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역통합관리

Search Result 3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stablishing a Integrate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Coastal Area (연안역 수질정보통합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황의호;김계현;전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307-312
    • /
    • 2003
  • 해양과 인접해 있는 연안역은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곳으로 수질 및 환경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는 지역이다. 계속적인 연안역 수질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지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대량의 오염원 데이터와 환경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GIS기반의 수질정보통합관리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안역의 점ㆍ비점오염원 자료, 수질측정자료, 생태자료 등을 구축하고, 구축된 오염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단위를 이용한 오염부하산정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연안역 수질정보를 통합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오염부하량 산정은 가지야마 수식모델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산정, 원단위를 이용한 발생 및 배출부하 산정, 유달율을 고려한 유달부하량 및 유입농도 산정을 포함한다. 오염부하량 산정시스템은 사용자의 오염원 DB의 갱신에 따라 오염부하산정에 즉시 반영되도록 설계하였다. 나아가 효율적인 결과분석 체계 지원을 위하여 GIS를 이용한 오염부하량을 색의 농도차를 이용 도식하여 전체유역에 대한 임의지점에 발생하는 오염원 규모 및 유출 특성을 한눈에 조회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안역 수질정보통합관리시스템은 수질관리에 있어 오염원자료의 유출과정의 해석을 통해 유역내 효율적인 오염원자료의 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이 가능하며, 연안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량의 예측을 통하여 친환경 대안 제시를 위한 수질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Alternative Evaluation Index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대안평가지수 개발)

  • Chung, Eun-Sung;Lee, Kil-Seong;Park, Kyung-Sh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
    • /
    • pp.87-100
    • /
    • 2008
  • The alternative evaluation index (AEI) is developed and applied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some options for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continuous simulation model, AEIs of some feasible alternatives are calculated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and sustainability evaluation model, DPSIR (Drivers-Pressure-State-Impact-Response).

호주 유역통합물관리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 2004 호주 Catchment Modelling School -

  • 고익환
    • Water for future
    • /
    • v.37 no.2
    • /
    • pp.98-103
    • /
    • 2004
  • 유역 통합수자원관리를 지원하는 모델링 Toolkit을 소개하는 Catchment Modelling School04가 2004년 2월 9∼20일 호주 멜버른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이 workshop을 주관한 CRC(Cooperative Research Centre)는 한국의 21세기 프론티어 연구사업단(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기구로서 1991년도에 설립된 이래 공익을 위한 기술혁신과 상용화에 중점을 둔 범국가적 수자원 기술개발을 주도하여 왔다. 이 CRC는 호주 기상국, 무레이 다링 유역위원회 등의 연방정부기관과 빅토리아, 뉴우 사우스 웨일스, 퀸스랜드 등의 주정부, CSIRO Land and Water, 멜보른 대학, 모나쉬대학, 그리휘스 대학 등의 연구집단과 연계해서 초창기의 1단계 7개년 연구사업 기간('92∼'99) 동안 주로 소규모 수자원 환경 계측기술개발과 모형개발을 해 왔으며, 2단계 6개년('99∼2006)의 중반인 현재 유역단위의 대규모 모델링에 중점을 두어 8개 분야의 21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중략)

  • PDF

The practical use of GIS in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s for a coastal management (연안역 통합관리에서의 GIS 활용 방안 -오염부하량 산출을 중심으로-)

  • Choi, Jung-Min;Kwon, Suk-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1 no.1 s.22
    • /
    • pp.71-76
    • /
    • 2005
  • The purpose if the study is to apply GIS technique to sample area, Choensoo-Bay basin for an efficient and practical coastal zone management if pollution control. The basins, Unit if pollution control, are selected with qualitative analysis using DEM after considered river length, degree and area of basin through channel network analysis. Choensoo-Bay basin is divided with 6 zones to 33 subordinate zones. It is found to be a big difference of pollutant loads in each zone. The pollutant loads use to review for efficient zoning. And also the result apply to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and building for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 PDF

Evaluation methods of flood control safety to establish flood management system of river basin (유역단위 홍수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치수안전도 평가방안)

  • Lee, Min Woo;Jang, Won Jae;Lee, Yong Kw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0-220
    • /
    • 2022
  • 물관리 일원화, 물관리기본법 제정·시행 등 우리나라 물관리 체계의 혁신기에 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통합 물관리 전략 마련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국가물관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하여 공표·발간되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유역단위의 물관리를 원칙(12대 기본원칙 중(中))로 하며, 물관리 3대분야(수질·수생태, 이수, 치수)에 대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물관리 방향을 정립하고 분야별 관련 및 하위계획과의 일관성·정합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 중, 유역 재해안전도와 관련하여 하천범람에 대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평가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과거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의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잠재능(PFD)을 적용하여 등급별 홍수방어대책 수립방향 및 하천의 설계빈도 조정을 검토하였으며,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실무적 적용 어려움(산정인자 다(多)), 설계빈도와의 연계성 부족,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성 미흡 등에 대한 개선·보완의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유역내 전체하천이 아닌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만 치수안전도 설정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에 한계가 있으며, 하천 전체구간의 설계빈도 상향에 따른 홍수방어대책이 비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산정인자 단순화, 홍수위험지도를 활용을 통한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도 향상 및 치수단위구역별 설계빈도 조정 가능 등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으며, 빈도별 치수단위구역의 홍수피해잠재능(PFD)의 통계적 특성 분석을 통해 등급 설정 및 설계빈도 조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역내 전체하천에 대한 치수단위구역별 치수안전도를 설정하고, 중권역 단위의 치수안전도를 평가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정량적으로 제시함에 유역 재해안전도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