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자원

Search Result 1,24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apsaicin, Dihydrocapsaicin Analysis of Various Pepper Genetic Resources (다양한 고추 유전자원의 Capsaicin, Dihydrocapsaicin 함량 분석)

  • Hur, On-Sook;Seong, Jung-Sook;Lee, Ho-Sun;Lee, Jae-Eun;Lee, Suk-Young;Assefa, Awraris D.;Lee, Ju-Hee;Ro, Na-Yo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125-125
    • /
    • 2018
  • 고추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채소 작물이다. 최근에는 소비자 기호의 변화, 기능성 물질에 대한 수요의 증대에 따라 신품종 개발을 위한 다양한 유전자원의 수집이 점차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유전자원을 활용하여 고기능성 물질 함유 품종 등 차별화된 신품종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본 과제의 주요 연구내용은 고추에서 매운맛을 내는 Capsaicin, Dihydrocapsaicin의 함량을 분석하여 매운맛이 우수한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시험재료로 사용된 고추 유전자원의 종은 Capsicum annuum 375점, C. baccatum 7점, C. chinense 29점, C. frutescens 6점, C. sp. 46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된 고추 유전자원의 원산지는 43개국이며, 중국 원산 자원이 132점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원산지 미상 자원은 38점이었다. 대조품종으로 청양, 독야청청, 오로벨을 사용하였다. Capsaicin의 함량은 0~680 mg/100g/DW로 분포하였고, 매운맛 대조품종으로 쓰인 청양이 221.85 mg/100g/DW이었으며 분석된 고추 유전자원 중에 청양보다 높은 자원은 62자원이었다. Dihydrocapsaicin의 함량은 0 ~ 415mg/100g/DW로 분포하였고, 대조품종으로 쓰인 청양이 50.14 mg/100g/DW 이었으며 분석된 고추 유전자원 중에 청양보다 높은 자원은 197자원이었다.

  • PDF

국가농업생명자원의 통합관리 효율화를 위한 농업유전자원 정보관리시스템(GMS) 개선 및 운영 현황

  • 유은애;유동수;조규택;강만정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3-53
    • /
    • 2022
  • 대한민국의 농업생명자원 중 식물유전자원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와 지방자치단체, 대학, 연구소 등 전국 79개 관리기관에서 보존하고 있으며 책임기관인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는 종자 1,599종 246,097자원, 관리기관은 영양체자원 1,476종 26,254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유전자원 관리(수집/증식/등록/평가/분양 등) 업무 중 생산되는 대량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농업유전자원 정보를 DB 구축하였다. 구축된 정보는 학명 등 기초정보, 형태·저항성 등 특성 정보, 화상·종자량·활력·분양·증식 등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농업유전자원관리시스템(Germplasm Management System, GMS)을 운영하였으나 개선전 프로그램은 설치 후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해야하고, 하드웨어 교체시 프로그램을 재설치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ML5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개선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크롬, 마이크로소트 엣지 등)에 실행 주소(genebank.rda.go.kr/gms)를 입력만 하면 전국 79개 관리기관에서 자원을 접수하고 평가한 정보를 어디에서든 확인이 가능하다(메뉴사용 및 권한설정은 필요). 개선된 농업유전자원 정보관리시스템은 국가적 차원의 통합관리를 지원하여 농업생명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자원에 대한 적절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농업생명자원의 활용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ustomers' Needs Analysis for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in RDA-Genebank (농업유전자원은행의 식물유전자원 분양 활용에 대한 수요자 요구도 분석)

  • Kim, Chang-Yung;Cho, Gyu-Taek;Baek, Hyung-Jin;Lee, Sok-Young;Lee, Myung-Chul;Lee, Young-Yi;Choi, Yu-Mi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6 no.2
    • /
    • pp.328-335
    • /
    • 2013
  •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is the nodal agency assigned as the National Agricultural Genebank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ts main role is to collect, conserve, evaluate and distribute plant genetic resources. As of 2010, NAC has distributed a total of 380,981 accessions in the last 20 years (1991-2010) or an average of about 19,000 accessions per year. To meet customers' demands for germplasm and derive quality improvements, a mail survey in 2011 was conducted among the genetic resource users in 2010. Most of the clients obtained information on the germplasm conserved in the national genebank from the NAC website or NAC staff, and they sought specific traits in the samples. Most users received the materials within 15 days, and wanted useful data together with genetic resource. Korean landrace was the most frequently requested accession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it is supposed that useful genetic resources should be preferentially collected and their characterization/evalu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들깨 유전자원의 보존 기간, 방법에 따른 종자 활력 변화

  • 노나영;성필모;조규택;이정로;남성희;윤문섭;메스핀 K. 헤일리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71-71
    • /
    • 2022
  • 들깨는 잎은 채소, 종자는 기름과 향신료로 이용하는 특용작물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는 국가등록 3,066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들깨 유전자원의 보존기간과 방법에 따라 종자 활력의 차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농업유전자원센터 보존 중인 들깨 유전자원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온도는 4도, -18도, 밀폐용기 보관하여 보존한 들깨 종자를 10년 보존 후 발아조사를 수행하였다. 발아환경은 페트리디쉬에 거름종이를 깔아 멸균수로 수분을 공급하고, 종자를 50립씩 2반복 치상 후 20도에서 7일, 14일에 조사하였다. 4도에서 보존한 들깨 577자원은 발아율이 85%이상인 자원이 184자원으로 나타났다. -18도에서 보존한 들깨 725자원은 발아율이 85%이상이 자원이 329자원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식물유전자원은행에서 양호한 발아율의 기준으로 85%를 사용하는데, 4도 보존 들깨 유전자원들은 조사한 자원의 32%가 양호하였고, -18도 보존 자원들은 45%가 발아 기준을 만족하였다. 들깨유전자원을 10년 주기로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18도 보존 종자의 발아율이 4도 보존 종자보다 기준발아율이 13% 우수하였으나 두 처리 모두 85% 기준발아율을 만족하는 자원이 50%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들깨유전자원을 4도, -18도에서 장기 보존할 때에 종자 활력 예측 및 활력 모니터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