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특성

Search Result 4,77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나노입자로 제조된 $BaTiO_3$ 유전체에서 첨가물질에 따른 전기적 특성 평가

  • U, Deok-Hyeon;Yun, Man-Sun;Eo, Sun-Cheol;Son, Yong-Ho;Gwon, S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84-84
    • /
    • 2009
  • $BaTiO_3$는 perovskite 구조를 가지는 대표적인 강유전체 재료로서 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PTC thermistor등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최근 고용량 MLCC의 상업화와 함께 나노크기를 갖는 tetragonal phase의 $BaTiO_3$ 입자를 합성하기 위한 다양한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유전특성과 온도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첨가제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희토류 원소인 $Y_2O_3$를 첨가하여 유전특성 및 온도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150nm 크기를 갖는 pure $BaTiO_3$ 분말을 사용하고 $Y_2O_3$의 양은 0.02 ~ 0.1wt%로 변수를 주어 첨가하였으며, 최적의 소결 조건을 찾기 위하여 1200, 1230, $1250^{\circ}C$에서 소결을 진행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Iso-alcohol을 이용하여 48시간 ball-mill 하였으며 오븐에서 건조 후 ${\Phi}15$로 성형하여 소결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로는 $Y_2O_3$ 첨가량이 0.02wt% 부터 상온부터 상전이 온도 부근의 유전율 기울기는 완만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결시편의 정방정비 (tetragonality)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Y_2O_3$ 첨가랑이 0.1 wt% 일 때는 첨가량의 증가로 인해 강유전성이 상쇄됨을 나타냈다. 이는 $2450^{\circ}C$에 이르는 매우 높은 용융온도와 $2350^{\circ}C$까지 상전이가 는 $Y_2O_3$를 미량 첨가할 때, 고온에서 높은 화학적 안정성과 내열성을 가져 온도 안정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icrostructures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_3$ Ceramics Sintered with Glass Frit (Glass frit를 첨가한 $BaTiO_3$ 세라믹스의 유전 특성과 미세구조 변화 관찰)

  • Woo, Duck-Hyun;Son, Yong-Ho;Yoon, Man-Soon;Ur, Soon-Chul;Kweon, Soo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172-172
    • /
    • 2009
  • $BaTiO_3$는 perovskite 구조를 가지는 대표적인 강유전체 재료로서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PTC thermistor등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최근 고용량 MLCC 의 상업화와 함께 나노크기를 갖는 tetragonal phase의 $BaTiO_3$ 입자를 합성하기 위한 다양한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유전 특성과 온도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첨가제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번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얻어진 high energy mill을 이용한 고상반응법으로 제조된 $BaTiO_3$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BaTiO_3$ 분말에 glass frit를 첨가하여 소결온도 및 유전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제조된 $BaTiO_3$ 분말은 200nm이하의 구형화와 균일한 입자크기를 보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최적화된 glass frit의 양인 2.53wt%를 첨가하였고 1170, 1200, $1230^{\circ}C$에서 소결하여 소결온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원료를 혼합하기 위하여 24시간 ball-mill을 이용하여 혼합하였으며, $\Phi15$로 성형하여 소결을 진행하였다. 실험진행 결과 모든 시편에서의 비유전율은 glass frit가 첨가되지 않은 조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200^{\circ}C$에서 소결한 시편의 비유전율($\varepsilon_r$)은 2300으로 glass frit가 첨가되지 않은 조성과 비교하여 21% 증가하여 최대치를 나타냈다. 또한 소결온도 $1200^{\circ}C$ 이상에서의 모든 시편에서는 95% 이상의 상대밀도를 나타내어, glass frit가 소결조제로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glass frit첨가로 인한 소결온도 감소 및 유전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Data System on Agricultural Traits and Functional Component in Yacon Germplasms (야콘 유전자원 농업적 특성과 품질특성 정보 구축)

  • Su Jeong Kim;Jung Hwan Nam;Do Yeon Kim;Do Yeon Kim;Su Hyeong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26-26
    • /
    • 2023
  • 포스트 코로나 이후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전환으로 건강먹거리인 야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야콘은 남미 안데스에서 도입된지 40여년 되었으며 달콤한 맛과 아삭아삭한 식감을 가져 생식용과 야콘즙으로 인기있으나 현재 국내 육종된 품종이 없다. 따라서, 다양한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자원에 대한 평가를 통해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5개 자원을 대상으로 초장, 엽수, 줄기수, 생체중, 관아수량, 괴근수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RDA, 2012) 준하였다. 야콘 유전자원의 지상부 특성 결과, 초장이 92-127cm 범위를 보였으며, 줄기수는 8-12개, 경엽중은 1,433-2,855kg, 엽수는 152-195개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유전자원별 지하부 특성을 살펴보면, 유전자 원별 HY1이 관아수가 가장 많고, 관아수량도 352/10a으로 가장 무거웠다. 괴근수량을 살펴보면, HYL2가 총수량이 5,197 kg/10a, 상품수량이 4,213 kg/10a으로로 가장 많았으며, HYL3, HYL4, HYL5, HYL1 순이었다. 유전자원의 생리장해 결과를 조사한 결과, 열근 및 부패발생은 HYL1이 가장 심하였으며, HLY5가 상대적으로 약했다. 유전자원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당도는 HYL5가 12.5로 가장 높았으며, HYL1이 8.7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야콘의 인공교배 단계에서부터 육종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 PDF

Effects of CuO and ${B_2}{O_3}$Additions on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PbWO_4$-$TiO_2$Ceramic (CuO ${B_2}{O_3}$첨가에 따른 $PbWO_4$-$TiO_2$세라믹스의 마이크로파 유전특성)

  • 최병훈;이경호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11
    • /
    • pp.1046-1054
    • /
    • 2001
  • Effects of B$_2$O$_3$and CuO addition on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PbWO$_4$-TiO$_2$ceramic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use this material as an LTCC material for fabrication of a multilayered RF passive components module. We found that PbWO$_4$could be used as an LTCC material because of its low sintering temperature (8$50^{\circ}C$) and fairy good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varepsilon$$_{r}$=21.5, Q$\times$f$_{0}$=37200 GHz and $\tau$$_{f}$ =-31 ppm/$^{\circ}C$). In order to stabilize $\tau$$_{f}$ of PbWO$_4$, TiO$_2$was added to the PbWO$_4$and the mixture was sintered at 8$50^{\circ}C$. A near zero $\tau$$_{f}$ value (+0.2 ppm/$^{\circ}C$) was obtained with 8.7 mol% TiO$_2$addition. $\varepsilon$r and Q$\times$f$_{0}$ values were 22.3 and 21400 GHz, respectively. It was believed that the decrement of Q$\times$f$_{0}$ value with TiO$_2$addition was resulted from increasing grain boundary. In order to improve Q$\times$f$_{0}$, various amounts of B$_2$O$_3$and CuO were added to the 0.913PbWO$_4$-0.087TiO$_2$mixture. The optimum amount of CuO was 0.05 wt%. At this addition, the 0.913PbWO$_4$-0.087TiO$_2$ceramic showed $\varepsilon$$_{r}$=23.5, $\tau$$_{f}$ =-2.2ppm/$^{\circ}C$, and Q$\times$f$_{0}$=32900 GHz after sintered at 8$50^{\circ}C$. In case of B$_2$O$_3$addition, the optimum amount range was 1.0~2.5 wt% at which we could obtain following results; $\varepsilon$$_{r}$=20.3~22.1, Q$\times$f$_{0}$=48700~54700 GHz, and $\tau$$_{f}$ =+2.4~+8.2ppm/$^{\circ}C$.

  • PDF

Effect of $PbTiO_3$ Concentration on the Properties of $Pb(Mg_{1/3}Nb_{2/3})O_3-PbTiO_3$ Relaxor Ferroelectrics ($Pb(Mg_{1/3}Nb_{2/3})O_3-PbTiO_3$ 계 완화형 강유전체의 특성에 미치는 $PbTiO_3$ 첨가량의 변화 -I.유전특성 및 초전특성-)

  • 박재환;흥국선;박순자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3 no.4
    • /
    • pp.391-398
    • /
    • 1996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lectrostrictive behavior of Pb(Mg1/3Nb2/3)O3-PbTiO3(PMN-PT) solid solutions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the electric-field-induced strains in (1-x)PMN-xPT (x=0.0-0.4) were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5$0^{\circ}C$-20$0^{\circ}C$. Powder of (1-x)Pb(Mg2/3Nb2/3)O3-xPbTiO3 (x=0.0, 0.1, 0.2, 0.3, 0.35, and 0.4) were prepared from the oxide forms of Pb, Mg, Nb and Ti via a columbite precursor method As the amount of PbTiO3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maximum dielectric constant(T$\varepsilon$max) increases and the phase transition become less diffusive. The strain maximum occurs only when the diffuse phase transition occurs from rhombohedral to cubic or rhombohedral to tetragonal as in x=0.1-0.35 The strains monotonically decrease with temperature in the materials in which phase transition occurs from tetragonal to cubic as in x=0.4.

  • PDF

Temperature Dependence of Dielectric Properties of PMMA-Ni-PZT Composite (PMMA-Ni-PZT 복합체의 온도에 따른 유전특성)

  • Jung, Won-Chae;Lee, Hee-Young;Kim, Jeo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43-244
    • /
    • 2006
  • 집적회로기판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패시터, 인덕터, 저항과 같은 수동소자를 PCB기판 내부에 임베딩하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폴리머-금속-세라믹의 3상복합체 구조를 가지는 임베디드 커패시터의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불성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고분자 재료로는 PMMA를 사용하였으며, 충분히 혼합된 분말을 PMMA의 유리 전이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 프레싱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유전특성은 임피던스분석기 및 LCZ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혼합법칙과 Percolation 이론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 PDF

The crystal structure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ethylene exposed Radiation (방사선이 조사된 폴리에틸렌의 결정형상과 유전특성)

  • Kang, J.H.;Kim, H.J.;Yu, K.M.;Han, S.O.;Kim, J.S.;Park, K.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503-1505
    • /
    • 2001
  • 방사선이 폴리에틸렌 박막의 결정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결정구조의 전 영역에서 결정 격자의 결함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탄탄한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분자쇄의 단절로 인하여 결정 내부 및 표면에서 화학작용에 의한 기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그 결함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주파수에 따른 유전특성 고찰결과는 10 MHz 이상의 범위에서 유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Effect of NiO Addition on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3 Ceramics (NiO 첨가가 BaTiO3 세라믹스의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윤호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1 no.2
    • /
    • pp.105-112
    • /
    • 1994
  • BaTiO3 의 B-site에 0-0.03 몰 범위의 NiO를 첨가한 Ba1-xSrxTi1-y-wNiyZrwO3-y 유전 체에서 NiO 첨가가 유전특성 및 절연저항의 내환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B-site Ni 치환에 의해 a 축의 격자상수는 증가하고 c 축의 격자상수는 감소하여 정방성 c/a가 감 소하였으며 단위격자의 부피는 증가하였다. NiO 첨가에 따라 큐리온도는 저온으로 이동하 였으며 큐리온도의 변화율은 소결분위기에 영향을 받았다. NiO가 첨가되지 않은 조성에서 는 산소분압 109 MPa의 환원분위기 소성에 의해 비정항이 107$\Omega$.cm로 저하되었으나 0.01 몰이상의 NiO를 첨가한 조성에서는 공기중 소결시 얻을수 있었던 1011$\Omega$.cm로 저하되었으 나 0.01 몰 이상의 NiO를 첨가한 조성에서는 공기중 소결시 얻을 수 있었던 1011$\Omega$.cm 이 상의 비저항을 유지하였다.

정공 주입층 두께 변화에 따른 OLEDs의 유전 특성

  • Cha Gi-Ho;Sin Jong-Yeol;Hong Jin-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6.05a
    • /
    • pp.131-134
    • /
    • 2006
  • ITO/ polytetrafluorethylene (PTFE)/ Tris(8-hydroxyquinolinato Aluminum ($Alq_3$)/ Al 구조에서 정공 주입층 PTFE 의 두께 변화에 따른 유전특성은 HP 4284A precision LCR Meter 를 이용하여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와 위상각, 유전손실, 그리고 캐패시턴스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PTFE 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임피던스 값은 증가하고, 위상각은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두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거의 같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전손실($tan{\delta}$)도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정공 주입층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거의 같아졌고, 캐패시턴스는 PTFE 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Dielectric Properties of Printed Circuit Board Materials with Variation of Frequency and Temperature (온도 및 주파수 변화에 따른 프린트 배선기판의 유전특성 연구)

  • 박종성;김종헌;이준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11 no.10
    • /
    • pp.773-777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measured permittivity of PCB sheet material in the frequency range of 0.1 ~ 2[㎓] and temperature range of 25~ 85[>$^{\circ}C$]. Microstrip lines with different physical length are implemented to measure the attenuation and phase shift of the signals through these lines. The loss factor of glass-epoxy and teflon could by calculated with the measured dielectric constant and the attenuation. From the experiment, the glass-epoxy was more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frequency than teflon. The average dielectric constants of glass-epoxy and teflon within the measured frequency range are 4.48 and 2.18,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