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전자독성

검색결과 461건 처리시간 0.023초

거세미나방속 해충에 독성을 가지는 Bacillus thuringiensis 군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Toxic to Spodoptera Species in Kora)

  • 장진희;노종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4-159
    • /
    • 1996
  • 전국 토양, 앙장 농가, 저곡 창고, 시설 원예 단지, 과수원, 산, 밭 등에서 분리한 토양과 먼지 등의 시료로부터 거세미나방속 해충에 강한 독성을 보이는 7개 균주를 분류하였다. 이들을 각각 STB-1에서 STB-7까지 명명하였으며 모두 약 130kDA의 내독소 단백질을 형성하였다. 편모항원성 검정 결과 STB-1, STB-2는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와 STB-3, STB-4, STB-5는 subsp. kenyae와 반응하였으며 STB-6, STB-7은 기존의 편모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PCR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STB-1은 B. thuringiensis subsp. kurastaki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cryIE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STB-5는 subsp. kenyae와는 다른 유전자형을 보였다. 기존의 편모항체와 반응을 보이지 않은 STB-6와 STB-7은 cryIA(a), cryIA(b), cryIC, cryII를 가지고 있었다.

  • PDF

트리클로로에틸렌의 공동대사적 생분해를 위한 생물반응기 시스템 (Bioreactor Systems for the Cometabolic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lene)

  • 이은열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27-532
    • /
    • 2001
  • 공업용 유기용매나 그리스 제거제, 전자기판 세척제로 널리 사용되어 온 TCE는 적절한 처리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으며, 유전자변이 및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효율적인 처리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미생물막을 이용한 처리 방법은 TCE를 무해한 최종산물로 분해시킬 수 있으며, 운전비 및 설비비도 낮아 경쟁력 있는 처리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TCE 자체는 미생물의 성장기질로 사용되지 못하므로 공동대사 과정을 거쳐 분해된다. TCE 및 TCE 분해산물의 높은 독성으로 인하여 TCE 분해효소 및 세포 분해산물의 높은 독성으로 인하여 TCE 분해효소 및 세포 불활성화가 일어나서 장기간 안정된 반응기 운전이 어렵다는 단점과 성장기질을 공급하는 경우 유발되는 경쟁저해로 인한 분해효율 감소를 막을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생물반응기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생물반응기 시스템의 개발과 우수한 분해능을 가지는 균주 선별 및 개량 등을 통해 실제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생물학적 TCE 처리 기술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이다.

  • PDF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Luciferase 리포터 유전자 도입 사람 간 종양세포(HepG2 Cell)에서 Toxaphene과 Chlordane의 내분비 독성 (Endocrinic Effects of Toxaphene and Chlordane in Human Hepatoma Cell (HepG2 Cell) Transfected with Estrogen Receptor and Luciferase Reporter Gene)

  • 김경배;정지원;양세란;강경선;이영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05-211
    • /
    • 2004
  • Concern that some chemicals in our environment may affect human health by disrupt-ing normal endocrine function has prompted a research on interactions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with steroid hormone receptor. Toxaphene and chlordane are among the 12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dentified by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as requiring urgent attention. We compared the estrogenic activity of two organochlorine pesticides, toxaphene and chlordane, at estrogen receptor a (ER$\alpha$) and estrogen receptor $\beta$ (ER$\beta$). Human hepatoma cells (HepG2)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with rat ER$\alpha$ or ER$\beta$ plus an estrogen-responsive complement C3-luciferase (C3-Luc) reporter gene. After transfection,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oxaphene and chlordane to investigate agonism or antagonism of these chemicals. Both toxaphene and chlordane were potent agonists in HepG2 cells for ER$\alpha$. In contrast, these chemicals had a minimal agonist activity with ER$\beta$ and almost abolished 17$\beta$-estradiol-induced ER$\beta$-mediated activity. Therefore, toxaphene and chlordane behaved as an ER$\alpha$ agonist and an ER$\beta$ antagonist with estrogen-responsive reporter plasmid C3-Luc, and exposure to these organochlorine pesticides could have a crictical effect on normal endocrine function.

동물세포의 부착에 관여하는 살모넬라 유전자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Adhesins Required for Colonization of Animals)

  • 김영희;김상웅;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2-210
    • /
    • 2005
  • 살모넬라는 질병을 일으키기 위해서 장내의 상피세포에 먼저 부착하여 집락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살모넬라는 부착에 관여하는 세포내 몇 몇 소기관들을 합성한다. 이러한 소기관에는 type 1 fimbriae, plasmid-encoded fimbriae, long polar fimbriae 그리고 thin aggregative fimbriae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type 1 fimbriae, thin aggregative fimbriae, LP fimbriae, 그리고 PE fimbriae 각각을 결손시킨 변이주와 4종류를 모두 결손시킨 변이주를 만들 수 있었다. 변이주들에 대해서 세포배양 부착성 실험을 한 결과, 각각을 결손시킨 변이주들은 몇몇 mammalian 세포주에서 야생형 살모넬라와 동일한 양상으로 부착성을 나타내었고 마우스 실험에서 야생형과 거의 마찬가지로 독성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4종류의 fimbriae가 모두 결손된 균주는 닭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마우스에서는 매우 약독화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는 차이점은 닭과 비교하여 마우스에서 살모넬라의 부착을 매개하는 표면 구조에 연관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밀싹 추출물이 MMP-1의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and deterrent effect on gene expression of MMP-1 in wheat sprout extracts)

  • 유선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22
    • /
    • 2016
  • 밀싹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밀싹 추출물의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고, 피부 세포 미백 활성 및 노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밀싹 추출물이 HDF, B16F10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대한 효과는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자외선에 유도되는 MMP-1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통해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과 자연 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을 예방하는데 유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싹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 시 피부 노화 예방 관점에서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신 및 수유기간 동안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노출에 의한 랏트 부고환 clusterin mRNA 발현량 감소 (Decreased of Clusterin mRNA Expression of Epididymis Following Exposure to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in Sprague-Dawley Rats)

  • 강대웅;권수경;양윤정;천영진;홍연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291-299
    • /
    • 2008
  • Bisphenol A diglycidyl ether(BADGE)는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축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로 상업용 액상 에폭시 수지의 주성분이다. 본 연구는 clusterin mRNA 발현이 BADGE의 노출된 생식기계 독성에 연관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BADGE는 SPF Sprague-Dawley 임신 랏트에 임신 6일부터 수유기가지 하루에 한 번 0(대조군)과 375mg/kg/day를 경구 투여하였다. 수컷 새끼는 일반 사항과 몸무게, 일반 발달 지표(예,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 이개개전, 절치붕출, 유두잔류, 안검개열, 고환하강, 포피박리 등)등을 관찰하였다. 대조군과 투여군에서 다섯 마리의 수컷 새끼는 출생 후 3, 6와 9주에 부검하여 부고환의 조직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BADGE 375 mg/kg/day 투여군에서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는 대조군보다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출생 후 6주와 9주에서 부고환의 상대 무게는 대조군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조직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BADGE 투여 군에서 clusterin mRNA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3주에 56%, 6주에 57% 그리고 9주에 86% 감소하였다. 이런 결과는 랏트의 부고환에서 clusterin은 BADGE에 반응하는 유전자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A Study on Gamma ray effects on Stress Response and Cellular Toxicity using Bacterial Cells

  • 민지호;이현주;이창우;구만복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187-190
    • /
    • 2000
  • 본 연구는 5가지의 발광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해 방사선으로 알려져 있는 ${\gamma}-rays$가 여러가지 cellular stresses 중, 특히 유전자 손상과 생물막 손상을 유발하였는데, 이들의 손상 정도가 총 방사선량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생하는 bioluminescence 로써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선량률의 변화를 통하여 방사선으로 인한 유전자 손상 및 일반적인 독성 효과가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선량률 증가에 따라 이들 손상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선량률이 genetic 및 radioprotecion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낙우송(Metasequoia glyptostroboides)으로부터 분리한 flavonoid의 금속단백분해효소-9 발현 억제 활성 (Sup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of Flavonoids from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 양재영;이호재;고영희;권병목;전효곤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1-235
    • /
    • 2005
  •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MMP)는 기저막이나 간질성 조직 등에 있는 세포외기질 성분을 분해하여 상처 치유, 태아의 발생, 종양세포의 침윤과 전이 등을 포함하여 조직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인 과정 양쪽 모두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MMP-9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천연물에서 탐색하였고, 탐색된 시료 중에서 높은 역가를 가진 낙우송과의 Metasequoia glyptostroboides가 선택되었다. 여러 가지 flavonoid 성분을 가지고 있는 Metasequoia glyptostroboides를 이용하여 4개의 biflavonoid와 2개의 monoflavonoid 구조의 물질을 분리하였고, 이 flavonoid들은 sciadopitysin, isoginkgetin, bilobetin, 2, 3-dihydrohino-kiflavone, luteolin, apigenin으로 정제하여 구조를 밝히고 zymography, WST-1을 이용한 세포독성시험, northern blot 등의 실험을 통하여 각 화합물의 구조적인 특성과 함께 MMP-9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체유방암 세포주 MCF-7 세포에서 genistein의 Aryl Hydrocarbon Receptor와 Cytochrome P450 1A1에 대한 영향 (Effect of Genistein on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and Cytochrome P450 1A1 in MCF-7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 한은희;김지영;정혜광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1호
    • /
    • pp.13-19
    • /
    • 2006
  • 화학적 예방효과가 있는 식물성 에스트로젠은 다양한 환성을 나타내며 여러 세포 수용체와 상호작용한다. Genistein은 isoflavone의 주요물질 중의 하나로 콩류에 존재하며 대표적인 식물성 에스트로젠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aryl hydrocarbon receptor(AhR)에 의해 매개되는 발암물질 활성화 경로에 대한 genistein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세포에 genistein을 처리할 경우 cytochrome P450 1A1(CYP1A1) 약물대사효소의 특이적인 효소반응인 7-ethoxyresorufin O-deethylase (EROD) 활성도와 CYP1A1의 유전자 발현이 genistein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Genistein과 발암물질인 방향족탄화 수소 7, 12-dimethylbenz[a]anthracene(DMBA)를 동시 처리하였을 경우 DMBA에 의해 유도되어 증가된 EROD활성도와 CYP1A1의 유전자 발현이 genistein에 의해 감소하였다. 랫트의 간에서 분리한 세포질을 이용하여 genistein과 AhR의 대표적인 ligand인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과 경쟁적 결합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genistein이 AhR에 경쟁적으로 결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genistein이 천연 AhR ligand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식물성 에스트로젠인 genistein은 AhR경로의 길항제/항진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염기성 올리고펩티드 유도체를 가진 고분자 리피드의 합성 및 유전자 전달 효과 연구 (Synthesis of Polymerizable Amphiphiles with Basic Oligopeptides for Gene Delivery Application)

  • 배선주;최혜;최준식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94-99
    • /
    • 2013
  • 폴리디아세틸렌(polydiacetylene, PDA)은 자기조립된 디아세틸렌(diacetylene) 단량체의 광중합에 의해 만들어진다. 디아세틸렌 단량체들이 조직적으로 배열되면 254 nm의 자외선 노광에 의해 1,4-첨가 중합이 일어나 고분자 주사슬에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이 교대로 존재하는 폴리디아세틸렌이 만들어진다. 폴리디아세틸렌 수용액은 일반적으로 약 640 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지니는 청색을 띠게 되며 여기에 온도나 pH의 변화, 다른 물질의 결합 등 외부 자극에 의해 약 550 nm의 최대 흡수 파장을 띠는 적색으로 색 전이가 일어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체상 펩티드 합성을 이용하여 PCDA(10,12-pentacosadyinoic acid) 리포좀의 표면에 양이온성 올리고펩티드를 도입하였다. 또한 다양한 몰 비율로 리포좀 수용액을 제조하여 동물 세포에 트랜스펙션한 결과, 향상된 유전자 전달 효율과 낮은 독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PCDA의 특성을 이용하여 세포에 처리 후 세포 관련 비표지 형광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