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특성

Search Result 4,76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ischarge and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Permittivity of Dielectric Material installed in Water Surface Discharge (수표면 방전에 투입된 유전체의 유전율에 따른 방전 및 오존발생특성)

  • 박승록;김진규;김형표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3
    • /
    • pp.56-63
    • /
    • 2003
  • A silent type ozone generator using water surface has been studied and improved its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installing dielectric heads in the just under the surface of the wale- At this time, different permittivitis of dielectric beads were used to change the discharge condition of water surface.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ozone generation quantity of the test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discharge photos of glass beads were observed The height of Taylor cone may be the cause of the discharge bridge to decrease the ozone generation on the discharge spacing. In this study, the hight of Taylor cone could be controlled greatly by installing dielectric beads just under the water surface. Therefore a higher ozone generation also could be obtained. As the permittivity of dielectric material increased. discharge starting voltage was advanced and maximum 110 ppmy of ozone was generated by using the ferroelectric ball.

$SiO_2$의 첨가가 BaO-$Nd_2$$O_3$-$CeO_2$-$TiO_2$계 세라믹 유전체의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Seok-Jin;Lee, Chang-Hwa;Lee, Sang-Seok;Choe, Tae-Gu
    • ETRI Journal
    • /
    • v.14 no.4
    • /
    • pp.228-235
    • /
    • 1992
  • EMI 필터는 주로 디지틀기기에서 불요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노이즈 대책부품으로 이러한 필터에 사용되는 세라믹 유전체는 온도 및 주파수 특성이 안정해야 한다. 새로운 EMI 필터용 세라믹 유전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신조성인 BaO-$Nd_2$$O_3$-$CeO_2$-$TiO_2$계를 선정하고, 소결 온도 범위 $1240~1300^{\circ}C$$SiO_2$ 첨가량에 따라 이들 변수들이 유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Effect of Alkaline-Earth Ion substitution on Phase Development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b(${In_{1/2}}{Nb_{1/2}}$)$O_3$ (얄칼리-토류이온 치환에 따른 PIN 세라믹스의 상발달 및 유전특성)

  • Jo, Sang-Hui;Baek, Jong-Gap;Son, Jeong-Ho;Kim, Jeong-Ju;Kim, Nam-Gyeong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12
    • /
    • pp.1155-1161
    • /
    • 1996
  • Pb(In1/2Nb1/2)O3 (PIN)세라믹스에서 Pb+2이온 대신에 Ca+2, Sr+2, Ba+2 이온을 부분적으로 치환하여 상합성 과정 및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페로브스카이트 PIN을 얻기위한 최적조건을 도출하기위하여 하소, 치환 이온의 종류 및 그량, 소결민돌, 유전특성의 관점에서 관찰하였다. 페로브로스카이트 PIN상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Ba+2이온의 치환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Effect of ${B}_{2}{O}_{3}$ Additions on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Zn}_{0.8}{Mg}_{0.2}$)${TiO}_{3}$ (${B}_{2}{O}_{3}$첨가에 따른 (${Zn}_{0.8}{Mg}_{0.2}$)${TiO}_{3}$계의 마이크로파 유전특성)

  • 심우성;방재철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87-90
    • /
    • 2003
  • B₂O₃침가에 따른 (Zn/sub 0.8.Mg/sub 0.2/)TiO₃계 세라믹스의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B₂O₃의 침가량에 비례하여 B₂O₃와 (Zn/sub 0.8.Mg/sub 0.2/)TiO₃와외 반응에 의한 TiO₂ 석출물의 양이 증가하며 공진주파수 온도계수가 증가하였다. 소결온도에 따라 액상의 양, 미세조직, TiO₂와 2차상의 석출거동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6.19mo1.% B₂O₃물 첨가한 시편을 900℃에서 5시간 소결시 ε/sub r/ = 23.5, Q×f/sub o/ = 67,500 ㎓, T/sub f/ = -1.42 ppm/℃의 우수한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0.7Ca(Li_{1/4}Nb_{3/4})O_3-0.3CaTiO_3$ Ceramics Added with zinc-borosilicate Glass Frit (Zinc-borosilicate Glass Frit 첨가에 따른 $0.7Ca(Li_{1/4}Nb_{3/4})O_3-0.3CaTiO_3$ 세라믹스의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

  • Yoon, Sang-Ok;Kim, Kwan-Soo;Jo, Tae-Hyun;Oh, Chang-Yong;Kim, Chan-Hang;Shim, Sang-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371-374
    • /
    • 2004
  • 저온동시 소성용(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마이크로파 유전체을 만들기 위해 $Ca(Li_{1/4}Nb_{3/4})O_3$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스에 zinc-borosililcate glass를 첨가하여 소결 특성과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Ca(Li_{1/4}Nb_{3/4})O_3$$0.7Ca(Li_{1/4}Nb_{3/4})O_3-0.3CaTiO_3$에 zinc-borosilicate를 $5{\sim}30wt%$ 첨가하여 소결한 결과 $875{\sim}925^{\circ}C$에서 동시 소성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zinc-borosilicate glas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온에서 소성이 가능하였지만 과량의 액상과 2차상이 형성되면서 유전율과 품질계수가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Li_{1/4}Nb_{3/4})O_3$에 5wt%의 zinc-borosilicate를 첨가하여 $900^{\circ}C$에서 소성한 결과 가장 우수한 유전 특성$(\epsilon_r=17.45,\;Q{\times}f_0=5487)$을 나타내었고, 유전율을 높이기 위해 $CaTiO_3$를 0.3mol% 첨가한 $0.7Ca(Li_{1/4}Nb_{3/4})O_3-0.3CaTiO_3$에 10wt%의 zinc-borosilicate를 첨가하여 $925^{\circ}C$에서 소성한 결과 가장 우수한 유전특성$(\epsilon_r=44.92,\;Q{\times}f_0=5567)$을 나타내었다.

  • PDF

Bi(Me)$O_3$의 치환에 따른 $(1-x)PbZrO_3-xPbTiO_3$세라믹 재료의 압전특성 및 큐리온도 변화

  • Lee, Seong-Chan;Lee, Myeong-Hwan;Seong, Yeon-Su;Jo, Jong-Ho;Kim, Myeong-Ho;S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30.1-30.1
    • /
    • 2009
  • PZT(Pb(Zr, Ti)$O_3$ 압전세라믹스는 뛰어난 압전 특성과 강유전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PZT세라믹스는 큐리온도 이상에서 그 특성을 잃게 되고 높은 온도에서의 응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높은 큐리온도를 가지는 압전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PbTiO_3$의 경우에는 $Bi(Zn_{0.5}Ti_{0.5})$, $BiFeO_3$등의 Bi계 세라믹스를 치환하면서 큐리온도가 올라가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PZT세라믹스 보다 압전 및 유전 특성이 상당히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x)PbZrO_3-xPbTiO_3$조성에 Bi(Me)$O_3$(Me:Zn, Ti, Fe, Al)를 치환하여 압전특성 및 강유전 상전이 온도를 조사하였다. 모든 시편들은 고상반응법으로 제조하였고, 제조한 시편으로 조성에 따른 압전특성 및 유전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큐리온도는 PZT의 MPB조성근처에서 Bi계 세라믹의 치환은 $T_C$가 낮아 졌으나, Tetragonal 상을 가지고 있는 Ti-rich인 조성에서는 $T_C$가 높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of 0.94$(K_{0.5}Na_{0.5})NbO_3$-0.06Ba$(Zr_{0.05}Ti_{0.95})O_3$ Ceramics System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sintering aids (소결조재 변화에 따른 0.94$(K_{0.5}Na_{0.5})NbO_3$-0.06Ba$(Zr_{0.05}Ti_{0.95})O_3$ 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특성)

  • Seo, Byeong-Ho;Kim, Do-Hyung;Lee, Yu-Hyong;Yoo, J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205-205
    • /
    • 2008
  • PZT 세라믹은 우수한 유전 및 압전특성을 갖고 있어 변압기, 센서 및 엑츄에이터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PZT세라믹스의 소결시 PbO의 높은 유독성 및 휘발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야기 시킨다. 그러므로 PbO로 구성된 세라믹을 대체하기 위한 우수한 압전특성을 가진 비납계 세라믹스 개발이 연구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중 비납계 NKN와 BZT는 대체물질로 많이 관심을 받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NKN조성은 우수한 압전성과 높은 큐리온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BZT조성의 Zr성분이 큐리온도를 낮추거나 유전특성을 졸게 하여 유전율 곡선을 완화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NKN은 $1140^{\circ}C$이상의 소결온도에서 K의 휘발특성으로 인해 소성 후에도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는 조해성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낮은 온도에서 NKN계 세라믹스의 밀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유전 및 압전특성을 갖는 세라믹스를 제조하고자 비납계 $0.94(K_{0.5}Na_{0.5})NbO_3-0.06Ba(Zr_{0.05}Ti_{0.95})O_3$ (NKN-BZT)의 조성을 사용하였고 소결조제로는 $MnO_2$, NiO, $Bi_2O_3$, ZnO, $Li_2CO_3$, CuO등을 변화주어 유전 및 압전 특성을 알아보았다.

  • PDF

Dielectric and Electric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of Saturated Clay Subjected to Consolidation (포화된 점토의 압밀과정에 따른 유전상수와 전기전도도의 변화)

  • Kim, Yong-Sung;Oh, Myoung-Hak;Bang, Sun-Young;Park, Jun-Bo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b
    • /
    • pp.791-798
    • /
    • 2004
  • 압밀현상에 따른 포화된 점토의 유전특성과 전기비저항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전기적 측정이 가능한 Oedometer 압밀시험기를 준비하였다. 포화된 카올리나이트 시료에 대해서 실시한 압밀시험 결과, 압밀현상에 따른 직류 전기비저항과 1MHz (저주파대) 유전상수는 간극수의 소산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토의 전기비저항 특성은 압밀 현상 시 발생하는 흙의 함수량 및 공극비의 감소, 즉 흙의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포화된 점토의 유전 특징은 불포화 점토와는 달리 흙 표면에서 발생하는 분극현상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Slurry Composition for Tape Casting on Transparancy of the Dielectric Layer in PDP (Tape Casting용 Slurry 조성이 PDP용 투명 유전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병수;김민호;최덕균;손용배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11a
    • /
    • pp.80-80
    • /
    • 2000
  • 차세대 대화면 평판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PDP라고 할 수 있다. PDP 패널 제조 공정 기술에서 난해한 공정 중 하나인 투명 유전체 제조 공정은 현재까지 인쇄법에 의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인쇄법은 여러 번의 인쇄와 건조, 소성이 반복되어야 함으로써 유전체 제조에 있어서 복잡한 제조 공정이므로 대폭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제시된 것이 tape casting을 이용한 건식 공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tape casting용 slurry에 포함되는 유기물인 binder, plasticizer, solvent의 변화에 따른 dry film의 특성 및 소성 조건에 따른 유전체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PbO-SiO$_2$-B$_2$O$_3$계 유리 분말과 유기 vehicle을 ball mill을 이용하여 분산, 혼합하여 tape casting용 slurry를 제조하고, 이 slurry를 doctor blade법으로 tape를 제조하고 건조한 후 유리기판에 transfer한 후 소성하였다. Slurry의 조건과 소성 조건에 따른 투광성, 표면 조도 및 단면의 미세구조 등 투명 유전체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유전체 재료용 Phosphate계 유리-BNT($BaO-Nd_{2}O_{3}-TiO_{2}$)계 세라믹 복합체의 특성

  • 이회관;이용수;황성건;강원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4.05a
    • /
    • pp.234-23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용 유전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NT($BaO-Nd_{2}O_{3}-TiO_{2}$)계 세라믹스를 기본조성으로 하고, 저융점의 phoshpate계 유리 프릿의 첨가를 통해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에 적용 가능한 유전율을 가진 조성을 개발 하고자, $70P_{2}O_{5}-5B_{2}O_{3}-(25-x)BaO-xNa_{2}O$ 유리를 제조 및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BNT계 세라믹스에 glass frit을 5 - 15 wt% 범위에서 첨가하고, $800 - 95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소결하여 제조된 유리-세라믹 복합체의 소결특성 및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