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특성

Search Result 4,76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BaTiO_3$ thin capacitor ($BaTiO_3$ 박막 커패시터의 유전특성)

  • 홍경진;김태성;능전준일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8 no.5
    • /
    • pp.580-586
    • /
    • 1995
  • 최근 커패시터의 전극은 Pt, Au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극의 전기적 특성은 우수하나 고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의 저가격화 측면에서 알루미늄 전극 위에 BaTiO$_{3}$를 증착하고 기관의 온도를 실온에서 600[.deg. C]까지 변화시켜 RF스퍼터링법으로 제작하였다. BaTiO$_{3}$세라믹의 유전특성은 구성하고 있는 입자의 강유전 분역 밀도와 입자의 크기에 의존하므로 입자가 성장되는 온도영역에서 입자의 크기와 유전율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BaTiO$_{3}$박막 커패시터의 유전상수는 BaTiO$_{3}$세라믹과 알루미늄기관의 계면에서 산화특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관온도의 변화에 의해 조사되었다. 기관의 온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결정면의 피크와 강도는 증가하였으며, 유전특성은 결정입자의 크기가 0.8[.mu.m]일때 가장 양호하였다. 유전율값은 기판 온도가 400[.deg. C]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알루미늄 전극에 BaTiO$_{3}$세라믹을 증착하여 저가의 적층용 세라믹 콘덴서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and deposition of epitaxial $BaTiO_3$ films by RF magnetron sputtering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증착한 epitaxial BaTiO3 박막 성장과 유전특성)

  • 현태선;조영우;최시경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4-104
    • /
    • 2003
  • RF magnetron sputtering 법을 이용하여 LaA1O$_3$, SrTiO$_3$, MgO 단결정 기판 위에 BaTiO$_3$ 박막을 에피텍셜하게 증착하여 박막의 특성과 마이크로 웨이브에서의 유전특성을 평가하였다. 각 기판위에 증착한 박막의 격자상수와 FWHM을 조사하였고, pole figure로 에피텍셜 성장을 관찰하였다. 각 시편에 상부 전극으로 interdigital 타입의 전극을 photolithography 하여 캐패시턴스와 tan $\delta$을 조사하였다. 각 기판의 변화에 따른 격자상수 변화와 유전 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 PDF

시아노에틸화한 폴리비닐알콜의 표면사이징에 따른 종이의 유전적 성질 향상

  • 서만석;이학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04a
    • /
    • pp.89-89
    • /
    • 2001
  • 종이는 목재섬유와 물의 현탁액을 스크련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시킨 판상섬유 제품 으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열, 전기절연성, 필터기능, 난연성 및 폐기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 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종이의 고부가가치화, 차별화를 위하여 내열성, 전기 절연성, 내수성, 기계적 특성, 내약품성, 생체적응성을 지닌 다양한 기능지가 개발되어 식품, 전기, 전자, 건축, 화학, 의료 관련 산업에 있어서 주요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 전 자산업 발전과 더불어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종이의 역할과 수요는 크게 증대되고 있으며 산 업발전의 핵심적인 제품으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전기절연지와 관 련된 제품 및 생산기술 부족으로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수입량은 앞으 로 전기 및 전자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수입의존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기절연지와 관련된 제품개발 및 생산기술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요청 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국산화는 수입 대체 효과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기 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종이의 전기적 성질은 유전상수, 유전손실율과 같은 유전적 특성과 전기저항, 절연 파괴강도의 기계적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이의 전기적 성질 가운데 유전율은 전기장 에 대한 종이의 물리화학적인 반응으로 일반적으로 종이의 밀도와 종이를 구성하는 성분의 쌍극자 모멘트에 비례하며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열에너 지를 얻게된 쌍극자가 전기장에 배열됨으로써 유전율이 상승하지만 온도가 유리전이점 이상 으로 높아질 경우 열적 교란에 의해서 분극 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유전완화 현상이 나타난 다. 전기절연지로 사용될 종이의 절연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환경에 따른 유전적 특 성 및 tan$\delta$에 관한 연구가 펼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의 유전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펼름형성능력이 우수한 polyvinyl alcoholCPV A)과 aery lonitrile을 이용하여 시아노에틸화한 P PYA의 표면처리에 따른 종이의 유전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PYA에 도입된 시아노에틸기에 의해 유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본 연구에 적용된 시험 범위에서는 온도상승에 따라 유전율이 상승하였다.

  • PDF

A Study of Dielectric Properties of Electrical Installation Epoxy Resin Filled with Inorganic Filler (무기물이 첨가된 전기설비용 에폭시 수지의 유전적성질에 관한 연구)

  • 김재환;서국철;김경환;박창옥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4 no.2
    • /
    • pp.46-5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수지에 무기물충진제 SiO2를I첨가하여 제작된 시편의 주파수 및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 완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작된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은 충진제의 함량증가에 따라 유전율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유전손실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와같은 사실을 포함한 모든 특성들은 충진제입자가 에폭시 매트릭스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사실과 Maxwell-Wagner의 계면분극이론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 제작된 복합재료에 대한 특성의 검토에서 충진제(SiO2)의 입자는 에폭시 매트릭스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충진제 첨가효과는 전반적으로 유전완화세기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계면분극효과에 의한 유전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 PDF

종이의 유전 특성 향상을 위한 표면 사이즈제의 열적 안정성 및 유동현상 평가

  • 이학래;서만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3-53
    • /
    • 2001
  • 종이의 전기적 성질 가운데 유전율은 전기장에 대한 종이의 물리화학적인 반응으로 일반적으로 종이의 밀도와 종이를 구성하는 성분의 쌍극자 모멘트에 비례하며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열에너지를 얻게된 쌍극자가 전기장에 배열됨으로써 유전율이 상승하지만 온도가 유리전이점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에는 열적 교란에 의해서 분극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유전완화 현상이 나타난다. 전기절연지로 사 용될 종이의 절연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환경에 따른 유전적 특성 및 tan 0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필름형성능력이 우수한 polyvinyl a1cohoHPV A)와 acrylonitrile을 이용하여 시아노에틸화한 PYA의 표면처리에 의해 종이의 유전적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절연지가 사용되는 환경조건에서 PYA를 기본물질로하는 유전필름 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표면사이징 공정에서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용액의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전특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면 사이즈제의 유도체화 과정에서 쌍극자 모벤트의 밀도 증가를 통한 유전율 향상이 요청되며 이와 동시에 네트원 구조를 통하여 전기장에 대 한 물리적 특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W AXD( wide angle 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시아노에틸화 반응 과 고온에서의 열화에 의한 필름의 결정화도를 평가하였으며 온도 상승에 따른 흡열 피크의 변화를 통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PYA 분자구조의 변화와 유리전이온도의 추이 를 분석하였다. 또 열화과정에서 수반되는 필름의 중량감소율을 평가함으로써 열안정성 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아노에틸화한 PYA가 안정된 분자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아노에틸화한 PYA용액의 점탄성 평가를 위하여 storage modulus와 loss modulus 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유변특성 평가 결과 PYA용액은 shear-thinning, pseudoplastic 한 특성을 나타내어 표면사이즈 공정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Tm2O3 addition on dielectric property of barium titanate ceramics for MLCCs (Tm2O3 첨가가 MLCC용 $BaTiO3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Jin-Seong;Lee, Hee-Soo;Kang, Do-Won;Kim, J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0 no.1
    • /
    • pp.25-29
    • /
    • 2010
  • Thulium oxide-doped barium titanate ceramics for MLCCs with perovskite structure were prepared by a sintering process at $1320^{\circ}C$ for 2 h in a reduced atmosphere. The effect of $Tm_2O_3$ addition on dielectric property of barium titanate ceramics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their microstructures. Moreover, the phase identification of the dielectric specimens was conducted to define the secondary phase (pyrochlore). The specimen doped with 1 mol% $Tm_2O_3$ exhibited the highest dielectric constant. However, the dielectric constants of specimens with more than 2 mol% $Tm_2O_3$ to $BaTiO_3$ were the lower values than that of 1 mol% doped one. The grain size and the formation of pyrochlore phase associated with the dielectric properties were examined through morphology development and the structural analysis. Furthermore,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the property of the dielectric material doped with $Er_2O_3$.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dielectric property of ceramic capacitors were attributed to the change of pyrochlore phase and the tetragonality of $BaTiO_3$ with doping.

Electrical Properties on Sintering Conditions of ZnO Varistor (소결 조건에 따른 ZnO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 Yoon, Jung-Rag;Lee, Sek-Won;Gwon, Jeong-Yeol;Lee, He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7a
    • /
    • pp.328-329
    • /
    • 2005
  • ZnO 바리스터의 소결조건에 따른 바리스터 특성과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결조건에서 소결시간 및 시간에 따라 바리스터 전압의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적정소결온도에서 바리스터 전압 $V_{1mA}$$V_{10mA}/V_{1mA}$특성은 225 ~ 250. 0.85 ~ 0.9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유전특성의 경우 주파수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가 높은 온도에서 소결한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적정 소결온도에서는 유전율은 720 ~ 740, 유전손실은 2.5% 이하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Study of Dispersibility and Dielectric Properties in $SrTiO_3$/COP Composites as the kind/content of Dispersants (분산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SrTiO_3$/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복합재료의 분산성 및 유전특성에 대한 연구)

  • Kim, Jun-Young;Lee, Jin-Won;Yoo, Myong-Jae;Lee, W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61-262
    • /
    • 2008
  • 분산제의 종류와 함량이 무기물-유기물 복합재료의 레올로지 특성 및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Multiple light scattering 방법을 통하여 용액의 입자 이동속도와 용액의 맑은층의 두께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적정한 분산제의 선정 및 선정된 분산제의 함량비에 따른 무기물 분말의 분산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테이프 캐스팅을 통하여 테이프를 제작한 후 1GHz에서 유전특성을 측정하였다. 위 결과들을 통하여 분산제의 종류와 함량비에 따라 용액 및 슬러리의 특성이 다르며 적정한 분산제를 사용하여 유전상수 16.5에 유전손실 0.0058의 복합재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 PDF

Basic Investigation for the W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by Millimeter Waves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무혈 혈당 측정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Dong Kyun;Won Jong Hwa;Potapov Sergey N.;Meriakri Viacheslav V.;Chigryai Evgenii 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2 no.1
    • /
    • pp.39-45
    • /
    • 2005
  •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non-invasive blood glucose sensor using millimeter waves, we have presented a method for measur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high loss dielectrics, based on the reflection method, and investigated the variation of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glucose-water and glucose -0.9% NaCl solutions in the 10~90 GHz range. In the proposed method, a minimal reflection condition is formed by placing a specially-chosen low-loss plane-parallel plate in front of a high-loss medium under test at a given frequency range. Using the minimal power reflection coefficient and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t this condition, til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medium can be determined. The measured results on pure water have shown the adequacy of the proposed method. The measured results on glucose-water and glucose -0.9% NaCl solutions in the 10~90 GHz range showed that the variations of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glucose solu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ir glucose concentration were maximum in the 30~45 GHz range. From these facts we concluded that the variation of about 3 mole/L in the glucose solutions must be distinguished With the measurement accuracies of ±0.1 dB and ±0.01 GHz.

Microwave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xMgTiO_3$(1-x) ($Na_{1/2}Ln_{1/2}$) $TiO_3$(Ln = La, Pr, Nd, Sm)Systems ($xMgTiO_3$(1-x) ($Na_{1/2}Ln_{1/2}$) $TiO_3$(Ln = La, Pr, Nd, Sm)의 초고주파 유전특성에 관한 연구)

  • Kim, Duck-Hwan;Lim, Sang-Kyu;An, 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D
    • /
    • v.35D no.10
    • /
    • pp.51-59
    • /
    • 1998
  • ($Na_{1/2}Ln_{1/2}$)$TiO_3$ceramics have a high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and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onant frequency ($\tau_f$)(where Ln represents a lanthanide: $La^{+3}$, $Pr^{+3}$, $Nd^{+3}$ and $Sm^{+3}$). On the other hand, $MgTiO_3$ ceramic has a high Qf value and a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So We have investigated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xMgTiO_3$-(1-x) ($Na_{1/2}Ln_{1/2}$)$TiO_3$. In these systems, there are no clues on solid-solution and secondary phase. There are mixed phases with $MgTiO_3$and ($Na_{1/2}Ln_{1/2}$)$TiO_3$ phases. Its dielectric characteristics (Qf, temperature coefficient and dielectric constant) are intermediate between ($Na_{1/2}Ln_{1/2}$)$TiO_3$ and $MgTiO_3$ and are predictable by the logarithmic mixing rule. The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s temperature coefficient each approximates to zero at Ln=La, x=0.9, Ln=Pr, x=0.87, and Ln=Nd, x=0.84. At this time, there are Qf values in the range of 55,000 to 28,00GHz and relative dielectric constants in the range of 22 to 2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