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전자 다형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세 지역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inne)) 월동집단에서 나타나는 유전변이 분석 (Genetic Analysis of Three Overwintering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inne), Populations in Korea)

  • 김용균;박효찬;정명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7-233
    • /
    • 2001
  • 네 가지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하여 야외 월동세대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Linne))의 집단 유전분석이 실시되었다. 세 지역 (안동, 영천, 양산)의 야외집단들은 모든 동위효소 유전좌위에서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빈도를 보였다. 특히 두 동위효소(acid phosphatase and phosphoglucomutase)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빈도의 불균형은 집단간에 임의교배가 이루어져 있지 않음을 나타냈다. 추정된 집단간 Nei의 유전거리는 0.0151(양산집단과 영천집단)에서 0.0877(안동집단과 영천집단)까지 다양했다. 기존의 배추좀나방 야외집단들의 유전거리 추정치에 비해 이러한 월동 초기세대들이 보인 다소 높은 유전분화는 이들 집단이 월동과정중 지역적 환경요인에 따른 상이한 도태압이 작용하여 유전적 병목현상이 초래되었음을 내포한다.

  • PDF

지식기반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인 빈발 HLA 대립유전자에 대한 결합 펩타이드 예측 (Knowledge based Genetic Algorithm for the Prediction of Peptides binding to HLA alleles common in Koreans)

  • 조연진;오흥범;김현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5-52
    • /
    • 2012
  • 감염된 미생물에서 유래한 단백질 펩타이드가 HLA에 결합하여 숙주의 세포표면에 제시되면, T 세포가 이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유발함으로써 감염원을 제거하게 된다. HLA와 펩타이드간의 결합이 안정적일수록 T 세포반응이 강하게 일어나 효율적으로 감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특정 HLA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펩타이드(HLA binder)를 찾아낼 수 있다면 감염질환이나 암의 예방을 위한 펩타이드 백신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HLA는 매우 다형하기 때문에 하나의 집단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빈도를 가지는 대립유전자의 수가 매우 많다. 따라서 이들 모든 대립유전자들에 대해 가능한 펩타이드조합을 제작한 후 직접 실험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 HLA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예측하는 정보전산적인 방법이 최근 개발되어 왔다. 이들 방법을 통해 제시된 펩타이드에 대해서만 직접 생물학적 실험을 시행함으로써 연구자는 검증해야 할 후보 펩타이드의 수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HLA 결합 펩타이드 예측을 위해 기계학습을 이용한 방법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HLA 결합 펩타이드 예측에 시도된 적이 없는 '지식기반 유전자 알고리즘(knowledge-based genetic algorithm)'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유전자알고리즘(GA)에 기반한 것이었지만 전문가 지식을 접목함으로써 GA보다 더 향상된 성능으로 한국인에 흔한 HLA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예측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것은 결합하는 펩타이드의 규칙을 한국인에 흔한 HLA 대립유전자에 대하여 추출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었다.

ESTP 표지를 이용한 국내 소나무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ESTP Markers)

  • 안지영;홍경낙;이제완;홍용표;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9-289
    • /
    • 2015
  • 소나무의 유전다양성과 유전구조를 추정하기 위해 9개의 ESTP 표지를 13개 소나무 집단에 적용하였다. 소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은 관찰된 대립유전자 수(A)가 2.2개, 유효 대립유전자 수(Ae)가 1.8개, 다형적 유전자좌 비율(P)이 98.8%, 이형접합도 관찰치(Ho)가 0.391, 이형접합도 기대치(He)가 0.402로 나타났다. 안강과 강릉 집단을 제외한 11개 집단이 하디-바인베르그 평형을 만족하였다. 집단간 유전분화도(FST)는 0.057으로, 동위효소나 nSSR 표지분석 결과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 집단의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분포간에 뚜렷한 연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집단의 유전분화와 지리적 인접성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Mantel 검증, r = 0.017, P = 0.344). 유전자좌에 대한 FST-outli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도주의 방법에서는 FST 값이 신뢰하한 이하인 3개 유전자좌와 신뢰상한 이상인 3개 유전자좌가 특이값으로 추정되었고, 베이즈 방법에서는 3개 유전자좌들만 특이값으로 확인되었다. 두 방법에서 공히 특이값으로 판정된 3개 유전자좌(sams2+AluⅠ, sams2+RsaⅠ, PtNCS_p14A9+HaeⅢ)중 sams2 표지에서 유래된 2개 유전자좌는 balancing selection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의 동위효소 유전좌위 분석 (Analysis of the Isozyme Loci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 bner))

  • 김용균;김경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2
    • /
    • 1998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의 유전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17종 동위효소의 좌위수, 대립유전자빈도 및 각 효소의 4차구조가 분석되었다. 총 분석된 좌우수는 30개였으며, 이중 70.0%가 다형유전좌위를 보였다. 좌위당 유효대립유전자수는 1.72개였고 평균이형접합율(${H}_{e}$)은 32.8%로 추정되었다. 조사된 집단의 동계교배효과는 (F)는 21.0%이었다.

  • PDF

연어류에서의 종간교배 및 Isozyme Pattern에 관한 연구 (Isozyme Patterns at Five Loci Salmonids and Their Hybrid(I))

  • 홍경표;명정구;김병기;손진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39
    • /
    • 1992
  • 연어류의 종간교배 실험과 LDH, MDH, IDH, $\alpha$GODH, ME 등 다섯가지 isozyme에 대한 genetic marker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1차적으로 연어, 산천어 및 무지개송어를 이용하여 종간교배를 실시하였고 이들 세종의 isozyme pattern을 비교하였다. 교배실험은 종간교배, 및 allotriploid 구간 등 12구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연어 암컷과 산천어 수컷의 교배결과가 초기성장 단계적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이들의 allotriploid도 부활율이 28.1%로 가장 우수하였다. Genetic identification을 위한 isozyme loci 분석결과 연어와 산천어는 대부분의 loci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무지개송어는 MDH-B와 IDH에서 다형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MDH-B loci는 b 유전자의 출현 빈도에서 세 종간의 식별이 가능하였으며, IDH pattern을 산천어와 무지개송어의 비교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loci는 hybrid의 genotype 분석시 유용한 marker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고, 앞으로의 어류 육종에 좋은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세포내 지방산 조성 분석에 따른 Candida속의 분류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Candida by Cellular Fatty Acid Analysis)

  • 신기선;홍순덕;배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85
    • /
    • 1997
  • Candida속 효모 27종이 표준 균주를 대상으로 세포내 지방산 조성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함유 지방산의 종류와 함량비를 근거로 27종이 균주를 3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었다. 이들 지방산 분석에 의한 분류군을 Candida속의 다른 분류학적 결과들인 coenzyme Q 분자종의 종류, DNA 염기함량 분석, ITS 부위의 제한효소 절단 다형질의 양상, 리보좀 소단위 RNA 유전자의 염기배열 보고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같은 분류군에 위치하는 균주들 사이의 연관 관계가 거의 일치하였다. 다라서 세포내 지방산 분석은 Candida속 규준들을 유전적 동질성을 갖는 균주들로 분류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전적으로 매우 다양한 균주들의 집단으로 알려진 Candida속에 관한 분류적 고찰에 일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누에 RFLP(제한단편 다형현상)마커 개발 (Development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ELP) Markers in Silkworm, Bombyx mori)

  • 고승주;김태산;이영승;황재삼;이상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6-104
    • /
    • 1997
  • DNA 다형성을 이용한 누에 유전자 해석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식성 누에 계통 J111과 비광식성계통 $C_3$의 DNA를 분리하여 유전자 은행을 제작하였다. 누에 유전자 은행은 genomic DNA를 EcoRI로 절단한후 pUC18에 ligation 시켜 DH5$\alpha$ E. coli에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 후 얻어진 colony는 15개 누에 품종의 genomic DNA에 hybridization하였을 때 누에의 품종에 관계없이 highly repetitive, moderately repetitive 및 single 혹은 low copy number 로 구분되었다. RFLP마커에 적합한 single 및 low-copy number band만을 형성하는 colony probe을 신속하게 선발하고자 colony또는 genomic DNA로 hybridization하였다. Single 및 low-copy number의 특성을 가진 219개의 clone을 선발하여 Hind III등 8종의 제한효소별로 처리한 genomic DNA를 이용하여 다형성을 검정하여 J111과 $C_3$ 계통간 다형성을 보인 46개의 clone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clone의 일부를 J111과 $C_3$를 교배하여 얻은 $F_2$의 blot에 hybridization 결과 RFLP clone들이 양친검정에 이용가능하여 누에 RFLP 연관 지도 작성의 기반을 조성하게 되었다.

  • PDF

은행나무의 몇가지 다형적(多形的) 동위효소(同位酵素)의 유전양식(遺傳樣式) 및 연관(連關) (Inheritance and Linkage of Some Polymorphic Isozymes in Ginkgo biloba L.)

  • 권해연;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527-535
    • /
    • 2000
  • 감자전분젤을 매개로 한 수평식 전기영동장치를 이용하여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megagametophyte로부터 15개 동위효소의 변이가 분석되었다. 분석된 효소 가운데서 ADH, G6PD, IDH, MPI, UGPP의 5개 효소에서는 변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10개 효소의 11개 동위효소 구역(ACON-A, FST-B, GDH-A, GOT-B, MDH-B, MDH-C, MNR-A, PGI-B, PGM-A, 6PGD-B, SKDH-B)에서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이중 MDH-B를 제외한 모든 구역에서 관찰된 동위효소 변이들이 1 : 1의 독립적 분리비를 보임으로써, 이들이 단일 유전자좌에 의해 조절되는 공우성 대립유전자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한편, 동위효소 유전자좌의 3가지 조합(ACON-A : MDH-B, GOT-B : PGI-B, MNR-A : SKDH-B)에서 약한 연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들의 재조합 비율은 0.38-0.40로 계산되었다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