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Genetic Variations of the Economic Traits by Backcrossing in Commercial Chickens

실용계군에 있어서 누진퇴교배에 의한 주요경제형질의 유전적 변이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89.06.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genetic variations by backcrossing in commercial chickens. Backcrossing was carried out successively back to parent stock (P.S).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stimated to verify the genetic variations. The data obtained from a breeding programme with commercial chickens (I strain) were collected from 1955 to 1987 at Poultry Breeding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Data came from a total of 1230 female offspring.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neral performance ($Mean\pmStandard deviation$) of each trait was $663.94\pm87.11$g for 8 weeks body weight, $1579.1\pm155.43$g for 20 weeks body weight, $2124.1\pm215.3$g for 40 weeks body weight, $2269.1\pm242.94$g for 60 weeks body weight, $168.43\pm12.94$ day for a9e at sexual maturity (SM), $214.52\pm29.82$ eggs , for total egg number to 60 weeks of age (TEN), $61.45\pm3.48$ g for average weight (AEW), $13180.7\pm1823.22$ g for total egg mass to 60 weeks of age(TEM). All traits, except 10 weeks body weight and AEW, were significant for the degrees of backcross (p<0.01). 2. The pooled estimates of heritabilities derived from the sire, dam and combined variance components were 0.47~0.52 for age at sexual maturity (SM), 0.07~0.37 for total egg number (TEN), 0.40~0.54 for average egg weight (AEW), 0.18~0.27 for total egg mass (TEM). High heritability estimates were found for SM and AEW. TEN and TEM were estimated to be a lowly heritable traits. Heritability estimates from dam component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sire components. These differences might be due to non-additive genetic effect and maternal effect. 3.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and standard errors derived from combined variance components for different degrees of backcross were $0.47\pm0.11$ (BCO), $0.42\pm0.16$ (BC1), $0.51\pm0.29$ (BC2) for TEN, $0.59\pm0.20$ (BCO), $0.43\pm0.17$ (BC1), $0.35\pm0.18$ (BC2) for AEW, $0.28\pm0.12$(BC0), $0.20\pm0.11$(BC1), $0.18\pm0.14$ (BC2) for TEM. Heritability estimates for AEW and TEM were decreased by backcrossing while those for SM and TEN remained constant. Since backcrossing contributes to increased homozygosity,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traits (AEW and TEM) decreased . 4. The pooled estimates of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55 between SM and TEN, 0.20 between SM and AEW, -0.29 between TEN and AEW, 0.82 between TEM and TEN, 0.31 between TEM and AEW, -0.42 between TEM and SM. The genetic correlation between TEM and TEN was higher than that between TEM and AEW, and it was suggested that egg mass was strongly affected by egg number. Also, age at sexual maturity(SM) contributes to egg mass(TEM). 5. When backcrossing was carried out successively, the genetic correlation between TEM and TEN increased (BC0:0.79, BC1:0.82, BC2:0.91) but those between TEM and SM decreased (BC0:-0.54, BC1:-0.36, BC2:-0.09) with successive backcrosses.

본 연구는 실용계군에서 부계통 종계에 누진적으로 퇴교배를 수행하였을 때 변화하는 산란형질의 일반능력과 유전력 및 유전상관을 분석하므로 산란형질과 집단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시험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실험계사에서 실용계 I 계통을 기초계군으로 사용하여 1985~1987연까지 사육된 1,230수를 이용하여 60주령까지의 각 개체별 성적을 기초로 하였으며, 교배조합별 그리고 누진퇴교배 세대별에 따른 일반능력 및 유전적 변이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각 형질의 일반능력($Mean\pmS$_{D}$$)은 8주령 체중이 $663.94\pm87.11$g, 20주령 체중은$1579.1\pm155.43$g, 40주령 및 60주령 체중은 각각 $2124.1\pm215.31$g, $2269.1\pm242.94$g으로 20주영 체중을 제외한 모든 체중에 대해 퇴교배에 따른 고도의 유의차를 보였다(P<0.01). 산란형질에 대한 일반능력은 초산일령(SM)이 $168.43\pm12.94$일, 60주령 까지의 총산란수(TEN)는 $214.82\pm29.82$ 개, 평균난중(AEW)은 $61.45\pm3.48$g, 60주령까지의 총산란중량(TEM)은 $13180.7\pm1823.22$g으로 평균난중(AEW)을 제외한 모든 산란형질이 퇴교배에 대한 고도의 유의차를 보이고 있다(P<0.01). 한편 퇴교배회수가 증가할수록 산란성적이 우수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실용계에서 퇴교배를 하여감에 따라 분리된 유전자가 우수한 형질을 발현하도록 하는 유전자로 고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 각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다음과 같다.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의 유전력은 각각 0.47~0.52, 0.40~0.54로 유전력이 비교적 높은 형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총산란수(TEN)와 총산란중량(TEM)의 유전역은 각각 0.07~0.37, 0.18~0.27로 유전력이 낮은 형질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든 산란형질의 유전력이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 보다 높게 나타나서 이들 형질의 모체효과를 포함한 비상가적 유전분산의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3. 퇴교배에 따른 유전력 변화를 부모분산성분에 의하여 살피보면 기초계군(BC0), 퇴교배 1세대(BC1), 퇴교배 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초산일령(SM)은 0.47, 0.42, 0.51 이였으며 총산란수(TEN)에서는 0.28, 0.13, 0.27으로 유전역 변화의 일정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난중(AEW)과 총산란 중량(TEM)에서는 기초계군(BC0), 퇴교배1세대(BC1), 퇴교배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0.59, 0.43, 0.35와 0.28, 0.20, 0.18로 추정되어 뚜렷한 유전력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난중과 총산란중량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4. 산란형질간의 유전상관을 살펴보면 초산일령(SM)과 총산란수(TEN)간의 유전상관은 -0.55이고 초산일령(SM)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42로 부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간은 0.20으로 낮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수(TEN)간은 -0.29이고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31의 낮은 유전상관을 보이고 있다. 한편 총산란중량(TEM)과 총산란수(TEN)간은 0.82의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므로 이상의 결과에서 총산란중량(TEM)에 관여하는 것은 평균난중(AEW) 보다는 주로 총산란수(TEN)에 기인하는 것 같다. 또한 총산란수( TEN)는 초산일령( SM)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총산란중양(TEM)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총산란수(TEN)를 증가시키고 초산일령(SM)을 단축시키는 것이 평균난중(AEW)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더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퇴교배가 진행됨에 따라 각 형질간의 우전상관사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퇴교배가 증가할수록 총산란중량과 총산란수간의 유전상관은 높아졌고 (BC0 : 0.79, BC1 : 0.82, BC2 : 0.91), 총산란중량과 평균난중간의 유전상관은 뚜렷한 경향치가 관측되지 않았으며 총산란중량과 초산일령간의 유전상관은 감소하였다(BC0:-0.54, BC1:-0.36, BC2 :-0.09). 그러므로 총산란중량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평균난중이 아니라 총산란수이며 퇴교배가 진행될수록 초산일령의 효과는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