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특성

Search Result 4,76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ffect of CuO and CdO Additions on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BiNbO_4$ Ceramics using Mobile Communication (이동 통신용 $BiNbO_4$ 세라믹스의 CuO 및 CdO 첨가량에 따른 고주파 유전 특성)

  • Yun, Jung-Rak;Lee, Heon-Yong;Kim, Gyeong-Yong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8 no.11
    • /
    • pp.1043-1047
    • /
    • 1998
  • The effect of CuO and CdO addition on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BiNbO_4$, ceramics were investigated. As the content of CdO increased, sintered density and quality factor de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both the dielectric constant and quality factor increased. In the case of specimen sintered at $960^{\circ}C$ with addition of 0.03 wt% of CuO and CdO, respectively.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btained were dielectric constant of 41.2, quality factor ($Q{\times}f_0$) of 6,500 (at 5.6GHz),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onant frequency of $3ppm^{\circ}C$.

  • PDF

Sintering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b,La)TiO_3$ powder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수열법에 의해 합성된$(Pb,La)TiO_3$분말의 소결 및 유전특성)

  • 김갑영;김판채;황완인;최종건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11 no.6
    • /
    • pp.246-251
    • /
    • 2001
  • The $[(Pb_{1-x}$La_{2x/3})TiO_3$, X=0.2] powder was synthesized by the hydrothermal method, and their sintering and dielectric properties according to Mn additive were examined. The relative density of sintered PLT specimen at $1150^{\circ}C$ for 5 hrs with Mn 0.02 mol% additive was 96.7%.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sintered PLT specimen were changed by content of Mn and increacement of sintering temperature. Dissipation factor was improved by increasing of measuring temperature. Curie temperature of sintered PLT specimen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Mn additive.

  • PDF

Dielectric Properties in Cordierite/Glass Composite for LTCC Material (LTCC소재용 Cordierite/Glass Composite계의 유전특성 변화)

  • Hwang, Il-Sun;Shin, Hyo-Soon;Yeo, Dong-Hun;Kim, Jong-He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304-304
    • /
    • 2007
  • 고주파 모률에서 사용되는 기판소재는 저유전율과 낮은 loss 특성을 요구함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의 ceramic/glass composite 에서 주로 사용된 ceramic filler는 Al2O3로 낮은 유전률을 구현에 한계가 있었다. Cordierite는 낮은 유전율 (${\varepsilon}_r$ < 4)을 나타내는 filler로서 그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까지 보고된 결과들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rdierite filler와 SiO2-B2O3-Al2O3-RO (R : Zn, Sr, Ba, Ca)계의 glass를 혼합하여 LTCC용 기판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저온 동시소성이 가능한 소결온도인 $850^{\circ}C{\sim}1.000^{\circ}C$ 사이에서 소재의 소결실험을 진행하였다. 소결온도에 따른 상변화, 유전특성을 확인한 결과 filler로 사용된 cordierite상만이 관찰 되었으며 소결조건에 따라 5.0~5.5의 낮은 유전율과 1.000~1,500의 Q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하였다.

  • PDF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_3$ system thick films ($BaTiO_3$계 후막의 유전특성)

  • Noh, Hyun-Ji;Lee, Sung-Gap;Bae, Seo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198-199
    • /
    • 2008
  •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Ba,Sr,Ca)$TiO_3$ 분말에 $Y_2O_3$ 불순물을 첨가하여 첨가량에 따른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Screen-printing을 이용하여 후막으로 제작하였으며, 구조적인 특성과 함께 유전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XRD 회절 운석을 통하여 $Y_2O_3$ 가 첨가된 모든 시편에서 전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나타내는것을 알 수 있었다.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grain size 는 $Y_2O_3$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으며, 기공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막의 두께는 $Y_2O_3$ 첨가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평균 두께는 $60{\mu}m$이었다. 유전상수는 $Y_2O_3$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유전손실은 모든 시편에서 1%이하의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다.

  • PDF

Preparation and Dielectrics Properties of Ceramic-polymer Composite Materials (세라믹-폴리머 복합체 제조 및 유전 특성)

  • Park, Myoung-Sung;Myoung, Seong-Jae;Chun, Myoung-Pyo;Jo, Jung-Ho;Nam, Joong-Hee;Kim, Byung-Ik;Nahm, Sah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182-18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전 손실이 낮고, 고분자(LCP)의 유전율을 높이기 위하여 (100-x)LCP(polymer)-xNPO(ceramic) 복합체 (x= 0, 10, 20, 30, 40, 50)의 유전 특성 및 미세구조를 연구하였다. LCP와 ceramic filler(NPO)는 Brabender Mixer를 사용하여 $300^{\circ}C$에서 혼합한 후, Hot press 사용하여 $300^{\circ}C$, 7ton 성형 압력으로 pellet 형태 $(2.5cm\times2.5cm\times0.1cm)$로 제조 하였다. LCP-NPO 복합 소재를 SEM을 통해 미세구조를 관찰하였고, 복합체의 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토양오염도 측정을 위한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with Vector Network Analyzer(FDR-V) system 적용성 평가

  • Kim Man-Il;Kim Hyeong-Su;Jeong Gyo-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6-41
    • /
    • 2005
  • 복소유전율상수인 실수부(Real part)와 허수부(Imaginary part)를 측정하기 위하여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with Vector Network Analyzer(FDR-V) 측정 장비로 $1{\sim}18GHz$ 범위 내에서 매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공기, 물, 흙입자에 대한 기본적인 유전율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로부터 다공질 매질내 유류 오염물질의 함유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시료에 대한 포화도와 1GHz 범위에 분포하는 실수부 유전율상수와의 관계로부터 매질의 공극내 함유된 물질의 유전율상수 특성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이들로부터 매질의 공극률 내지 유효공극률의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intering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Mn-doped ZnO-CaO Varistor (Mn 첨가에 따른 ZnO-CaO 바리스터의 소결 및 전기적 특성)

  • Lee, Jae-Ho;Hong, Youn-Woo;Shin, Hyo-Soon;Yeo, Dong-Hun;Moon, Joo-Ho;Kim, J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310-310
    • /
    • 2010
  • ZnO 바리스터는 정전기 (ESD) 및 순간적인 써지(surge)로부터 전자기기 및 전자회로 등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전자 세라믹스 소재이다. 최근 전자기기 등의 고속통신 추세에 따라 ZnO 바리스터는 높은 비선형 특성과 함께 보다 낮은 유전율 및 유전손실 특성이 특별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양산되고 있는 Bi-계와 Pr-계 ZnO 바리스터가 아닌 새로운 조성계에 $Mn_3O_4$를 0.0~3.0 at% 첨가하여 소결 및 전기적 특성들 살펴보았다. 시편은 일반적인 세라믹 공정에 따라 제조하여 $1200^{\circ}C$에서 1 시간 공기 중에서 소결하였으며, 소결 및 전기적 특성과 유전 특성(밀도, 미세구조, I-V 특성, 유전율, 유전손실, ZnO 비저항)은 FE-SEM, Keithley237, Agilent 4294a 및 Agilent 4991a 장비를 사용하여 첨가제에 따른 ZnO 바리스터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Mn이 0.2 at% 첨가한 계의 바리스터의 상대밀도는 95%, 비선형계수는 14, 유전율은 140 (at 1MHz), 손실값은 0.147 (at 1 MHz)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바리스터 조성계에서 Mn의 첨가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펄스 레이저 방식으로 증착된 $MgTiO_3$ 박막의 전기적 특성 분석

  • 안순홍;노용한;강신충;이재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71-7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마이크로파 유전체 소자로서의 응용을 목적으로 펄스 레이저 방식에 의하여 증착된 MgTiO3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MgTiO3 박막의 유전손실 등과 같은 열화를 야기시키는 박막 내부 또는 박막과 기판간의 결함의 특성을 파악하여 열화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MgTiO3는 마이크로파 영역에서의 우수한 유전특성과 같은 낮은 유전손실을 가지며, 온도 안정성 또한 우수하다. 현재까지 벌크 세라믹 MgTiO3 의 응용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박막의 제조공정 및 전기적 특성 분석은 미흡한 형편이다. 따라서 벌크 세라믹과는 특성이 상이한 박막의 전기적 특성분석 및 연구가 필요하다. 분석을 위한 소자의 기본 구조로서 Metal-Insulator-Semiconductor(MIS) 구조를 채택하였다. MgTiO3 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기판으로는 n형 Si(100)기판과 p형 Si(100)기판을 사용하였고, Si 기판 위에 급속 열처리기 (RTP)를 이용하여 SiO2를 ~100 두께로 성장시킨 것과 성장시키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MgTiO3 박막은 펄스 레이저 증착 방식(PLD)에 의하여 약 2500 두께로 증착되었으며, 200mTorr 압력의 산소 분위기 하에서 기판의 온도를 40$0^{\circ}C$~55$0^{\circ}C$까지 5$0^{\circ}C$간격으로 변화시키며 제작하였다. 상하부의 전극 금속으로는 Al을 이용하였으며, 열증발 증착기로 증착하였다. 증착된 MgTiO3 박막의 결정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XR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Boonton7200 C-V 측정기와 HP4140P를 이용한 경우에는 C-V 곡선에 이력현상이 나타났으나, MgTiO3/SiO2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력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유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V 측정 결과, 절연층으로 MgTiO3/SiO2를 이용한 경우에는 MgTiO3만을 절연층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동일한 전계에서 낮은 누설전류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박막의 증착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C-V 곡선의 위치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위의 현상은 기판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벌크 또는 계면에 존재하는 결함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C-V 곡선의 이동 원인과 I-V 곡선의 누설전류 메카니즘을 분석 중에 있으며 그 결과를 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 PDF

Applicability of Permittivity Measurement Method for Investigating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ubsurface (지반의 중금속 오염도 조사를 위한 흙의 유전상수 측정기법의 적용성 평가)

  • Oh, Myoung-Hak;Kim, Yong-Sung;Yoo, Dong-Ju;Park, Jun-Bo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3a
    • /
    • pp.499-506
    • /
    • 2005
  • 지반오염조사에 대한 유전상수 측정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중금속 오염도에 따른 흙의 유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유전상수의 실수부와 허수부 모두 체적함수비에 따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MHz 범위에서 유전상수 실수부는 쌍극자모멘트에 비례하기 때문에 흙의 유전상수는 체적함수비에 따른 선형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중금속 용액은 50kHz 이하의 저주파영역에서 전극 분극효과에 의해 농도 증가에 따라 유전상수 실수부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고주파 영역에서는 이온의 수화작용에 의한 물분자의 배향분극 발현 감소로 인하여 유전상수 실수부가 감소하였다. 유전상수 허수부의 경우에는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중금속 농도 증가에 따른 전도손실에 의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흙과 중금속 혼합시료의 경우 함수비가 큰 시료에서는 중금속 용액 자체의 유전특성이 그대로 발현되었으나, 함수비가 작은 시료에서는 공간전하분극의 영향이 우세하여 유전상수 실수부가 10-20%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전상수 허수부의 경우에는 중금속 농도 증가에 따른 뚜렷한 증가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중금속의 오염감지에 대해서는 유전상수 실수부보다는 허수부의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에서의 정확한 오염도 평가를 위해서는 함수비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wering Periods,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ross-Pollination Rate of Zoysia spp. in Natural Open-Pollination (자연 방임수분 상태에서 한국잔디류의 개화기간, 유전특성 및 타가수분율)

  • Choi, Dong-Keun;Yang, Geun-Mo;Choi, Joon-Soo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2 no.1
    • /
    • pp.13-24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breeding of zoysiagrass synthetic varieties. For estimation of flowering periods,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ross-pollination rate, 5 combinations of zoysiagrass breeding lines were compared. Days to stigma emergence and anther exertion were observed in the field to calculate overlapping dates for cross-fertilization. Harvested seed from cross breeding combinations were planted to compare genetic characteristics using morphological traits of progenies. These data were used for determination of 7 phenotypic inheritance types with 8 morphological traits. Cross-pollination rates in 3 combinations of zoysiagrasses were estimated by using lower part color of grass shoots. Cross-pollination rates of zoysiagrass ranged from 11.3$\sim$48.9%, which indicated that zoysiagrass is an allogamous plant. When zoysiagrass breeding lines are properly combined, they may result in valuable synthetic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