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역면적

Search Result 1,168,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Variation of sediment yields with changes in the number of subwatersheds and HRUs in SWAT model (SWAT 모형에서의 소유역 및 HRU 수에 따른 유사량의 변화)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35-839
    • /
    • 2005
  • 일반적으로 분포형 모형에서는 유역을 공간적으로 작은 계산단위로 분할하고, 각 단위에 대해 모형의 이론식을 전개하여 풀이하게 된다. 이 계산단위는 일반적으로 입력자료의 공간적인 해상도보다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수준까지의 취합을 내포하게 된다. SWAT에서도 수문응답단위 (HRU; Hydrological Response Unit)라는 계산 단위를 통하여 모형 입력 매개변수를 생성하고, 모의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거동 특성과 유역별 적정한 수준의 소유역 분할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목적으로 경안천 유역과 보청천 유역을 선정하여, 각 유역변 소유역 수 및 HRU 수에 따른 연평균 유출과 유사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경안천 유역에 대해서는 SWAT 모형의 적용시에 하천망 생성을 위한 임계면적을 300 ha 이하로 두어 55개 이상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HRU 생성을 위한 토지이용과 토양 면적비는 $8\%$ 이하로 설정하여야 안정적인 유출과 유사 모의가 가능하며, 보청천에 대해서는 임계면적을 5,000 ha 이하로 하여 최소 5개 이상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토지이용과 토양 면적비는 $1\%$ 이하로 설정하여 HRU를 생성함으로써 안정적인 유출 및 유사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적절한 수준의 소유역 분할과 HRU 생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모의 결과의 신뢰도를 크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시간과 모형 구동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모형의 적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ARF) in Han-Rwer Basin (한강유역의 면적감소계수 산정)

  • Jeong, Jong-Ho;Na, Chang-Jin;Yu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2
    • /
    • pp.173-186
    • /
    • 2002
  • Rainfall-runoff model is usually used in estimating the design flood, an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is model are probable rainfall and unit hydrograph. So, it is the most important step to estimate probable rainfall reasonably and exactly. If a basin area exceeds a certain scale, probable areal rainfall should be used as probable rainfall, but, Probable point- mean rainfall be usually used in Korea. Consequently, probable rainfall is used too high and unit hydrograph is used relatively too low. Thus the improvement is unavoidable. So, in this study, the parameters are proposed that transform the 1day, 2day rainfall to 24hr, 48hr rainfall, and areal rainfall data series are composed by using the same time rainfall data. Also, the areal reduction factor(ARF) is developed as the increase of area by the calculated probable point mean rainfall and probable areal rainfall by frequency analysis in Han-River basin. It can be the measure to easily transform probable point- mean rainfall to probable areal rainfall.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 using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ion and the Estimation Error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통한 강우관측망 평가 및 추정오차)

  • Lee, Ji Ho;Jun, Hwan D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1
    • /
    • pp.103-112
    • /
    • 2014
  •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ion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exact amount of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and the essential input data for rainfall-runoff analysis. Like that, the necessary criterion for accurate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e is the uniform spatial distribution of raingauge network.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spatial distribution evaluation methodology of raingauge network to estimate better area average rainfall and after the suggested method is applied to Han River and Geum River bas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network can be quantified by the nearest neighbor index.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network by each basin, area average rainfall was estimated by arithmetic mean method, the Thiessen's weighting method and estimation theory for 2013's rainfall event, and evaluated the involved errors by each cases. As a result, it can be found that the estimation error at the best basin of spatial distribution was lower than the worst basin of spatial distribution.

A preliminary study of the hydraulic-geometrical relations of bed slope in some selected alluvial rivers (우리 나라 沖積河川 河床傾斜의 水理機何 特性에 관한 연구)

  • ;;;Woo, Hyoseop;Yu, Kwonkyu;Park, Jo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9 no.3
    • /
    • pp.253-265
    • /
    • 1994
  • The hydraulic-geometrica1 relations between the riverbed slope and water discharge and other hydraulic variables in some selected alluvial rivels in Korea have been investigated. The rivers from which the data relevant to this study were collected are mainly the first tributaries, considered to be mostly in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10 major rivers in Korea. The investigating methods adopted in this study are similar to the one suggested by Leopold and Maddock and the one suggested by Garde. All of 18 rivers their drainage areas of which range between 100-2,000 $\textrm{km}^2$ were considered and the changes in riverbed slope, drainage area, bed material size along the downstream river distance were measured.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change in the riverbed slope, S, along the downstream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the coefficient, $\beta$, expressing the change in the drainage area along the downstream and the drainage area, A, by an empirical relation as 0.0063 0.0063 S = $S_{ 0}$ $A_{0}$$^{-------- +0.51}$A-$^{-------- -0.51}$. $\beta$ $\beta$ According to this relation, the riverbed slope of the river reach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ppear to be proportional to the -0.6th power of the drainage area.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ones obtained by Hack.k.

  • PDF

Simulating Inflow to Busa Estuary Reservoir Considered Outflows from Boryeong Dam (보령호 방류량을 고려한 부사호 유입량 모의)

  • Noh, Jae-Kyoung;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68-368
    • /
    • 2012
  • 부사호는 당초 유역면적이 $288km^2$로 이 중에서 상류 유역에 건설된 보령댐 유역면적 $163.6km^2$(57%)가 제외됨에 따라 부사호로 유입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약간의 가뭄에도 수질악화가 반복되고 있다. 부사호의 합리적인 용수 수급 관리를 위해 정확한 부사호 유입량의 추정은 절실하다. 부사호 유입량은 보령호 방류량과 부사호 지류 유역 유입량으로 구성되며, 보령호 방류량은 소수력 발전용수, 관개용수, 하천유지용수, 홍수조절 방류량, 월류량으로 구성된다. 부사호 지류 유역으로부터 자연유량에서 하천에서 취수한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웅천읍의 생활용수 $1,164m^3$/일로부터 회귀수가 유입되고, 보령댐 수혜답 1039.5 ha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회귀수가 유입되고, 부사호에서 양수하여 공급한 부사 유역 수혜답 1,141 ha의 회귀수가 유입되고, 6개 저수지 수혜답 396.5 ha의 회귀수가 유입되는 등 지류 유입량의 구성은 매우 복잡하다. 하천에서 취수하여 공급하는 공업용수는 서해화력 5천 $m^3$/일, 보령화력 15천 $m^3$/일로 구성된다. ONE (One parameter New Exponential) 모형을 근간으로 유입량 모형을 구성하였고, 보령댐 자료로 매개변수를 결정하여, 1966~2011년의 부사호 일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역면적 $124.4km^2$인 부사호의 지류 유입량과 보령댐 방류량을 고려한 부사호 유입량 자료로부터 유황을 분석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풍수량은 2.1 mm/d, $3.083m^3/s$, 평수량은 0.89mm/d, $1.280m^3/s$, 저수량은 0.48 mm/d, $0.695m^3/s$, 갈수량은 0.30 mm/d, $0.428m^3/s$였으며, 연 유입량은 127.23백만 $m^3$에 이르렀다. 둘째, 유역면적 $288km^2$인 보령호 유역의 포함한 부사호의 자연 유입량 자료로부터 즉 보령댐이 없는 경우 유황을 분석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풍수량은 1.4 mm/d, $4.599m^3/s$, 평수량은 0.51 mm/d, $1.689m^3/s$, 저수량은 0.20 mm/d, $0.664m^3/s$, 갈수량은 0.06 mm/d, $0.204m^3/s$, 연 유입량은 197.00백만 $m^3$에 이르렀다. 셋째, 보령호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유황을 비교하면 있는 경우에서 부사호의 유입량은 고수위의 유량은 감소하고, 저수위의 유량은 증가하는 전형적 상류에 위치한 댐의 저류효과 영향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한국하천 유황곡선식에 의한 유역면적 $288km^2$인 부사호 유입량의 풍수량은 1.29 mm/d, $4.292m^3/s$, 평수량은 0.59 mm/d, $1.964m^3/s$, 저수량은 0.33 mm/d, $1.093m^3/s$, 갈수량은 0.13mm/d, $0.424m^3$이르렀다. 결론하면, 보령댐이 있는 경우 연 유입량은 70백만 $m^3$ 감소하였으나, 평갈수기 유입량은 증가하였다.

  • PDF

Return Flow Analysis of Irrigation for a Paddy Field at the Downstream of the Yangak Reservoir (양악저수지하류에서의논농업용수회귀율조사)

  • Lee, Hyun-Seok;Chai, Won-Ki;Kim, You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2-292
    • /
    • 2011
  •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양악리 토옥동계곡의 초입에 위치한 양악호는 농업용 저수지로 관개수로를 통하여 약 $3.94\;km^2$의 몽리면적에 용수를 공급한다. 양악호는 1985년 건설공사를 시작하여 1991년에 준공되었다. 관개수로를 통해 공급된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양악천으로 회귀되며, 회귀수량은 양악호로부터 약 8 km 하류에 위치한 양악1교에서 관측된다. 연구 대상지역은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장수군, 무주군과 진안군이 경계를 이루며, 유역의 대표적인 거주지로는 당저, 파곡, 외림 그리고 주고마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용담댐 상류에 위치한 양악천 유역을 대상으로 관개수로를 통한 유입량, 하류하천에서의 배수량, 양악천 상류 양악호에서의 강수량, 농지에서의 경작현황 및 몽리면적 등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농업용수 회귀율을 분석하였다. 농지의 면적은 현장에서의 직접조사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간접조사를 통하여 수혜지역으로부터 '인삼 재배 면적'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관개수로를 통한 용수공급이 없는 시기의 하천유지유량은 용수의 유입이 없는 1월부터 4월초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여 산정하였다. 하류하천에서의 배수량은 홍수기 전 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양악천 유역내 강우자료는 양악호 취수탑 입구에 설치된 우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촌교 인근의 계북 우량관측소 자료를 검증용으로 활용하였다. 양악천 유역은 유역외 용수공급을 위하여 양수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생활용수 공급 시스템은 장수군, 무주군과 진안군 등 행정구역별로 각각 다르다. 그러므로 회귀율 산정시 양수장 운영일지 및 마을 일부의 정화조 사용량을 참고하였다. 양악천유역에서는 4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약 5개월간 용수공급이 이루어졌다. 초 여름인 6월 28일 부터 7월 03일까지의 회귀율이 43.66 %로 최저로 나타났으며, 4월 30일부터 5월 16일까지는 67.77 %로 제일 높게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이 지역은 6월 말에서 7월 초순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에는 약 55 ~ 60 % 사이의 비교적 높은 회귀율을 보였다. 2010년 양악천 유역 전구간의 평균 회귀율은 56 %이며, 무강우시 회귀율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F

Dam Effects on Spatial Extension of Flood Discharge Data and Flood Reduction Scale II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과 홍수저감효과에 대한 댐 영향 분석 II)

  • Jung, Yong;Kim, Nam Won;Lee, Jeong 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3
    • /
    • pp.221-231
    • /
    • 2015
  • This is a continuous study on the dam effects for the spatial extension of flood data. In this study, flood reduction rates of dams and their influences on downstream using the spatially extended flood data were implemented. Nam-Han River was selected for measuring the impacts of ChoongJu and HoangSung dams. In the evaluations of flood reduction rate at dams, the larger flood events have the lower flood reduction rates for both dams. At the YeoJoo water level station, the analyses of the relations between flood reduction rates and the sizes of watersheds dams located were performed. the sizes of watersheds having a functional dam have highly influenced on the reduction rates of flood. The average of flood reduction rates was smaller than the area rate. For instances, area rates of HoangSung (0.02) and ChoongJu dams (0.6) are larger than the average flood reduction rates for HoangSung (0.01) and ChoongJu dams (0.51), respectively. However, the water level station follows the dam flood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dams themselves. The spatial effects of dam flood reductions a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water level stations (GangChun, YeoJoo, YangPyung). The distance of flood reduction rates lower than 0.1 as average flood reduction rate was the area 7 times of watershed having a dam with 0.02 as a minimum reduction rate.

유역특성과 설계홍수량 상관성 분석

  • Park, Ki-Bum;Kim, Kyo-Sik;Park, Yong-Won;Cha, S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45-1448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의 기왕에 산정된 설계홍수량과 유역특성인자인 면적, 유로연장, 하도연장, 유역경사, 하도경사, 형상계수 그리고 토지이용상황 등을 하천정비기본계획을 근거로 하여 설계홍수량과 빈도별 홍수량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하천정비 기본계획이 수립된 낙동강 유역의 하천 125개소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계수를 검토하고 토지이용상태를 조사하여 설계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역면적, 유역평균폭 그리고 유로연장이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에 대한 상관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회귀식을 유도하였다.

  • PDF

Multipurpose dam effects on flood controls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spatially propagated flood event data (홍수유출 공간 확장 자료를 활용한 홍수조절에 대한 댐의 영향 분석 - 낙동강 유역 중심)

  • Jung, Yong;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0-4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규모가 비슷한 두 개 댐의 홍수조절 경향성과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고 하류에 미친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유역의 안동댐과 임하댐을 선정하였다. 댐 하류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성주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성주 수위관측소의 시작은 1995년 3월로, 이를 기준으로 2010까지의 31개 홍수 사상에 대해 홍수조절 능력과 영향을 검토하였다. 홍수사상의 관측치를 기준으로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류함수법을 활용하였다. 관측치에 대한 모의를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자연상태의 홍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성주 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홍수 조절에 대한 댐 영향을 유역면적의 비와 홍수저감률의 관계로 분석하였으며 수위관측소의 평균저감률과 유역면적의 비와 비교하였다. 댐 운영에 따른 Resevoir Index (RI)를 활용하여 댐에 따른 하류지점에서의 영향성을 분석하였으며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한강유역에서 분석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분석의 유사성을 통해 다른 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using global meteorological data in Awash basin, Ethiopia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Awash 유역의 수문성분해석)

  • Tolera, Mesfin;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4-334
    • /
    • 2018
  • 에티오피아 Awash 하천유역의 수자원은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 지역에 신뢰성 높은 기상자료의 확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Climate Forecast System Reanalysis (CFSR)의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수문성분해석결과와 기존의 제한된 기상자료를 활용한 결과를 비교하여 향후 두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수문모형은 글로벌 적용이 가능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활용하였고, 상이한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모형의 성능은 두 지점의 관측 유출량과의 비교를 통해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보정은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g (SUFI-2)방법을 이용하였다. Keleta 및 Melka Kunture 소유역에서의 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기존의 가용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구한 결과에 비해 CFSR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결과가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역면적이 Keleta소유역에 비해 6배가 큰 Melka Kunture 유역에서 CFSR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유출량이 더욱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 유역면적이 큰 곳에서 글로벌 자료의 활용성은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글로벌 기상자료의 활용은 아프리카의 대부분 지역과 같이 확보된 기상자료가 부족한 곳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