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형 인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17세기 초 홑철릭 유물의 시대특성과 유아형 인형의 체형특성을 응용한 단계별 복식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Phased Cultural Product Design with Characteristics of Unlined Cheollik in Early 17th Century and Baby Typed Doll's Body)

  • 최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5-399
    • /
    • 2017
  • This study will broaden the application of doll costume product with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mage of unlined cheollik in the $17^{th}$ century period of transi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Historical design sources were extracted from old documents and precedent studies. Unlined cheollik of Shin Gyeong-yu, meritorious retainer, were selected as main reference-relic because of various fabric, preserved conditions and definite shape. 'Baby doll' was selected as main model because of consumer preferences and awareness. Design sources from unlined cheollik in the early $17^{th}$ century were about a 1:2 ratio of upper and under parts, removable separated doori-somae, knife-shaped collar (outside), projected square collar (inside), long pleats line, side slit, traditional flat fell seam sewing. Trapezoidal side line, round waistline, and thin fabric were applied in designs because of toddler-body of doll model. Three designs were produced in step 1: Cheollik A focusing on the historical remake (traditional type), Cheollik B with belt and side slit (crossover type), and Cheollik C with back- opening (modern type). In step 2, interview with fashion major student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utility of designs. As a result, modern trend sources (frill, velcro, round armhole line, slope of sleeves, and floral pattern) were reflected in Cheollik B, C. Finally, three doll cheollik and cheollik-styled doll apron sample were produced. Various versions must be suggested in the study of doll costume products with traditional sources that balanc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ity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연극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 효과 -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using Play -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

  • 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7-62
    • /
    • 2005
  • 본 연구는 연극제를 이용하여 유치원 아동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화성시에 소재한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전, 교육후 총 762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강실천에 관항 사항에서 교육전과 교육후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변수에서 교육후의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6개월마다 정기검진 여부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2. 구강건강관심에 관한 사항에 있어서도 교육전과 교육후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변수에 있어서 교육후에 관심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3. 연극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95% 이상이 긍정적인 답변을 함으로써 만족하고 있었으며, 구강보건교육 연극에 재관람하고 싶다는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유아 아동들에 있어 공부하는데 가장 흥미를 주는 구강보건교육 매체가 인형 등의 도구를 통한 연극이라고 50%이상이 답하였으며, 가장 기억에 남는 매체에 있어서도 연극이라고 답하였다. 특히 연극이 가장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는 결과에서는 교육전보다 교육후가 약 40%에서 약 50%로 증가하였다.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강보건교육이 필수 요건이며,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건강습관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피교육자가 흥미있어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매체를 선정하는 것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연극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이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