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실작물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to Develop Monthly C Factor Database for Monthly Soil Loss Estimation (월단위 토양유실량 산정을 위한 식생피복인자 산정 방안 연구)

  • Sung, Yunsoo;Kum, Donghyuk;Lim, kyoung Jae;Kim, Jonggun;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9-279
    • /
    • 2017
  • 토양유실로 인해 발생된 토사는 강우 유출수와 함께 하류로 흘러들어 하천 및 호소의 탁수문제를 야기시킨다. 토양유실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 토지이용현황과 피복되어 있는 작물 등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므로 토양유실량 산정 및 유사거동특성을 계산하는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 모형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범용토양유실량산정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은 5개의 인자를 사용하여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정한 '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에 표토침식현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USLE 공식을 사용한다. USLE 모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식생피복인자는 작물의 생육과정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작물에 대한 획일적인 값을 제시하고 있어 밭에서 발생되는 정확한 토양유실현황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는 USLE 모형의 구성인자인 식생피복인자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유역별 월단위 인자값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의 4대상 유역 중 대청호 유역, 소양호 유역, 주암호 유역,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여 각 유역의 기후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였다.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기 위해 SWAT모형을 사용하여 일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출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구축된 인자의 지역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4대강 유역에 대한 작물 재배일정을 조사하여 모형에 반영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산정된 월단위 식생피복 인자는 모든 작물에 대해 작물이 파종되는 시점에서 수확되기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작물에 따라서 그리고 동일한 작물일지라도 유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는 토양유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피복변화를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로써 정확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Korea Soil erosion yields and Soil loss hazard zone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지역 분석)

  • Kim, Joo-Hun;Kim, Kyeong-Tak;Lee, Hy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8-692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 토양유실분포도와 토양유실위험 등급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양유실분포도는 RUSLE를 이용하였고, 강우-유출 침식성인자(R)는 기상청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77년부터 2006년까지(30년간)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빈도분석은 FARD를 이용하였고, 전국 R인자를 빈도별로 산정하였다. 토양유실량 분석결과 토지피복별로 초지, 나지 밭의 크기 순서로 토양유실이 발생하고, 우리나라 전체 평균은 약 17.2 ton/ha 정도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년빈도 강우특성에서 전체 토양유실량은 15,000여 톤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피복 구분에서는 논, 산림, 밭작물 재배지역에서 많은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침유실 위험 등급도 작성은 토양유실위험 등급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토양유실위험 2등급인 보통지역이 전체 토양유실량 위험지역의 78.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분석지역 전체 중에서 약 1.1%인 $1,038km^2$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별로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나지, 초지, 밭작물 재배지역의 순으로 각각 $93.5km^2$, $168.1km^2$, $327.4km^2$ 정도가 심각한 등급의 토양유실 위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 PDF

Study of the USLE P factor in USLE Equation (범용토양유실량 산정공식 USLE P factor에 관한 연구)

  • Sung, Yunsoo;Lee, Doungjun;Han, Jeongho;Lee, Seoro;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99-399
    • /
    • 2016
  • 현대 인류는 비약적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을 위해 수반되는 자원개발 및 생활환경조성으로 인한 토지개발이 진행되어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되고 있다. 토양유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하는 방법과 모형을 통해 유실되는 토양의 양을 산정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범용토양유실량 산정공식(USLE)은 사용상의 편리성과 연간 토양유실량을 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의 환경부에서는 USLE 공식을 적용한 '표토 침식 현황에 관한 고시'를 제정하여 유실되는 표토를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USLE 공식을 구성하고 있는 인자 중 P factor는 경사도만을 고려하여 인자 값을 제시하고 있으며, 밭에 적용된 관리방법과 작물, 경운방법 등을 고려하지 않아 방법에 차이에 따른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경작지의 경사도와 적용된 관리방안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P factor 선정 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경작지 조사를 통해 경작지 별 관리방안과 경사도를 고려한 P factor를 제안하고자 한다. 관리방안과 경사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P factor를 제안하기 위해 선정된 유역은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유역과 자운리 유역, 안동시 임동면 반변천 상류 유역을 선정하여 위치하고 있는 밭에 대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항목은 경작지의 경사도, 재배작물, 관리방법, 경운방법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사도와 관리방법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P factor를 재산정 하였다. P factor를 재산정한 결과 대상 유역 내 밭에 적용된 관리방법과 경운방법, 재배작물의 차이로 인해 상이한 값이 산정되었다. 또한 기존 P factor와 재산정된 P factor를 사용하여 산정한 토양유실량의 차이가 약 17%정도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재산정된 P factor는 토양유실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조건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P factor로써 정확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국단위 USLE P factor를 산정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Effect of Cover Crop Hairy Vetch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and Reduction of Nitrogen Fertilization in Sloped Upland (경사지 밭토양 유실억제 및 질소비료절감에 대한 피복작물 헤어리벳치의 효과)

  • Seo, Jong-Ho;Park, Jong-Yeol;Song, Duk-Yo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8 no.3
    • /
    • pp.134-141
    • /
    • 2005
  • Cultivation of winter cover crops and its soil utilization for summer main crops in slope upland is very important at the respects of diminution of soil erosion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 The effects of cover crop, hairy vetch as no-tillage or conventional tillage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and reduction of chemical nitrogen fertiliz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slope upland with whiter clover living mulch (partial tillage) in Suwon for three years and with rye (conventional tillage) in Hongcheon for two years, respectively. In Suwon, amounts of soil lost by rainfall runoff decreased as much as 90% by hairy vetch-no tillage (HV-NT), white clover-partial tillage (WF-PT) together with the decrease of rainfall runoff compared to winter fallow with conventional tillage (WF-CT). In addition, amounts of weed also decreased as much as 80-90% by HV-NT and WF-PT. Corn yield decreased much at the plot of WF-PT mainly due to competition for soil water and nutrients between clover and corn at the early corn growth stage. On the contrary, corn yield increased by HV-NT compared to WF-CT regardless of weed control. In Hongcheon, amounts of soil eroded during winter season before corn seeding were reduced as much as 95% by cultivation of hairy vetch and rye compared to winter fallow. Amount of soil eroded during waxy corn growing season was reduced as much as 98% by HV-NT compared to WF-CT. Also, soil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and rye as green manure with conventional tillage at corn seeding time could reduce soil erosion as much as 70% compared to no soil cover with conventional tillage. Ear yields of waxy corn were increased 10% higher at hairy vetch green manure (HV-CT) without nitrogen fertilizer, 20% higher at HV-NT with standard nitrogen fertilizer, respectively than WF-CT. But ear yields of waxy corn were decreased by rye green manure (R-CT) and HV-NT at the condition of no nitrogen fertilizer. It was concluded that hairy vetch was better as winter cover crop to reduce both soil erosion and chemical nitrogen fertilizer simultaneously in slope upland than other cover crops.

A Study of the USLE C factor in USLE Equation using UAV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C factor 산정방안 연구)

  • Sung, Yunsoo;Lee, Ji Min;Lim, Kyoung Jae;Kim, Ki-Sung;Kim, J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8-278
    • /
    • 2017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현상으로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점에 강우로 인한 토양유실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급격한 도시, 산업화의 진행으로 인해 강우로 인해 유실되는 토양의 양이 증가하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토양유실문데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토양유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양유실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여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수반되는 인적, 경제적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토양유실량 산정 및 유사거동특성을 계산하는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 모형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범용토양유실량산정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은 5개의 인자를 사용하여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정한 '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에 표토침식현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USLE 공식을 사용한다. USLE 모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C facotr는 작물의 생육과정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작물에 대한 획일적인 값을 제시하고 있어 밭에서 발생되는 정확한 토양유실현황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피복변화에 따른 C factor산정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자운지구 내 고랭지밭을 대상으로 실측을 통한 C factor를 제안하였다. 식생피복변화에 따른 C factor를 제안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NDVI map을 제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인 ebee와 Multi-spectral 센서를 사용하여 실측을 진행하여 NDVI map을 제작하였으며, C factor를 제안하기 위해 Jamil A.A.Anache et al의 연구결과에 명시된 C factor 산정식을 적용하여 식생피복 변화에 따른 C factor를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획일적인 값을 제시하는 기존 C factor와 다르게 식생피복에 따라 변화하는 C factor가 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무인항공기를 사용한 C factor 산정방안을 통해 정확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Korea Soil Loss and Hazard Zone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 지역 분석)

  • Kim, Joo-Hun;Kim, Kyung-Tak;Lee, Hyo-J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3
    • /
    • pp.261-268
    • /
    • 2009
  • This study accomplished to draw a soil erosion map and a grade map of soil loss hazard in Korea. RUSLE and Rainfall-runoff (R) factor, which was estimated by using the rainfall data observed in 59 meteorological stations from 1977 to 2006 (for 30 years). FARD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the whole country R factor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 the analysis of estimating the whole country R factor, Nakdong river has the smallest vaule, but Han river has the biggest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oil loss, soil loss occurred in a grass land, a bare land and a field in size order, and also approximately 17.2 ton/ha soil loss happened on the whole area. The average soil loss amount by the unit area takes place in a bare land and a grass land a lot. The total amount of soil loss in 5-year-frequency rainfall yields 15,000 ton and, what is more, a lot of soil loss happens in a paddy field, a forest and a crop field. The grade map of soil loss hazard is drawn up by classifying soil loss hazard grade by 5. As a result of analyzing soil loss, the moderate area which is the soil loss hazard grade 2 takes up the largest part, 72.8% of the total soil loss hazard area, on the contrary, the severe soil loss hazard area takes up only $1,038km^2$ (1.1%) of the whole area. The severe soil loss hazard area by land cover shows $93.5km^2$ in a bare land, $168.1km^2$ in a grass land and $327.4km^2$ in a crop field respectively.

  • PDF

The Soil Loss Analysis using Landcover of WAMIS - for Musimcheon Watershed - (WAMIS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토양유실량 분석 -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

  • Kim, Joo-Hun;Lee, Chung-Dae;Kim, Kyung-Tak;Choi, Y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4
    • /
    • pp.122-131
    • /
    • 2007
  • This study estimates how soil loss in a basin has been occur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land cover, and analyzes which type of land cover has the largest soil loss by classifying the land-cover type into each area and a whole basin. Musimcheon, the second branch stream of GeumGang, is chosen as a research area.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average soil loss occurs most largely in a crop land and a paddy field. The yearly soil loss of watershed estimates approximately 14,000 ton/yr in case of using 100-year-frequency rainfall data. A forest area, which takes the largest area in watershed, shows the soil loss occurs approximately 1,000ton/yr. A crop field shows that soil loss increased most largely 4,900 ton/yr (34.6%) in 1985 to 8,100 ton/yr (56.1%) in 2000. The change of land cover in a crop land increased 8% to 14%, and this change influences on the increase of soil lo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ea over $200ton/km^2/yr$, the soil loss in a crop field accounts for 74% to 96%.

  • PDF

The selection of soil erosion source area of Dechung basin (대청호유역의 토사유실 원인지역 선정)

  • Lee, Geun-Sang;Hwang, Eui-Ho;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97-2002
    • /
    • 2007
  • This study selected soil erosion source area of Dechung basin by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and field survey for effective soil conserv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First, unit soil erosion amount of Dechung basin is analyzed using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odel based o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soil map, landcover map and rainfall data. Soil erosion model is difficult to analyze the tracing route of soil particle an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ank condition and the types of crop, multidirectional field survey is necessary to choice the soil erosion source area.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modeling value and field survey, Mujunamde-, Wondang-, Geumpyong stream are selected in the soil erosion source area of Dechung basin. Especially, these areas show steep slope in river boundary and cultivation condition of crop is also weakness to soil erosion in the field survey.

  • PDF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oil Loss by Runoff at Inclined Upland of Maize Cultivation (옥수수 재배 경사지 밭에서 물 유출에 따른 토양유실 예측 공식)

  • Hur, Seung-Oh;Jung, Kang-Ho;Ha, Sang-Keon;Kwak, Han-Kang;Kim, Jeong-G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8 no.2
    • /
    • pp.66-71
    • /
    • 2005
  • Soil loss into stream and river by runoff shall be considered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s national land con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athematical equation to predict soil loss from inclined uplands of maize cultivation due to the runoff by rainfall which mainly converges on July and August. Soil loss was concentrated on May because of low canopy over an entire field in 2002 and on June and July because of heavy rainfall in 2003.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 between runoff and soil loss can be represented by a linear equation of y =1.5291x - 3.4933, where y is runoff ($Mg\;ha^{-1}$) and x is soil loss ($kg\;ha^{-1}$).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this equation was 0.839 (P<0.001). Therefore, the mathematical equation derived from the practical experiment at the inclined upland can be applicable to predict soil loss accompanied by runoff due to periodic rainfall converging on short periods within a couple of months.

Prevention of Soil Erosion in Sloped Upland of Highland Using Landscape crop Chrysanthemum zawadskii (경관작물 구절초의 고랭지 경사지밭 토양유실 경감 효과)

  • Kim, Su Jeong;Sohn, Hwang Bae;Kim, Yul Ho;Hong, Su Young;Nam, Jung Hwan;Lee, Jong Nam;Chang, Dong Chil;Suh, Jong T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51-51
    • /
    • 2019
  • 고랭지(해발고도 400m 이상)는 전국 밭 면적의 24.7%을 차지하고 있고 경사도가 15도 이상인 지역이 58.7%인 41,812ha에 달한다. 고랭지 농업은 주로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의 경사지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대부분 작물 재배기간이 5월부터 9월까지 약 5개월 정도로 짧아, 나머지 7개월은 토양 피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있어 토양유실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경관성이 높은 구절초를 식재하여 토양유실 저감 효과를 구명하였다. 고랭지 경사도 55도 라이시미터(Lysimeter)에서 가로 1.2m에 세로 1.8m의 규격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관행구로 나지(Control, TC) 대비 식재 당시 피복정도에 따라, 피복율 40%는 T1, 피복율 70%는 T2로 하여 총 3처리를 두었다. 구절초의 개화기(10월 1일) 피복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나지상태는 0%의 피복율인데 이에 반해 구절초 식재 처리구는 57~80%로 경사지 토양을 피복시키는 효과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경관작물인 구절초를 식재할 경우 나지 TC를 기준으로 유출량이 65~71%, 토양유실이 87~99% 감소되어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 경감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또한, 유거수 탁도 저감 효과성이 뛰어났다. 따라서, 고랭지 경사지에 영년생 자원식물 중 경관성이 뛰어난 구절초를 식재함으로서 경사지 토양유실을 경감시킬 수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고소득작물로 활용 가치가 높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