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전통음악교육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유아전통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와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Music Attitude and Rhythmic Sense)

  • 정애경;이윤경
    • 아동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5-12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musical attitude and rhythmic sens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42 four or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wo classes of a public kindergarten. Half were in the experimental and half were in the control group. Instruments were "Music Interest Test for Young Children" (Kim, 2000), "Musical Attitud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Ahn & Han, 1999) and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Gordon, 1986). The procedure included pre-test, treatments and post-test paradigm. Experimental group had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three times per week, including listening, appreciation, singing, playing traditional instruments and creative movement. The control group was merely provided with materials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Data was analyzed by t-test.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ic attitude and rhythmic sens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PDF

유아용 한국음악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연구 -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Korean Music Multimedia Contents for Preschooler - With Priority to Animation -)

  • 최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32-141
    • /
    • 2007
  • 지능과 정서발달의 속도가 매우 빨라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단계인 유아기 때 이루어지는 전통음악 교육은 음악적 인지능력의 향상은 물론, 우리 민족의 고유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도 교육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한국음악 교육은 여러 가지 상황으로 인해 활용할 콘텐츠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기존에 개발된 교육콘텐츠를 조사, 분석하고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하도록 보완하여, 유아에게 친밀한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여 유치원에 재학 중인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수업과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콘텐츠에 대해 큰 흥미를 보였을 뿐 아니라 단소 콘텐츠 학습 후에는 연주활용에 관해 뚜렷한 상승효과 수치를 보였다. 이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유아용 한국음악 교육콘텐츠가 기존의 유아를 위한 한국음악 교육방법들을 보완하는 것은 물론 유아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한다.

Touch-Face 기반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Edutainment contents using Touch-Face)

  • 송대현;박재완;이칠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리나라 전통 음악인 국악을 사용자가 실제 악기가 아닌 가상 악기를 이용하여 체험해 볼 수 있고, 국악에 하나인 판소리를 따라 부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통문양과 기본도형을 이용한 놀이를 직감적 도구인 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직접 터치할 수 있는 지능형 인터페이스 플랫폼인 Touch-Face를 기반으로 조작이 익숙하지 않는 유아 및 아동들이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기반 위에 교육적 콘텐츠는 보다 더 유아 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가능성 탐구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tents in the elderly dementia prevention program)

  • 양수경;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95-500
    • /
    • 2020
  • 우리나라 노인들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건강에 대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치매 발병률이 증가되고 있음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치매는 발병 후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한 만큼 노인의 치매 예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양수경, 고보숙, 박정환(2019)의 연구에서 2000년~2018년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에서 분석한 통합프로그램 11편을 기반으로 유아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놀이를 중심으로 한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 문헌연구를 살펴보았다. 활동유형별로 음악, 언어, 신체활동이 각각 4개(40.0%)로 나타났고, 게임, 미술, 작업이 각각 3개(30.0%)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 문학, 전통놀이, 레크레이션이 2개(20.0%)로 나타났고, 요가와 생활은 각각 1개(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노인에게 있어 놀이는 유아 뿐만 아니라 노인들에게 신체 운동능력과 긍정적인 정서, 정서적 특성 등 매우 긍정적인 측면이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을 위한 유아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치매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과 함께 집단활동의 경험과 정신건강을 유지하면서 여가시간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