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상관

검색결과 726건 처리시간 0.032초

대두의 성분육종에 관한 연구 제2보 화학성분의 표현형상관과 유전상관 (Studies on the Chemical Contents for Soybean Breeding I. Phenotypic and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Chemical Contents)

  • 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0
    • /
    • 1977
  • 대두의 성분육종에 대한 기초재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의 주요7개품종과 이들 품종을 교배친으로하여 이면교잡에 의한 21개조합의 잡종종자 도합 28품종 및 계통종자를 재료로 단백질, 지방질, $\textrm{P}_2\textrm{O}_5$, $\textrm{K}_2\textrm{O}$, CaO, MgO, 회분 그리고 수분의 8개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이들성분 상호간의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그리고 환경상관을 본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과 지방함량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아니하고 단백질과 $\textrm{P}_2\textrm{O}_5$ 간, 지방과 $\textrm{P}_2\textrm{O}_5$ 간에도 상관관계가 보이지 아니하였다. 2. 단백질과 $\textrm{K}_2\textrm{O}$, 단백질과 회분, 단백질과 수분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보이나 지방과 CaO, 지방과 회분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보였다. 3. $\textrm{P}_2\textrm{O}_5$와 회분간에는 정의 상관이 보였으나 $\textrm{P}_2\textrm{O}_5$와 수분, CaO와 수분, MgO와 회분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보였다. 4. $\textrm{K}_2\textrm{O}$, CaO, 회분, 수분의 4개성분은 단백질과 지방질에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환경상관에 있어서는 단백질과 회분간에 정의 상관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을 뿐 다른성분 상호간에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 PDF

특정 종돈집단의 임신기간, 이유후초종부일, 총산자수 및 사산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estation Length, Wean to First Service, Litter Size and Stillborn Piglets in a Closed Nucleus Swine Breeding Herd)

  • 이득환;손지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389-398
    • /
    • 2013
  • 본 연구는 폐쇄종돈군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선발육종을 실시한 Landrace 및 Yorkshire 모계 종돈집단에서 임신기간, 총산자수, 이유후초종부일 및 사산두수에 대한 유전적 변이성을 제시함으로써 이들 형질들에 대한 선발지표에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상기의 형질들에 대하여 사전 이상치를 제외한 후, Landrace 품종에서 1,910두의 모돈으로부터 수집된 7,616복의 기록 및 Yorkshire 품종 2283두의 모돈으로부터 수집된 총 10,454복의 기록을 이용하였다. 분석형질들에 대한 유전변이를 추정하기 위하여 상기의 4개 형질을 동시에 고려한 혼합모형을 설정하였으며, 특히 사산두수에 대하여는 정규성에 크게 위배되기 때문에 범주형 자료로 가정하여 다형질 선형-임계형 반복동물개체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서는 Bayesian 추론의 일종인 Gibbs Sampling (GS) 방법에 의하여 모수의 사후분포 함수로부터 모수에 대한 GS을 50,000회 실시하고 burn-in을 제외한 후 모수의 사후분포에 대한 통계량을 제시하였다. 유전변이를 추정한 결과, 임신기간에 대한 유전력은 0.21~0.35로 추정되었고, 이유후초종부일에서는 0.16~0.23, 총산자수는 0.14~0.16 및 사산두수에 있어서는 0.09~0.10으로 추정되었다. 임신기간에 대한 유전상관 추정치는 총산자수 및 사산두수에서 부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총산자수와 사산두수와는 정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산자수와 이유후초발정일 간의 유전상관은 낮은 부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임신기간과 이유후 초종부일 간에는 유전적 상관관계가 매우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총산자수를 개량하고자 할 때, 사산두수를 고려하여 선발지표를 설정함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들깨 품종집단에 대한 몇 개 양적 형질의 유전분석 (Genetic Analyzed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 Perilla)

  • 정원복;정대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31-436
    • /
    • 1998
  • 잎 들깨 품종의 선발을 위하여 들깨 91품종의 집단에서 8개 형질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 상관을 추정하여 잎 들깨 양적 형질의 효율적 선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그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전력은 엽중, 엽면적, 엽장, 엽폭, 초장, 경직경, 마디수가 0.7311~09112로서 높았고, 1주엽수가 0.3241로서 다소 낮았다. 유전 상관은 엽중과 엽면적, 엽중과 엽장, 엽중과 엽폭, 엽중과 초장, 엽중과 경직성, 초장과 경직경, 초장과 마디수, 경직경과 마디수 사이에서 각각 +로 유의하였다. 모든 형질간의 상관관게어세 유전상관의 값이 표현형 상관의 값보다 높았다.

  • PDF

대나무 수개형질간(數個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관(關)한 연구(硏究) (Phenotypic, Genotypic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s among Some Character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 정영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18
    • /
    • 1975
  • 본시험(本試驗)은 죽간재적(竹稈材積)에 영향(影響)하는 형질(形質)을 정확(正確)하게 파악(把握)하기 위(爲)하여 계획(計劃)되었다. 그리고 왕대의 수개형질상호간(數個形質相互間)의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 유전상관(遺傳相關) 및 환경상관(環境相關)을 구명(究明)하고져 공분산분석(共分散分析) 되었으며 Dewey and Lu의 편회귀분석법(偏回歸分析法)으로 각형질(各形質)이 죽간재적(竹稈材積)에 미치는 효과(効果) 즉(即) 경로계수(經路係數)를 산출(算出)하였다. 조사형질(調査形質)은 흉고직경(胸高直徑), 죽간고(竹稈高), 지상고(枝上高), 지하경(地下莖), 절수(節數), 근원직경(根元直徑) 및 죽간재적(竹稈材積)이며 각(各) 형질(形質)의 평균치(平均値), 표준오차(標準誤差), 분산(分散) 및 표준편차(標準偏差)는 제(第)1표(表)와 같고 7개형간(個形間)의 표현형(表現型), 유전(遺傳) 및 환경상관(環境相關)을 분산분석(分散分析)한 결과(結果)는 제(第)2표(表)와 같이 계통간(系統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몇몇 반복간(反覆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각(各) 형질(形質)의 유전력(遺傳力)을 추정(推定)한바 흉고직경(胸高直徑)과 근원직경(根元直徑)은 유전력(遺傳力)이 높고 기타형질(其他形質)의 유전력(遺傳力)은 제(第)4표(表)에서와 같이 보다 낮으며 환경상관(環境相關)은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 유전상관(遺傳相關)보다 전체적(全體的)으로 낮다. 그리고 죽간재적(竹稈材積)에 대(對)하여 근원직경(根元直徑)과 흉고직경(胸高直徑)은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형질별(形質別) 상관관계(相關關係), 경로계수(經路係數) 및 죽간재적(竹稈材積)에 미치는 직접(直接), 간접효과(間接効果)는 도표(圖表) 1과 제(第)5표(表)에서 볼 수 있으며 결과적(結果的)으로 본시험(本試驗)에서는 죽간재적수량(竹稈材積收量)은 근원직경(根元直徑)과 흉고직경(胸高直徑)에 의(依)하여 좌우(左右)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남부 지역에 적응한 택사의 품종선발 (The Selection Alisma plantago Varieties Suitable for the Southern Part of Korea)

  • 권병선;현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3-187
    • /
    • 2001
  • 남부지방에 적합한 품종의 효율적인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9품종을 공시하여 생육 및 수량조사, 유전분산, 환경 분산, 유전력, 상관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수성이며 꽃대발생수가 적어서 품질이 우수한 Sunwol 택사 품종이 남부지방에 가장 적합한 품종으로 나타났었다. 2. Sunwol 품종의 모든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대부분의 형질에서 높았다. 3.형질 상호간의 상관에서 건근 수량은 초장, 엽수와는 정의상관으로 유의성이 높았고 꽃대 발생수, 묘상의 초장, 묘상의 엽수와는 부의상관으로 나타났다. 4. 건근 수량과 상관이 높았던 형질들은 유전력 추정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 PDF

Holstein종 젖소의 선형심사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 for Linear Type Traits in Holstein Dairy Cattle in Korea)

  • 이기환;상병찬;남명수;도창희;최재관;조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45-352
    • /
    • 2009
  • 본 연구는 1998부터 2007년도까지 수집된 국내 홀스타인종 22,175두의 15개 형질에 대한 332,625개의 선형심사 점수, 22,175개의 최종점수와 84,612개의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유전 및 오차 분산-공분산은 16개 형질에서 2개 형질씩 짝을 지어 총 225개 형질조합에 대하여 이형질(二形質) 모형을 이용하여 DFREML 패키지로 추정하였다. 키(ST), 강건성(STR), 체심(BD), 예각성(DF), 엉덩이 기울기(RA), 엉덩이 너비(TW), 옆에서 본 뒷다리(RLSV), 발굽기울기(FA), 앞유방의 붙음성(FUA), 뒷유방의 부착높이(RUH), 뒷유방의 너비(RUW), 정중제인대(UC), 유방의 깊이(UD), 뒤에서 본 앞유두의 배열위치(FTP), 앞유두의 길이(FTL) 그리고 최종점수(FS)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31, 0.21, 0.25, 0.10, 0.29, 0.19, 0.09, 0.06, 0.1, 0.293, 0.1, 0.20, 0.196 0.190, 0.28 그리고 0.15로 추정되었다. 키는 강건성과 0.9 의 가장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옆에서 본 뒷다리는 발굽기울기와 -0.56의 가장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엉덩이 기울기는 정중제인대를 제외한 유방형질과 -0.17에서 -0.02의 부 (-)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뒷유방의 너비는 강건성(0.60), 체심(0.62), 엉덩이 너비(0.49)와 높은 정(+)의 유전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유방 깊이는 강건성(-0.4), 체심(-0.4)과 높은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앞유두의 길이는 앞유방의 붙음성, 뒷유방의 부착높이, 뒷유방의 너비, 정중제인대 그리고 유방의 깊이와 모두 부(-)의 유전상관을 나타냈다. 최종점수는 정중제인대(0.12), 유방의 깊이(0.18), 그리고 뒤에서 본 앞유두의 배열위치(0.2)와 정(+)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유전 및 잔차 분산-공분산 행렬이 양정치 행렬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유전능력평가에 이용하기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며, 모든 형질에 대한 유전상관을 동시에 추정하는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전율 측정을 통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공극률 추정 연구 (Evaluation and Determination of Air Void for Asphalt Concrete using a dielectric constant measurement)

  • 김부일;김영민;조인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5-104
    • /
    • 2009
  • 본 연구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유전율과 공극률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범위 $(0%{\sim}20%)$의 공극률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였고, 저주파 유전율 측정법인 parallel plate법을 사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편의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편의 경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용한 아스팔트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그 감소폭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공극률 $0%{\sim}20%$ 사이에서 공극률이 증가함에 따라 유전율 값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더불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편의 유전율에 대한 온도 및 함수량 영향을 보정하여 유전율에 따른 공극률의 상관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유전율과 공극률의 상관식은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전율을 활용한 비파괴 밀도 측정장비의 보정모델로 활용 가능하며, 향후 국내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아스팔트 포장 비파괴 밀도 측정장비의 기본적인 알고리즘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중부지방에 있어서 과맥 유용형질의 선발효과 (The Selection Efficiency of Some Agronomic Characters of Naked Barley in the Central Region in Korea)

  • 김종수;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0-369
    • /
    • 1988
  • 중부지방에 있어서 과맥의 유용형질에 대한 유전율, 유전상관, 경로계수, 선발지수 및 유전적 진보의 선발효과를 구명코자 백동외 8품종을 공시하여 단국대학교 농과대학의 전작포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맥 품종군의 유전율은 간장, m$^2$당 수수는 높은 유전력을 보였으며 기타 형질은 비교적 낮았고 천립중은 매우 낮았다. 2. 일반적으로 유전상관은 표현형상관보다 높았으며 수량과 타형질과의 유전상관은 총생체중, 수중, 수중대고중비는 고도의 정상관이 있었고 간장, 수장, 1수립수, 수당불임입수와는 높은 부상관을 나타냈다. 3. 수량에 관하여는 형질을 보다 정확히 알기 위하여 경로계수를 분석한 바 총생체중, 수중대고중비 및 천립중 등이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하였다. 4.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각 형질의 선발지수 및 수량에 대한 유전적 진보를 계산한 결과 2~3 개 형질을 대상으로 하여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가는 것이 시간과 노력 그리고 선발효과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 PDF

체세포점수와 홀스타인 유방형질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Somatic Cell Score and Udder Type Traits of Holstein Cattle)

  • 최태정;서강석;김시동;박병호;최재관;윤호백;나승환;손삼규;권오섭;조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285-292
    • /
    • 2008
  • 본 연구는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한 젖소개량방법으로 체세포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선형심사 자료에서 유방염에 관련된 형질을 이용하여 새로운 선발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단계로 국내 젖소집단의 체세포점수 분포와 변화추이를 분석해보고 연령, 분만계절, 비유단계의 환경효과를 구명하고 유방관련 형질과의 유전상관과 유전력을 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유우군 능력검정을 통하여 2000년부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는 1산차 기록을 갖는 10,929개체의 290,144 검정일 기록과 37,723개의 유방형질 기록을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유방형질은 전유방붙음성, 뒷유방높이, 뒷유방너비, 유방깊이, 앞유두길이의 형질이며 체세포 점수간의 표현형상관과 유전상관을 구하고 분산성분을 추정하였으며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표현형상관과 유전상관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모형은 개체모형으로 DF-REML방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유방깊이와 앞유두길이의 유전력은 0.23, 0.22로 체세포점수의 유전력은 0.08로 분석되었다. 유방형질과 체세포점수간의 표현형상관은 -0.03~-0.0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높은 유방붙음성을 갖을수록 낮은 체세포점수를 보였다. 체세포점수와 유방깊이, 체세포점수와 앞유두길이의 유전상관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실용계군에 있어서 누진퇴교배에 의한 주요경제형질의 유전적 변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enetic Variations of the Economic Traits by Backcrossing in Commercial Chickens)

  • 이종극;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1-71
    • /
    • 1989
  • 본 연구는 실용계군에서 부계통 종계에 누진적으로 퇴교배를 수행하였을 때 변화하는 산란형질의 일반능력과 유전력 및 유전상관을 분석하므로 산란형질과 집단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시험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실험계사에서 실용계 I 계통을 기초계군으로 사용하여 1985~1987연까지 사육된 1,230수를 이용하여 60주령까지의 각 개체별 성적을 기초로 하였으며, 교배조합별 그리고 누진퇴교배 세대별에 따른 일반능력 및 유전적 변이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각 형질의 일반능력($Mean\pmS$_{D}$$)은 8주령 체중이 $663.94\pm87.11$g, 20주령 체중은$1579.1\pm155.43$g, 40주령 및 60주령 체중은 각각 $2124.1\pm215.31$g, $2269.1\pm242.94$g으로 20주영 체중을 제외한 모든 체중에 대해 퇴교배에 따른 고도의 유의차를 보였다(P<0.01). 산란형질에 대한 일반능력은 초산일령(SM)이 $168.43\pm12.94$일, 60주령 까지의 총산란수(TEN)는 $214.82\pm29.82$ 개, 평균난중(AEW)은 $61.45\pm3.48$g, 60주령까지의 총산란중량(TEM)은 $13180.7\pm1823.22$g으로 평균난중(AEW)을 제외한 모든 산란형질이 퇴교배에 대한 고도의 유의차를 보이고 있다(P<0.01). 한편 퇴교배회수가 증가할수록 산란성적이 우수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실용계에서 퇴교배를 하여감에 따라 분리된 유전자가 우수한 형질을 발현하도록 하는 유전자로 고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 각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다음과 같다.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의 유전력은 각각 0.47~0.52, 0.40~0.54로 유전력이 비교적 높은 형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총산란수(TEN)와 총산란중량(TEM)의 유전역은 각각 0.07~0.37, 0.18~0.27로 유전력이 낮은 형질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든 산란형질의 유전력이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 보다 높게 나타나서 이들 형질의 모체효과를 포함한 비상가적 유전분산의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3. 퇴교배에 따른 유전력 변화를 부모분산성분에 의하여 살피보면 기초계군(BC0), 퇴교배 1세대(BC1), 퇴교배 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초산일령(SM)은 0.47, 0.42, 0.51 이였으며 총산란수(TEN)에서는 0.28, 0.13, 0.27으로 유전역 변화의 일정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난중(AEW)과 총산란 중량(TEM)에서는 기초계군(BC0), 퇴교배1세대(BC1), 퇴교배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0.59, 0.43, 0.35와 0.28, 0.20, 0.18로 추정되어 뚜렷한 유전력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난중과 총산란중량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4. 산란형질간의 유전상관을 살펴보면 초산일령(SM)과 총산란수(TEN)간의 유전상관은 -0.55이고 초산일령(SM)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42로 부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간은 0.20으로 낮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수(TEN)간은 -0.29이고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31의 낮은 유전상관을 보이고 있다. 한편 총산란중량(TEM)과 총산란수(TEN)간은 0.82의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므로 이상의 결과에서 총산란중량(TEM)에 관여하는 것은 평균난중(AEW) 보다는 주로 총산란수(TEN)에 기인하는 것 같다. 또한 총산란수( TEN)는 초산일령( SM)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총산란중양(TEM)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총산란수(TEN)를 증가시키고 초산일령(SM)을 단축시키는 것이 평균난중(AEW)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더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퇴교배가 진행됨에 따라 각 형질간의 우전상관사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퇴교배가 증가할수록 총산란중량과 총산란수간의 유전상관은 높아졌고 (BC0 : 0.79, BC1 : 0.82, BC2 : 0.91), 총산란중량과 평균난중간의 유전상관은 뚜렷한 경향치가 관측되지 않았으며 총산란중량과 초산일령간의 유전상관은 감소하였다(BC0:-0.54, BC1:-0.36, BC2 :-0.09). 그러므로 총산란중량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평균난중이 아니라 총산란수이며 퇴교배가 진행될수록 초산일령의 효과는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