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입 열량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racteristics of the Air Heat Exchanger for the Improvement of the Heat Pump COP (열펌프 성능향상을 위한 공기 열교환기 특성)

  • 노정근;송현갑;박용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151-157
    • /
    • 2002
  • 화석에너지에 대한 경제적 부담과 환경오염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열펌프의 성능계수향상을 위하여 냉온 공기열교환기(HEEVA)를 고안하였고, 이 열교환기의 열특성과 성능계수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냉.난방 실험을 수행하였다. HEEVA에 의한 찬 공기와 더운 공기의 온도변화, 전열량 및 냉온 공기열교환기 효율, 총열전달계수등을 측정분석하였고, 냉난방시 외기온에 따른 열펌프의 성능계수, 소비전력, 응축기.증발기 출구 공기토출 온도 변화를 측정 분석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외기온이 -4~11$^{\circ}C$로 변할 때 열펌프의 난방과정에서 HEEVA 찬공기 입출구 온도차는 4.5$^{\circ}C$에서 9.$0^{\circ}C$로 증가하였으며, HEEVA에 의한 영향으로 2~6$^{\circ}C$상승된 공기가 증발기 입구로 유입되어 냉매증발을 촉진하였다. 2. 실온이 4~22$^{\circ}C$일 때 HEEVA 더운공기 입출구 온도차는 3$^{\circ}C$에서 7$^{\circ}C$로 증가하였으며, 응축기에 유입되는 공기온도를 3~8$^{\circ}C$낮게 함으로서 압축기 소모전력을 감소시켜 COP 상승 효과를 나타냈다. 3. 외기온과 실온변화에 따라 풍량 346m$^3$/hr의 찬 공기가 받은 열량과 풍량 747m$^3$/hr의 더운 공기가 준 열량간의 차는 50~150kcal/hr로 나타났으며, 더운 공기가 준열량과 찬 공기가 받은 열량의 비가 83~98% 이었으므로 HEEVA의 열 교환율은 91% 을 보였다. 4. 총합열전달계수는 이론값이 실험 값보다 1~3W/m$^2$K 크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두 값 사이에 10% 내.외의 편차로서 Nusselt수를 구하기 위한 Petukhov상관식의 자체오차 15%에 비해 크지 않은 오차범주에 속하며, 이론상의 총합열전달계수 유도식의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5. HEEVA를 작동함으로서 난방시 COP가 HEEVA를 작동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0.3~0.5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HEEVA가 겨울철 난방에 효율을 높일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and transportation of syngas produced from gasification process of high-calorific waste and Sewage Sludge (고발열량폐기물 및 탈수슬러지 혼합가스화를 통해 생산된 합성가스 압축, 이송 운전 특성)

  • Park, Soo-Nam;Ku, Jae-Ho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832-835
    • /
    • 2009
  • 폐기물의 감량화 및 자원화 기술 중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폐기물의 가스화 용융 기술을 들 수 있다. 폐기물 가스화 용융 기술은 폐기물 내의 탄소 및 수소 성분은 가스화 하여 CO, $H_2$가 주성분인 합성가스(synthesis gas, syngas)로 전환하고, 불연물은 용융하여 환경적으로 무해한 슬래그 또는 금속으로 회수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발열량폐기물과 탈수슬러지 혼합가스화를 통하여 생산된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압축기를 통하여 유용한 원료물질을 제조하는 공정인 수성가스 전환 반응(water gas shift reaction)과 가스화 반응기의 보조연료로 투입하기 위한 합성가스 압축, 이송 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고발열량폐기물과 탈수슬러지 혼합가스화에서 합성가스는 안정적으로 발생하였으며, 합성가스 압축, 이송시스템을 위한 정제설비에서의 분진제거는 99.07 %의 효율을 얻었고, 또한 합성가스 재순환 장치의 성능시험을 통하여 대기 중의 산소가 유입이 안 되는 기밀성을 확인하였다. 합성가스 압축, 이송 공급 유량 제어 실험 결과로는 합성가스 압축기 기동 시 합성가스 압축압력과 공급유량은 비례적으로 증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Heat Flow Change of Vacuum Jacket Valve According to Pressure Change and Jacket Thickness (자켓의 압력 및 두께 변화에 의한 진공 자켓 밸브의 유입 열량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i-Pom;Lee, Kwon-Hee;Jeon, Rock-Won;Do, Tae-Wa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2
    • /
    • pp.232-237
    • /
    • 2011
  • Recently, continuous research on cryogenic valves is being carried ou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ryogenic valve-related industry, and especially, high performance of cryogenic valves is being promoted due to the breakthrough development and demand of users, etc., of the mechanical, shipbuilding, semiconductor and display industry and the aerospace industry field, but it is the reality that technical development and research on cryogenic application equipment on vacuum insulation are insufficient. The present research focused on interception of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by keeping low pressure after installing a jacket pipe outside a stem and also considered heat transfer properties on changes in pressure of a vacuum part and radius of a jacket which can reduce heat exchange for effective heat transmission control by studying it in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ethod.

A Controller Development of Water Heating in a Ceramic Pipe Using Electronics Control System (전자제어 장치를 이용한 세라믹 파이프의 온수제어기 개발)

  • Lee, Jung-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5
    • /
    • pp.717-722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electronic controller is developed for controlling the setting temperature and water in the ceramic pipe system. The heating water system is designe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o supply the heat through the ceramic pipe heater to input the water, also for controlling quantity of water using the water sensor and impeller. The control method of the heating water system is applied the mathematic modeling of the ceramic pipe heater on the suppling the heat at coming water, and the test result of the electronic controller is present to smartly control the setting temperature, therefore the ceramic pipe heater is proposed to be able to apply the heating structure and the control methods as a product.

유동층 연소

  • 채재우
    • Journal of the KSME
    • /
    • v.21 no.3
    • /
    • pp.166-174
    • /
    • 1981
  • 광물질(회분, 석회석 또는 모래) 입자의 "유동층" (fuidised bed)에 연료를 유입하여 연소시키는 소위 "유동층 연소" 기술은 최근 몇년동안 상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왜냐하면 유동층 연소는 특히 저발열량 연료 (저질탄, 쓰레기등)의 연소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저질탄의 연소에 있어서 이 유동층 연소 기술이 갖는 장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a) 회분성분이나 비활성(inert) 성분의 조성이 균일하지 않은 저질탄의 연소능력 b) 열전달 면에서 부식문제의 저하 c) 보통 미분연소때보다 입도가 커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므로 분탄제조비가 저렴 여기서는 이러한 장점을 가진 저질탄의 유동층 연소에 대해서,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서 1978년 발행된 Combustion of low grade coal 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PDF

Cooling effect of an electronic module with a variation of the inlet air temperature (유입공기의 온도변화가 전자모듈의 냉각에 미치는 영향)

  • 이진호;조성훈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4 no.1
    • /
    • pp.264-273
    • /
    • 2001
  • The conjugate heat transfer from a protruding module in a horizontal channel with a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t is an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module and air. This study is performed with a variation of parameters that are air temperatures($T_i,=25^{\circ}C{\sim}55^{\circ}C),$ thermal resistance($R_c=158 K/W),$ air velocities ( 4V_i=0.1$ m/s~l.5 m/s ), and input power (Q=3 W, 7 W ). The results show that as the thermal resistance increases,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s are decreased. And input power was most effective parameter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module and air.

  • PD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heat fluxes in the East Sea(Sea of Japan) (東海熱收支 의 時.空間的인 分布)

  • 박원선;오임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2
    • /
    • pp.91-115
    • /
    • 1995
  • Air-sea heat fluxes in the East Sea were estimated from the various ship's data observed from 1961 to 1990 and the JMA buoy #6 data from 1976 to 1985. The oceanic heat transport in the sea was also determined from the fluxes above and the heat storage rate of the upper layer of 200m from the sea surface. In winter,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is almost balanced with the outgoing longwave radiation. but the sea loses her heat through the sea surface mainly due to the latent and sensible heat fluxes.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net surface heat flux is about 100 Wm/SUP -2/, and the maximum loss of heat is occurred near the Tsugaru Strait. There are also lots of heat loss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Korea Strait and Ulleung Basin. Particularly, the heat strong los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ea might be concerned with the formation of her Intermediate Homogeneous Water. In summer, the sea is heated up to about 120∼140 Wm/SUP -2/ sue to strong incoming solar radiation and weak turbulent heat fluxes and her spatial variation is only about 20 Wm/SUP -2/. The oceanic heat flux is positive in the southeasten part f the sea and the magnitude of the flux is larger than that of the net surface heat flux.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the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ea, however, the oceanic heat flux is negative. This fact implies cold water inflow, the North Korean Cold Water. The sigh of net surface heat flux is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in March and from positive to negative in September. The heat content in the upper surface 200 m from the sea surface reaches its minimum in March and maximum in October. The annual variation of the net surface heat flux is 580 Wm/SUP -2/ in southwestern part of the sea. The annual mean values of net surface heat fluxes are negative, which mean the net heat transfer from the sea to the atmosphere. The magnitude of the flux is about 130 Wm/SUP -2/ near the Tsugaru Strait. The net surface fluxes in the Korea Strait and the Ulleung Basin are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the rest areas. The spatial mean values of surface heat fluxes from 35$^{\circ}C$ to 39$^{\circ}$N are 129, -90, -58, and -32 Wm/SUP -2/ for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latent hear flux, outgoing longwave radiation, and sensible heat flux, respectively.

  • PDF

Analysis on Cooling Effects of the Vertical Typ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Installed in a Greenhouse for Raising Seedling (수직형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의 육묘 온실 냉방 효과 분석)

  • Kang, Youn Ku;Ryou, Young Sun;Kim, Jong Goo;Kim, Young Hwa;Jang, Jae Kyou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2 no.1
    • /
    • pp.19-25
    • /
    • 2013
  • In this study, the cool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1,650m^2$ area of the seedling greenhouse from June 6, 2011 to september 18, 2011 with the vertical typ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of 350 kW scale (175 kW ${\times}$ 2 units) installed in the greenhouse, cooling effects were analyzed and we tried to find more effective operation methods of th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In case of one unit heat pump (175 kW) operation, when evaporator inlet water temperature changed from $13.0^{\circ}C$ to $15.5^{\circ}C$, cooling COP of the system was in 1.1~1.8 range and in case of two unit heat pump (350 kW) operation, when evaporator inlet water temperature changed from 13.0 to 15.5, cooling COP of the system was in 2.0~2.7 range. The accumulated cooling heat quantity of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was 14,718.6, 26,765.1, 28,437.2 and 10,065.0 kWh, respectively.

A Study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umidifier/HRU for MCFC (MCFC용 가습기 및 HRU의 열전달 특성 연구)

  • Park, Sungho;Kal, Hanjoo;Jeong, Youngsik;Lee, Sanghoon;Lee, Jaejun;Oh, Yongmin;Kim, Seonhw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97.2-97.2
    • /
    • 2011
  • 본 연구는 연료전지 중 용융탄산염을 전해질로 하는 MCFC의 MBOP에 포함된 부품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습기와 이때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인 HRU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연료와 물이 가습기 상부로 유입되어 가습기 하부로 유입되는 배가스와 열교환을 하면서 물이 스팀화 되어 연료가 가습된 상태로 가습기 출구로 일정온도를 유지하며 배출된다. 또한 HRU는 가습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가스를 물을 이용하여 열교환을 통해서 열을 회수하여 난방 및 온수로 사용할 수 있는 열교환 장치를 말한다. 먼저 이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가습기 및 HRU를 설계, 제작하여 각각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가습기와 HRU의 성능 향상을 위해 먼저 열교환부에 적용될 튜브의 수치해석적 분석을 통해서 최적의 열전달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가습기 및 HRU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이들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120,000kcal/h 용량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장치를 구축하여, 이들의 열전달 특성, 압력강하, 회수 열량, 가습기 온도 등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장치를 통해서 확인된 가습기와 HRU의 특성은 수치해석을 통해서 얻은 값과 거의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습 성능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었다. 가습기와 HRU의 특성 중 압력강하 부분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며, 가습기와 HRU의 일체화를 통하여 소형화 및 설치공간 축소 효과를 얻을 것으로 본다.

  • PDF

The effect of inlet air temperature for the cooling of the military electronic chip on the thermal conductive board (공기온도가 열전도성 기판 위에 탑재된 군용 전자칩 냉각에 미치는 영향)

  • 이진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5 no.2
    • /
    • pp.195-206
    • /
    • 2002
  • The conjugate heat transfer from the simulated module in a horizontal channel with the variation of inlet air temperature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module and inlet air. This study is performed with the variation of parameters that are inlet air temperature(Ti=25~$55^{\circ}C), thermal resistance( $R_c$=0.05, 4.11, 158 K/W), inlet air velocity(Vi=0.1~1.5m/s), and input power(Q=3, 7 W).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inlet air temperature is little, at the case of using conductive board. And input power was most effective parameter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module and Inlet 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