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어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2초

해양낚시(해양유어)의 제도적 관리 타당성에 관한 공공경제학 및 환경경제학적 분석연구 (A Public and Environmental Economic Analysis of Management Aspects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Framework of Marine Recreational Fisheries)

  • 이상고
    • 수산경영론집
    • /
    • 제34권1호
    • /
    • pp.137-156
    • /
    • 2003
  • Increasingly, leisure time is being used for outdoor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ishing is one of the principal forms of marine recreation. Marine recreational fishing is a popular activity in Korea and this activit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sector of substantial social and economic value. Also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outdoor leisure industries in Korea. With rising of income level and development of marine outdoor leisure industries, social, economic demand increase of marine recreational fishing are showing us new advance ability of marine aquatic bio-industry. However the recreational use of fish stocks has become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public and environmental economic analysis of management aspect of fishing, having grown considerably over recent years to reach a level in Korea where the fish stocks and coastal ecosystem has become a significant management problem. we are inevitably facing marin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nd overfishing in marine recreational fishing. In this study, not only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are occurred by recreational fishers, but also illegal fishing behaviors and other problems such as market's failure are going to analyze basic management theories and methods of recreational fishing through mathematical principals and economic rents which maximize net social benefits. In view of the likelihood of marine recreational fishers adopting high rates of discount, the conservation of fish resources would appear to require continual public surveillance and control of the physical yield and condition of the fish stocks and the optimal use level.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of recreational fisheries is the way of escaping the collapse of recreational fisheries just like as the situation of management's failure of commercial fisheries worldwide. One of the effective management measure is a license system. In this system, optimal fee is paid by recreational fishers, which prevent them from overfishing, environmental problems to some extents and carry out the optimal number of outings. And money obtained by license fee should be spent for more improvement fishing culture and welfare for marine recreational fishing. Marine recreational fishing is to be promoted under sou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inciples.

  • PDF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Establishing Archive 2.0)

  • 김유승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52
    • /
    • 2010
  • 본 연구는 아카이브와 웹 2.0의 단순한 결합이 아닌, 이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아카이브 관리 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아카이브 2.0을 연구한다. 기존의 아카이브를 지칭하는 아카이브 1.0과 관리운영, 이용자관계, 아키비스트의 역할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다양한 특징으로 아카이브 2.0의 개념을 논하고, 적용 기술에 따른 기록정보서비스의 유형과 이용자 참여 유형을 다수의 사례를 들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아카이브 2.0의 핵심 요소인 이용자중심성과 개방성에 가장 부합하는 서비스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위키 형식의 기록정보서비스로 '유어 아카이브즈(Your Archives)'와 '아워 아카이브즈(Our Archives)'의 사례를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카이브 2.0의 편익과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정책적, 기술적, 조직적 필수 요소들을 논의한다.

유어낚시인구의 사회경제학적 특성과 출조빈도함수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Angler Population and the Estimation of A Fishing Frequency Function)

  • 박철형
    • 수산경영론집
    • /
    • 제36권1호
    • /
    • pp.81-101
    • /
    • 2005
  • This article is to estimate the fishing frequency function in Korean recreational fishery with respect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anglers. First, the stud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angler population on the view points of 9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n, the study divided the total angler population into three groups of in-land, sea, and mixed angler popul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could confirm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regions, size of regions, and educational levels between the in - land and the sea angler populations by testing heterogeneity in the frequency table. The fishing frequency function is estimated using Poisson regression model in order to accomodate the count data(non-negative discrete random variable) aspects of the fishing frequency. However, the model specification error is found due to overdispersion of data. The model exhibits the lack of goodness of fit.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is adopted to cure the overdispersion of the data as an alternative estimation methodology. Finally, the study can confirm overdispersion does not exist in the model any more and the goodness of fit improved significantly to the reasonable level. The results of estimation of fishing frequency population modeled by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are following. The three variables of region, sex, and education have effects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fishing frequency in the case of in-land recreation fishery. On the other hand, the three variables of sex, age, and marriage status do the same job in the case of sea angler population. Among the left-over variables, both income and use of Internet variables now affect on the process in mixed angler population. Finally, the results of whole angler population show that all of the previous variables are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ue to the summation of data with all three sub-groups of angler population.

  • PDF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Seagrass Bed of Aenggang Bay in the South Sea of Korea)

  • 이승환;이용득;신민규;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9-259
    • /
    • 2016
  •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을 이용하여 월별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를 달리하여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우점종의 출현 양상을 고려할 때 유어는 수심이 얕은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앵강만 잘피밭에서는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날 매퉁이, 쑤기미, 꼬치고기 그리고 흰점꺼끌복이 채집되었다.

유도틀 설치에 따른 평창강 수변의 지형변화 연구 (Study on Topographical Changes by Frame of Wooden Groyne at the Riparian of the Pyungchang River)

  • 김병문;김현호;황길순;김동억;박정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970-970
    • /
    • 2012
  • 최근 치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원래 자연하천의 모습을 보전 혹은 복원하는 "생태하천 복원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공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시설물의 조성 시 유황에 따른 자연 하안 유도와 습지형태의 생물 서식공간 조성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창강 일원에 목재 유도틀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지형변화, 저서무척추동물을 포함한 수생생물들의 서식특성을 분석하였다. 평창강 금당계곡 일원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통해 수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산에 있는 수리모형 실험장에서 기본 수리특성 실험 후 수리적 안정성이 확보된 지점에 목재 유도틀을 2009년 9월에 설치하여 유도틀 설치 전과 설치 후 2010년 10월까지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였다. 지형의 측량은 광파측정기(니콘 DTM-520)로 하였으며 측량된 자료를 이용하여 Contour Map을 작성하여 지형변화를 분석하였고, 유도틀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2010년에 3차에 걸쳐 지형 및 생물상 변화에 대한 정량 및 정성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유도틀 설치 후 2010년 하절기에 집중호우에 의한 유도틀의 파손 및 형태변형 등 문제가 없어 수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형 변화의 측면에서는 유도틀 조성 전 사질로 되어있던 단순한 선형의 하안이 유도틀 설치 후 다양한 하상재질 및 형태가 변화했으며 유도틀의 배치에 따라서 굼치 및 둠벙형 습지가 형성되었다. 유도틀 설치지역의 3개지점(상부, 중간배후습지, 하부)에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설치된 유도틀의 중간지점에서 가장 높게 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지점과 하부지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으나 상부지점 보다는 하부지점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개체수의 변화에서는 종수변화와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깔다구와 꼬마줄날도래등 특정종의 증식이 많았다. 또한, 굼치 및 둠벙형 습지 내에 어류의 치어 및 유어, 양서류, 파충류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도틀에 의해 생성 및 유도된 지형변화가 하천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생물들에게 다양한 피난처 및 은신처 역할을 잘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경남 통영 민양마을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Minyang in Tongyeong, Korea)

  • 김준섭;최정윤;이유진;곽우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4호
    • /
    • pp.227-233
    • /
    • 2013
  • 경남 통영시 민양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예인망(surf net)을 이용하여 매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5종 3,880개체 3,1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 소형어나 유어들이었고, 그 중 우점종은 1,970개체가 채집된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이였으며,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 날망둑(Gymnogobius castaneus) 순으로 채집되어 총 개체수의 89.1%를 차지하였다. 잘피밭 출현 어류는 수온이 대체적으로 높은 6-9월 사이 다수의 개체가 출현하였고, 수온이 낮은 1-2월에 개체수와 종수가 적게 나타나 수온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종 다양도지수(H')는 2012년 4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라남도 연안에 서식하는 주꾸미(Amphioctopus fangsiao)의 산란시기와 유어낚시 어획실태 (Spawning Period and Estimated Recreational Catch of Amphioctopus fangsiao in the Coastal Waters of Jeollanam-do, Korea)

  • 문성용;김희용;이미희;정경미;김맹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61-66
    • /
    • 2022
  • Amphioctopus fangsiao is a crucial fishery stock located off Korea's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this study, we present data on the spawning period and estimated recreational catch of A. fangsiao in the coastal waters of Jeollanam-do, South Korea. The overall sex ratio was estimated to be 1:1.13 (female: male); in females and males, the gonadosomatic index ranged from 1.22 to 12.14 and 0.17 to 3.44, respectively. The breeding season lasted from December to May, with spawning peaks observed between March and May. Furthermore, the estimated total annual recreational catch of A. fangsiao was 185,085 kg, with November recording the highest recreational catch. A. fangsiao catch per unit effort (CPUE) ranged from 3 to 302.4 kg per vessel d-1. Therefor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additional monitoring, as any further assessment of A. fangsiao stock necessitates an understanding of recreational catch assessment and fishing efforts in Jeollanam- do's coastal waters.

깻잎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Pork Sausage)

  • 정인철;강세주;김종기;현재석;김미숙;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0-355
    • /
    • 2003
  • 본 연구는 깻잎 분말의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pH, 칼로리, 보수력, 아질산 잔류량, 표면색깔, 조직 특성,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을 실험하였다. 수분 줄 조회분 함량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은 B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보다 높았고, 깻잎 분말을 첨가한 B 등급육 소시지가 깻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그리고 조단백질 함량은 E 등급육 소시지가 B 등급육보다 높았다. 돈육소시지의 pH는 깻잎 분말을 첨가한 E 등급육 소시지가 6.19로 가장 높았으며, 칼로리는 깻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B 등급육 소시지자 2,473 cal/g으로 가장 높았다. 보수력은 깻잎 분말의 첨가와 관계없이 B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아질산 잔류량은 깻잎 분말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돈육소시지의 $L^{*}$ (명도)은 B등급육이 E등급육보다, 깻잎 무첨가구가 깻잎 첨가구보다 높았으며, $a^{*}$ 값(적색도)는 B 등급육보다 E 등급육이, 깻잎 무첨가구가 깻잎 첨가구보다 높았고, $b^{*}$ 값(황색도)은 깻잎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높았다. 조직적 특성에서 경도, 탄성, 응집성 및 씹힘성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뭉침성은 깻잎을 첨가한 E등급육 소시지가 644 g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총아미노산 함량은 소시지들 사이 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능적인 색깔 및 조직감은 B 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우수하였으나, 향기 및 맛은 등급과 깻잎 분말의 첨가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전체적인 기호성은 깻잎 무첨가 소시지가 우수하였다.X>9t가 trans 지방산 이성 체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냉동피자의 C18:1 $\Delta$9t 함량은 30%를 초과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슈크림 빵은 높은 C18:2t 함량을 보였으며(8.26%), 불고기버거와 피쉬버거의 C18:2t trans 지방산 함량은 3.26%와 3.3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육가공품 및 튀김류 중 냉동 닭튀김과 냉동 감자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15%~l9%의 수준으로 높았으며, C18:1$\Delta$9t과 C18:2t가 그 주된 성분이었다. 돼지고기구이 (목살)에서는 C18:1$\Delta$9t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냉동감자튀김에서는 C16:1 $\Delta$9t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분량 당 trans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품은 팝콘, 냉동피자, 감자튀김과 닭튀김, 빵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 집단을 하나의 제도의 틀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총허용어획량(TAC)을 총 어촌 허용어획량(TAIVCs)과 총 허용 유어 어획량(TARCs) 및 총허용 상업적 어획량 (TACCs)의 세부문으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다시 TAFVCs와 TARCs, 그리고 TACCs는 어촌별 어획량(ITCQs), 개별 유어 회사별 어획량(IRCQs), 그리고 양도 가능한 개별 상업적 어획량(ITCQs)으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중국의 국가 총허용어획량(TAC)을 IFVQs와 IRCQs, 그리고 ITQCQs의 세부문으로 구분하여 할당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어업을 관리하는 것은 중국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성과 경제적 효율성과의 상충관계를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중국에 있어서 수산업을 통한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산만 천해역 수심에 따른 어류 종 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ith Depth in Asan Bay)

  • 황학빈;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61
    • /
    • 1999
  • 1997년 10월부터 1998년 8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아산만 입구 입파도 부근에서 수심 1. 5m 이하인 정점 1에서는 갓후리그물로, 수심 5~7 m인 정점 2와 15 m 이상인 정점 3에서는 beam trawl로 어류를 채집하여 수심에 따른 종 조성의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총 43종이 채집되었으며, 정점 1에서 13종, 정점 2에서 28종, 정점 3에서 30종이 채집되었고, 밀도도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정점 1과 2에서는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이 전체 개체수의 55.7%, 38.9%를 차지하였고, 여름철에 출현 총수와 개체수가 많았으며, 대부분이 유어들이었다. 정점 3에서는 흰베도라치 (Pholis fangi)와 쉬쉬 망둑 (Chaeturichthys stigmatias)이 개체수 면에서 우점하였고, 주로 성어와 크기가 큰 개체들이 채집되었다. 이 정점에서도 난수기에 밀도가 낮았으나, 겨울에 상대적으로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결과 종 조성은 깊은 곳과 얕은 곳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아산만 어류는 서해 다른 해역에 비하여 출현 종수와 밀도가 낮았고, 아산만 내에서도 모래뻘질인 조사해역의 종 조성은 뻘로 구성된 내부해역과도 차이가 있었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희;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2-220
    • /
    • 1997
  •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 잘피밭에서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57종이 채집되었다.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볼락(Sebastes inermis),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등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채집된 총 개체수의 69.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복섬(Takifugu niphobles), 그물코쥐치(Rudaris ercode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붕장어(Conger myriaster), 감성돔(Acanthogobius schlegeli), 꼼치(Liparis tanakai), 쥐치(Stephanotepis cirrhifer),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청보리멸(Silago japonicus) 등의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15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잘피밭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가을에,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봄에 높았으며, 겨울에는 어종수 및 개체수 모두 낮았다. 한편 종다양도지수는 가을철에 높았다. 어류 군집의 계절 변동은 수온, 잘피의 현존량 및 먹이생물의 양적 변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있었다. 밤과 낮동안의 채집량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채집된 어종수 및 개체수가 주간에 비하여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