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자원 활용

Search Result 31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Checklist of North Korea Plant and Current Status of Genetic Resources Hel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boreta (북한식물 목록과 국내·외 수목원의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현황)

  • Young-Min Choi;Seungju Jo;Hyeonji Lee;Jung-Won Yo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7 no.2
    • /
    • pp.171-202
    • /
    • 2024
  • If the plant genetic resources and information-sharing systems held by arboretums worldwide are effectively utilized, it is believed that a conservation system for plant diversity in the currently inaccessible North Korean region c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cientific names of plants native to North Korea but not to South Korea and to assess the status of genetic resources hel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boretums. To compile a list and status of North Korean plant's genetic resources, updated checklists of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and online plant information databases were consulted to compile synonym, distribution range,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A total of 486 taxa (449 species, 13 subspecies, 21 varieties, 1 forma and 2 hybrids) from 236 genera and 64 families, representing 12.34% of the total native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r were presented in the North Korea plant list, and the presence of rare, endemic and northern lineage species was confirmed. It was found that 384 taxa from 190 genera, 53 families of North Korean plants are held as genetic resources in 333 arboretums and plant research institutions across 46 countries and 5 continents worldwid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 species list for plants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Non-Spiny Safflowers according to Sowing Time (잇꽃 무가시형 유전자원의 파종시기에 따른 개화특성)

  • Jung-Seob Moon;Myeong-Suk Kim;Hee-Kyung Song;Seung-Yoon Lee;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1-81
    • /
    • 2022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는 52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잇꽃은 종자를 약용으로 이용하거나 꽃잎을 건조하여 천연 염색제 및 향신료로 이용하고 있으나, 일본 산형(山形)현에서는 잇꽃의 경관적 가치를 이용해 홍화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소득작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준고랭지 지역에서 잇꽃의 경관적 가치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총포에 가시가 없는 무가시형 유전자원(IT323225, IT333473, IT333482)을 분양받아 가시가 있는 재배종과 파종시기별로 개화 특성 등을 비교하였다. 표고 500m 준고랭지의 비가림 하우스에서 3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파종시별로 출현율을 검토한 결과, IT 323225 자원은 관행의 3월 하순 파종에서도 40.5%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다. 3월 하순 파종에서 재배종은 6월 22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나, 무가시형 유전자원들은 7월 2일~5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여 만생종의 특성을 보였다. 파종시기를 늦춰 5월 하순에 피종하는 경우 무가시형 자원들은 7월 27일~29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며, 개화기 전후의 개화 지속기간은 8~10일이 소요되어 3월 하순에 파종하여 7월 상순에 개화하는 경우보다 2~4일이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IT333473 자원의 개화기 초장은 5월 하순 파종하는 경우 관행의 3월 하순 파종보다 43.6%가 즐어든 71.1cm를 보였고, 분지수는 41.6% 감소한 8.0개/주 수준을 보였다. 식물체당 착화수 또한 파종시기를 늦춤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당 종자수는 IT323225 자원은 5월 중순과 하순 파종시에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IT333473 자원과 IT333482 자원은 재배종과 같이 감소하였다. 하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는 지리산권에서 무가시형 잇꽃 자원의 경관적 가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파종시기를 5월 하순으로 늦추는 경우 성수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 개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초장이 71.1~83.6cm 수준으로 단축되어 경관 조성에 유리한 특성을 보였다.

  • PDF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Genetics Resources of Rapeseed (유채(Brassica napus L.) 유전자원의 생육특성과 지방산 조성)

  • Kwang-Soo Kim;Ji Eun Lee;Young Lok Cha;Da Hee An;Dong Chil Ch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3-83
    • /
    • 2022
  • 유채(Brassica napus L.)는 가을에 파종하여 이듬해에 초여름에 수확하는 겨울작물로 종실 수량이 많고 종자의 조지방 함량이 높아 주로 기름을 생산하기 위해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채는 경관을 목적으로 주로 재배되며 면적은 약 5,000ha 정도 재배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채유 생산을 목적으로 전남 등 남부지방에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유채유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과정의 생력기계화에 유리한 논 재배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유채의 육종은 논 재배 적응성이 뛰어나며, 벼와의 작부가 가능하며 봄 파종 재배가 가능한 조숙품종의 육성이 필요하며, 식용유로 이용이 가능한 지방산 조성이 우수한 품종의 육성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채 유전자원 350점을 대상으로 작물학적 생육특성을 평가하였고 종자를 수확한 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생육특성은 경장 등 12항목을 유채 유전자원 특성조사 및 관리요령(RDA, 2011)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가을에 파종하여 재배할 때 개화소요일수는 파종 후 137일부터 210일까지 소요되었으며, 봄 파종 재배 시에는 파종 후 65일부터 150일까지 개화가 진행되었고 개화가 되지 않은 계통이 67계통이었다. 경장은 85 ~ 211cm, 수장은 28 ~ 79cm, 분지수는 5 ~ 21개, 수당 협수는 29 ~ 106개, 협당 종자수는 18 ~ 35개 및 협장은 2.7 ~ 8.8cm로 다양하였다. 유채 유전자원의 지방산 중 올레산과 에루스산 함량은 각각 9.7 ~ 70.4% 및 0 ~ 54.7% 범위였다. 공시계료 중 IT 279089 등 3자원은 개화기가 빨라 조생종 육성에, IT279125 등 3자원은 올레산 함량이 68%이상으로 양질 지방산 품종 육성재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PDF

Complete genome sequence of Runella sp. ABRDSP2, a new mono-aromatic compounds degrading bacterium isolated from freshwater (담수로부터 분리한 단환성 화합물 분해 미생물 Runella sp. ABRDSP2의 전장 유전체 서열)

  • Kang, Hye Kyeong;Ryu, Byung-Gon;Choi, Kyung Min;Jin, Hyun Mi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5 no.1
    • /
    • pp.55-57
    • /
    • 2019
  • The Runella sp. ABRDSP2, capable of degrading mono-aromatic compounds such as toluene, was isolated from freshwater. The whole genome, consisting of a circular single chromosome and three plasmids, was composed of total 7,613,819 bp length with 44.4% G+C contents and 6,006 genes. The genome of strain ABRDSP2 contains many aromatic hydrocarbon degrading genes such as monooxygenase, ring-cleaving dioxygenase, and catechol 1,2-dioxygenase. The complete genome reveals versatile biodegradation capabilities of Runella sp. ABRDSP2.

Screening of Resistance of Introduced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Germplasm from Asian areas to Plasmodiophora brassicae Isolates Collected in Korea. (배추 아시아 도입 유전자원의 국내 재배포장에서 수집한 뿌리혹병 균주에 대한 저항성 반응)

  • Jeon, Young-Ah;Lee, Ho-Sun;Rhee, Ju-Hee;Lee, Jae-Eun;Ko, Ho-Cheol;Aseefa, Awraris Derbie;Sung, Jung-Sook;Hur, On-sook;Ro, Na-young;Lee, So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 /
    • v.30 no.4
    • /
    • pp.305-312
    • /
    • 2018
  • Clubroot,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is one of the most crucial disease in Kimchi cabbage. Screening disease resistant genetic resources is necessary to develop disease resistant cultivar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We hav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clubroot to the 120 genetic resources of Kimchi cabbage introduced from World Vegetable Center and five Asian countries using isolate of Plasmodiophora brassicae collected in Haenam fields in Jeollanam-do Province, Rep. of Korea. This isolate was determined race 2 using differential varieties reported by Kim et al., 2016. IT100384 and IT305623 showed strong resistance, lower than disease index (DI) 1.0. IT100385, 100439, and 135407 showed moderate resistance (1.0

Genetic variation of halophyte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ioides) accessions collected in Korea using an AFLP marker (AFLP 마커를 이용한 국내수집 염생식물 번행초 유전다양성 평가)

  • Jeon, Yongsam;Jin, Yong-Tae;Choi, Seo-Hee;Park, Nuri;Kim, In-Kyung;Lee, Ka Youn;Choi, Jong-Jin;Lee, Geung-Jo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43 no.2
    • /
    • pp.157-16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ioides) as a new vegetable crop which will be cultivated in salt-affected soils such as reclaimed areas. New Zealand spinach ecotypes native to Korea were collected across the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seashore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mong which fifty-five accessions were later further propagated and evaluated genetically by using an AFLP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 Based on the AFLP analysis performed to uncover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collected ecotypes, enzymatic cleavage of the extracted DNA was implemented based on 12 EcoRI and MseI combinations. A total of 1,279 alleles (107 alleles per EcoRI and MseI enzyme combination) were successfully amplified, among which 62 alleles per enzyme combination were polymorphic (58%). The AFL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ate of genetic dissimilarity was 29% among the New Zealand spinach collections, which were clustered into the 7 genetic diversity group.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genetic variation in the genus Tetragonia, and the basic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select parental lines for enhancing the segregation spectrum of the new halophytic vegetable plant grown in salt-affected areas.

Quantitative Analysis of 1-deoxynojirimycin in Mulberry Leaves (뽕나무 유전자원의 1-deoxynojirimycin 함량 변이)

  • Kim, Hyun-Bok;Seo, Sang-Deok;Koo, Hui-Yeon;Seok, Young-Seek;Kim, Sun-Lim;Sung, Gyoo-Byung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1 no.1
    • /
    • pp.20-29
    • /
    • 2013
  • Countries of the world are competing for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which is a resource of value-added industrialization. We are building database of silkworm and mulberry resources with morphological, genetic characteristics data etc. Moreover, recent bioactive compound has been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So we analyzed 1-deoxynojirimycin(1-DNJ) content as a this item in addition to the basic information using 363 strains(varieties)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They were grown under the same environment and conditions. Mulberry leaves were collected and then freeze-dried and powdered for 1-DNJ test. As a result, 1-DNJ mean content of 363 mulberry strains was $0.176{\pm}0.077%$,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43.5%. The variation between the strains was greatly severe. Among the tested strains, 'C1D89/29' wa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0.47%, whereas 'Pumbo 24' and 'Turkey E' were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0.05% respectively. The content of 1-DNJ of 16 mulberry varieties for silkworm rearing were compared. Average concentration was $0.17{\pm}0.04%$,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22.8%. Variation among cultivars was not significant. Finally we selected 1-DNJ high-containing 11 strains. They are as follows. 'C1D89/29', 'Hiihak', 'Jeokasibmunja', 'Gweonchil', 'Botongsibmunja', 'Jeokchuk', 'bulguksang', 'Geunsookgojo', 'Busanggeum', 'Guksang 20' and 'Taekwang' which are more than twice of the overall average content.

Statistical Analysis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 in Breeding Line Rice Germplasm Collected from East Asian Countries Based on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근적외선분광분석에 의한 육성계통 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성분함량에 관한 통계분석)

  • Oh, Sejong;Choi, Yu Mi;Yoon, Hyemyeong;Lee, Sukyeung;Lee, Myung Chul;Shin, Myoung-Jae;Yoo, Eunae;Hyun, Do Yoon;Chae, Byungsoo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51 no.4
    • /
    • pp.298-317
    • /
    • 2019
  • A statistical analysis of 9,771 non-glutinous rice in breeding line germplasm collected from Korea (2,836), China (2,136), Japan (1,219), and the Philippines (1,213) was conducted using normal distribution, variability index value (VIV), analysis of variation (ANOVA) and Ducan's multiple range test (DMRT)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NIRS analysis. According to the normal distribution, the average protein content was 7.9%, and non-glutinous rice ranging over 10% amylose had 23.6% average content. Most resources were between 5.3 and 10.5% in protein content, and 15.7 and 31.5% in amylose content. The VIV was 0.54 for protein, and 0.83 for amylose. The average amylose content was 25.18%, 24.54%, 22.08%, and 21.47% in Filipino, Chinese, Korean, and Japanese resources, respectively, wheereas the average protein content was found to be 8.19%, 7.79%, 7.58%, and 7.42% in Filipino, Chinese, Korean, and Japanese resources, respectively. The ANOVA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0.01. The F-test value was 412.2 for amylose content, and 108.4 for protein when compared with the critical value of 3.78. The DMRT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among resources from different countries. The Filipino resources had the highest level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 whereas; the lowest level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 were found in Japanese when compared with resources of other origins. These results are recommended as helpful materials in the field of breeding.

Republic of Korea's Position o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and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 (생물다양성협약 대응 대한민국의 전략 - 디지털 염기서열 정보 및 2020년 이후 지구 생물다양성 보전 프레임워크 -)

  • Byoungyoon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4
    • /
    • 2022
  • 앞으로 10년간 세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가 2022년 12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다. 전 세계 전문가와 정책입안자들이 여러 내용을 다루지만 그중에서도 염기서열 정보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우선 생물다양성협약에서의 이익공유에 관한 내용은 북아시아 원산인 콩을 현재 대량으로 재배하고 수확하고 있는 미국, 브라질 등의 사례를 선별하여 소개한다. 이어서 생물다양성협약 체결 전후의 생물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해 국제적으로 합의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핵심 내용을 발표한다. 그러나, 최근의 합성생물학은 유전정보만을 가지고 설계자의 의도대로 실물 생물자원 없이 새로운 생물과 원하는 물질을 합성할 수 있기에 국제적으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유전공학과 합성생물학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유전정보를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익을 어떻게 공유하는지 알아본다. 생물자원 이용 국가들은 유전정보는 물리적인 실체가 없기에 이익공유대상이 아님을 주장하면서 유전정보는 원하는 누구에게나 이용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반면 생물자원 풍부국 입장은 생명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원산지 국가의 허가 없이 생물 유전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생물 주권의 침해로 보고 있으며, 유전정보를 실물 생물자원과 동일하게 취급하여 나고야 의정서상의 이익공유를 요구하고 있다. 유전정보에 대한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입장과 제 14차 협약 총회에서 합의한 결정문을 소개한다. 또한, 2019년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에서 지구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를 평가한 보고서에서 생물 멸종의 위협요인으로 제시된 토지이용 변화, 남획, 기후변화, 오염, 외래종에 대한 문제점을 기반으로 작성된 post-2020 생물다양성협약 10개년 실행 목표를 알아보고 2022년 12월 개최하는 제15차 당사국총회의 주요 의제에 대한 전망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공동의 그러나 차별적인 책임(CBDR,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의 개념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