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교육학과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1초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의 면지 유형 (The Endpaper Types of Bologna Ragazzi Award Korean Picturebooks)

  • 남아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27-3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면지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2022년 현재까지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 25권의 면지 유형을 세 가지 기준('앞뒤면지 동일성', '미술 유형', '콘텐츠 유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앞뒤면지가 서로 상이한 그림책이 약간 더 많았고, 면지의 미술 유형은 삽화, 패턴, 단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 유형으로는 페리텍스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의 면지가 서사와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면지의 심미적, 서사적 역할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어머니의 영양지식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비만도 및 식습관의 차이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Their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 김정화;하애화;유경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6-654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thers' nutrition knowledge on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The subject population included 456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ged 3 to 5 years, who were enrolling i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D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mothers responded correctly to those questions concerning obesity-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but responded incorrectly to questions regarding basic nutritional knowledge. 2. Th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 mother's age (p<0.05) and degree of education (p<0.05). 3. Th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obesity, but not with their preschoolers' obesity. 4.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as determin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interest in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selection in regard to weigh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ir kids. 5. In general, preschoolers whose mother had excellent nutrition knowledge evidenced better dietary habits than preschoolers whose mothers had poor nutrition knowledge. In particular, one question regarding serving siz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thers' general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p<0.05).

유아기의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외현화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nd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

  • 허은하;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29-136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기 외현화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의 매개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사용했으며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유아기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기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유아기의 외현화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는 각각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외현화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는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림책 감상을 통한 로봇 활용 놀이가 유아의 순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bot-Used Play through Appreciation of Picture Books on Children's Sequential Thinking)

  • 안지수;남기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357-365
    • /
    • 2024
  • 본 연구는 그림책 감상을 통한 유아의 로봇 활용 놀이가 순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각 유치원 만 5세 1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J유치원(실험집단)은 '그림책 감상 로봇 활용 놀이'를 지원하였으며, C유치원(비교집단)은 '그림책 감상 자유놀이'를 지원하였다. 두 집단의 놀이 경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순서적 사고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놀이지원 전과 후에 대한 점수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사후점수를 ANCOVA(공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 감상을 통한 로봇 활용 놀이를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순서적 사고의 총점과 하위 영역인 역학, 행동, 의도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주도의 창의적인 놀이매체로서 로봇의 가치를 발견하고, 미래사회의 역량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순서적 사고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놀이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자녀의 영상미디어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적, 의례적 목적이 유아의 영상미디어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 영상미디어 시청시간의 매개효과 (Do Mothers' Educational and Ritualized Reasons for Allowing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ffect Children's Screen Media Regulation Ability via Their Screen Media Time?)

  • 김호정;이동미;김빛나;서승희;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2호
    • /
    • pp.169-18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creen media time of young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sons for allowing young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their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614 children aged 5-6 (312 boys and 302 girls), and all the survey questions were answered by their m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25.0 and Mplus 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educational and ritualized reasons for allowing young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children's screen media time directly affected young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Second, children's screen media ti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ducational and ritualized reasons for allowing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When mothers permitted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their children were likely to spend less time on screen media usage which, in turn, increased their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Conversely, the more mothers allowed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for ceremonial purposes, the more time their children spent on screen media and the less ability they had to regulate screen media usage. These outcomes suggest that, to improve children's screen media regulation ability, mothers must not routinely allow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should manage their children's screen media time.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장윤경;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7-161
    • /
    • 2023
  • 현대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족 구조와 형태가 다양해지고, 여성의 경제 활동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 대상 돌봄에 대한 요구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보육기관 증설 및 운영 시간 연장 등으로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는 것에 반해, 유아 교육기관의 질과 영유아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유치원 교사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이고, 무조건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긴 근무 시간, 저임금, 학부모의 지나친 요구, 부진한 복지제도 등의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여 유치원 교사들이 흔히 겪을 수 있는 일반적인 어려움을 예상해보고 그 요인을 찾아 분석함으로서 유치원 교사의 스트레스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지원 방안 및 유치원 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척도(MTOSFQ), 심치적 소진척도(MBI), 자기자비척도(K-SCS), 마음챙김척도(FFMQ)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SPSS v22,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선형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PDF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실행에서 장애인교육법(IDEA)-인간작업모델(MOHO)간의 공통된 핵심원리 탐색 (Exploring the Alignment between MOHO and IDEA Principles: A Qualitative Analysi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 한민경;이주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71-283
    • /
    • 2024
  • 연구는 인간 작업 모델(MOHO)과 장애인 교육법(IDEA)의 여섯 가지 원칙 간의 공통된 핵심원리를 도출하여, 다학제간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행 활성화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학문적 특수교육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 작업 모델(MOHO)과 장애인 교육법(IDEA) 원칙 간의 연결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인간작업 모델(MOHO), 장애인 교육법(IDEA) 원칙 및 작업치료사와 특수교육교사 간의 협력에 대한 학술 문헌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주제 분석을 통해 반복되는 주제와 관계를 식별하여 인간 작업 모델(MOHO)의 이론적 기초와 장애인 교육법(IDEA)과의 공통된 핵심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의 핵심이론인 인간작업모델이 특수교육 활동에 접목되는 원리를 이해함을 지원하여, 특수교사-재활치료사들 간의 원활한 협력과 의사소통을 강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어머니가 인식하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 정효진;최현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13
    • /
    • 2019
  •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첫 아이가 18개월 또는 20개월에 어린이집에 처음 입소한 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집단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임신 또는 입소통보전화를 받고 갑작스레 어린이집 입소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자녀의 입소를 위해 어린이집 첫 방문 시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어머니가 본 교사의 인상과 말투, 표정 등이 어린이집을 선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분리불안 행동을 보이는 영아뿐 아니라 어머니도 적응과정을 겪었다. 어머니와 교사의 소통과 노력을 통해 어머니들은 영아가 적응해나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만 1세 영아의 적응과정을 통해 어머니가 인식한 적응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해서는 기관별로 프로그램 안내 및 실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어린이집 유형과 상관없이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적응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의 만 1세 영아를 위한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취약계층 어린이를 위한 책 배달, 책 읽어주기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경기도 A시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Book Delivery and Reading Program for Vulnerable Children: Focusing on the Case of Library A in Gyeonggi-do)

  • 공정자;조미아;이부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1-154
    • /
    • 2023
  • 본 연구는 경기도 A시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취약계층 어린이를 대상으로 시행한 찾아가는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A시 도서관은 방문교사를 활용하여 어린이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책을 비대면으로 책만 배달하거나, 대면으로 책을 읽어주고 책 배달을 함께 하였다. 2022년 프로그램 참여자는 103가정 158명으로 이 중 책 배달은 67가정 103명, 책 읽어주기는 36가정 55명이다. 취약계층 어린이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사업 시작과 종료 시기에 독서 효과 측정지표를 설문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방문교사와 인터뷰를 하였다. 분석결과 책 배달과 책 읽어주기 중 어린이의 수준과 흥미를 파악하고 상호작용이 큰 책 읽어주기의 효과가 높았다. 연령상으로 독서경험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유아가 초등학생보다 독서 효과가 더 좋았다. 계속 참여집단보다 신규 참여집단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약간 더 효과적이었다. 이외에 프로그램 시행 후 독서 흥미, 독서 태도, 독서환경, 독서 상호작용, 자아존중감, 사회성, 언어능력, 독서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도서관 이용률 등에서 향상되었다.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의 그림책 (Exploring Picture Book Reding Ecperiences of 2-Year-Olds Using Sensuous Reading Media)

  • 남기원;이수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59-370
    • /
    • 2023
  • 본 연구는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 그림책 읽기 경험이 영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의미있는 읽기를 통한 언어능력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만35개월 남아를 선정하였고, 자료수집은 가정에서의 참여관찰 및 현장기록노트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 연구대상이 그림책을 탐색하며 놀이하는 시간을 모두 녹화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녹화 시간은 약 20시간이고 수집된 자료를 및 현장기록을 전사한 자료는 A4 용지 108페이지이다, 연구결과는 만2세 영아의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하여 그림책 읽기 경험을 통해 새로운 매체를 탐색하기, 비슷한 매체와 비교 탐색하기, 매체를 활용한 그림책 읽기에 몰입이 흐름이 나타났으며. 또한 스스로 책을 선택하고 읽는 주도적 읽기의 출현, 읽기 매체를 활용한 탐색, 일상생활 속 그림책과 연계된 놀이로 변화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의 그림책 읽기 경험이 영아의 읽기 경험에 유의미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