관리 현황을 확인하였다. 자치단체 RMS 유지관리 현황은 RMS 응용SW 버전관리를 위한 운영지원이 체계적이지 않으며, 인프라(HW, 상용SW)는 기술지원 종료된 장비의 교체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자치단체 RMS 운영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자치단체 RMS 안정적인 운영과 유지관리를 위해 운영지원 상시화로 무중단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RMS 운영지원 요청사항에 대해 즉시 처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 조직과 원격접근 가능한 환경구성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RMS 통합유지관리 체제 구축을 통한 일정 수준 이상의 유지관리 품질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 이원화 되어 운영 중인 RMS 응용SW 유지관리와 RMS 운영지원 업무를 통합 유지관리하여 정보화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RMS 유지관리 사업단 운영을 통해 품질 높은 운영지원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RMS 인프라 호환성 목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자치단체 RMS 인프라 유지관리를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

공공시설 자산관리정보시스템에서 자산값어치 및 가치비용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n Assessment Method of Asset Worth and Value Cost for th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최원식;나혜숙;정성윤;최영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69-1372
    • /
    • 2012
  • 공공시설 자산관리는 새로운 시설물 유지보수 개념으로 유지관리체계를 넘어 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관리체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로 및 교량 같은 공공시설에 자산관리체계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자산의 가치와 가치비용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산가치를 자산평가 척도인 LoS(Level of Service)를 바탕으로 금전적인 값어치로 공학적 관점에서 계산하는 이론적 방법을 연구하였다. 가치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성능은 LoS를 적용하였고, 비용은 유지관리를 위한 직접 투입비용을 적용하였다. 연구목적상 기존 연구결과인 자산비용과 가치비용의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합리적인 시설물의 가치비용을 추정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자산의 규모, 시설물의 현재 상태, 투입예산의 효과, 시설물의 중요도를 고려하도록 제안하였다. 제안한 자산비용을 바탕으로 하는 가치비용이 최대가 되는 유지관리대안을 선정한다면 최적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다.

공간정보 기반 MTBF 분석을 활용한 최적의 FM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Facility Management (FM) Process Using Spatial-data-based 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Analysis)

  • 윤종한;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3-51
    • /
    • 2018
  • 건축물생애주기 중 유지관리단계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건축물 가치 관리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유지관리 프로세스가 마련되어있지 않아 정확하고 선제적인 유지관리를 통한 건축물 가치상승 및 생애주기비용 관리를 적절하게 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주된 원인은 유지관리 데이터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토대로 한 프로세스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미흡한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적의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합리적인 유지관리 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 데이터분석에 기반 한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지관리 전문가 면담 및 관련 실무자료 분석을 통해 기존의 데이터체계를 검토하고, 그 한계점을 도출하였고 그에 대한 해답으로써 유지관리 분야의 정량적인 데이터 분석도구인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를 활용한 공간정보 기반 유지관리 데이터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분석방법을 활용한 최적의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실제 유지관리 데이터에 이를 대입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체계적인 유지관리 실행을 위한 프레임으로써 활용이 될 경우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유지관리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 개발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시대의 국가지리 정보체계 (7)-서울시 지하매설물안전관리를 위한 GIS 활용방안

  • 강영옥
    • 정보화사회
    • /
    • 통권110호
    • /
    • pp.48-55
    • /
    • 1997
  • 지하매설물이란 땅속에 묻혀있는 상수, 하수, 전기, 통신, 전력 등 도시기반시설을 의미하며, 지상시설물에 비해 관리가 어렵고 예기치 않은 사고로 인해 많은 재산상, 인명상 피해를 입힐 가능성을 안고 있다. 우리는 서울 아현동과 대구에서의 대형 가스폭발사고, 도로굴착공사가 끝난지 얼마 안되는 지점에 또다른 매설물의 매설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중복공사가 일어나 교통에 혼잡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를 빈번하게 경험하면서 도시의 동맥역할을 하는 이러한 지하매설물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시급함을 실감하게 된다. 특히 선진외국에서 GIS를 도입하여 지하매설물을 데이타베이스화하고 지하매설물 관리체계를 개발하여 지하매설물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하며, 대형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가 일어난 경우에는 GIS를 활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실정을 감안할 때 GIS도입이 이러한 매설물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으로서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느낀다. 본 글에서는 첫째, 이러한 지하매설물의 관리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둘째, 현재 국가 및 서울시에서 추진 또는 계획 중인 지하매설물 관리체계 구축사업내용과 셋째, 지하매설물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구축되고 유지.관리되어야 할 지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공용중인 터널의 성능중심 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s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technique for existing tunnels)

  • 안재욱;김홍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25-533
    • /
    • 2016
  • 기존의 터널 유지관리 체계는 결함 및 손상부위의 보수 또는 설계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보강 등 사고예방적인 안전성 중심의 유지관리방식으로 관리되고 있어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유지관리를 실시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현재 국가연구를 통해 터널의 성능저하를 예측, 평가하여 한정된 재정을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성능중심의 유지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시설물을 중심으로 기존의 안전중심의 유지관리 체계에서 구조적 안전은 물론이며, 서비스수준 및 내구성능 등의 성능저하를 고려한 터널시설물의 성능중심 평가체계의 개발을 위하여 성능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성능중심 평가기법 개발을 위한 평가지표는 문헌자료 분석 및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선정하였으며, 평가지표간의 중요도는 AHP 분석을 통해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터널시설물의 성능중심 유지관리 체계에 적용되어 터널의 유지관리 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