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식물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4초

수평으로 위치한 은단풍(Acer saccharinum L.) 유식물의 제1절간에 있어서 반응조직의 분화 (Differentiation of Reaction Tissues in the First Internode of Acer saccharinum L. Seedling Positioned Horizontally)

  • 강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11-217
    • /
    • 1992
  • 본 연구는 중력자극에 대하여 식물체의 일기생장으로부터 이어지는 이기생장 중에 일어나는 생장 반응과 관련지어 유관속조직의 발생상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은단풍 유식물의 제1절간이 수평 위치에서 생장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반응조직의 발생과정을 연구하였다. 수평 위치에서 생장한 은단풍 유식물의 제1절간에서 장력재(교질섬유)의 발생과정은 점진적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수평으로 위치한 제1절간의 상부에서 장력재의 발생과정은 기부에서 정단부를 향해 구정적으로 일어났다. 장력재의 해부학적 특성 중 일부는 일기유관속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기생장 전형적인 장력재가 나타나게 되므로 전형성층도 유관속형성층과 마찬가지로 중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점으로 보아 전형성층은 유곤속형성층과 동일 분열조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관요소의 길이는 상부에서 길게 나타났고, 도관의 측면무늬에 있어서는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상생으로 차이가 없었다. 방사조직의 폭은 이열방사조직을 이루는 상부가 단열방사조직을 이루는 하부에 비하여 넓고, 높이도 상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 PDF

NaCl 스트레스에 따른 벼 유식물의 뿌리 수분흡수와 엽록소형광의 변화 (Changes in Root Water Uptak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Rice (Oryza sativa L. cv. Dongjin) Seedling under NaCl Stress)

  • 전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4-161
    • /
    • 2008
  • 염분에 대한 벼 유식물의 생리학적 광화학적 반응을 잎의 상대수분함량, 엽록소 형광 및 뿌리의 수분흡수를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벼 유식물이 농도가 다른 NaCl에 노출되었을 경우, 500 mM 이상의 농도와 4일, 5일간 스트레스를 준 처리구에서 식물체의 외관상 심각한 장해 징후가 나타났다. 500 mM에서는 5일간, 1,000 mM에서는 4일간 스트레스를 준 처리구와 NaCl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 간의 광합성 Fv/Fm에서 유의성이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러나 뿌리 수분흡수에서는 Fv/Fm에 비해 스트레스 기간이 짧은 2일에서도 수분흡수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NaCl에 노출된 식물에서 잎의 상대수분함량은 외부 염분의 농도가 증가하구 스트레스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잎의 상대수분함량 결과에서 1,000 mM 농도로 1일간 처리된 경우(88%)와 비교했어 2일 이상 NaCl를 처리한 경우들(58-67%)에서 보다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NaCl 스트레스는 4일과 5일간 처리한 경우 etiolate된 벼 유식물의 광 유도 녹화과정에서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심하게 억제하였다(각각의 $R^2$=0.812과 0.918). 염분 스트레스 기간과 NaCl농도가 증가되었을 때, NaCl의 농도가 같음에도 잎의 Fv/Fm보다는 뿌리의 수분흡수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잎에서의 장해보다는 뿌리에서의 반응이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보리 유식물 분리엽록체의 광합성 전자전달활성에 미치는 Dimethipin의 영향 (Effects of Dimethipin on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of Isolated Barley Chloroplasts)

  • 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52-56
    • /
    • 2005
  • 8일간 생장한 보리 유식물에 72시간 동안 dimethipin을 처리하면서 엽록소 함량의 변화와 광합성적 전자전달 활성을 측정하였다. 10/sup -3/M dimethipin을 72시간 처리한 경우 엽록소 함량이 33%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7일간 암소에서 생장시킨 후 dimethipin을 처리한 보리 유식물은 녹화 48시간에 10/sup -4/M에서 대조구에 비해 43%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엽록소 a/b 비율이 증가하였다. 24시간의 dimethipin처리는 PSⅡ+PSⅠ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0/sup -4/M dimethipin처리는 48시간 배양시 10% 그리고 72시간에는 25%의 PSⅡ+PSⅠ 활성을 억제하였다. Water splitting system을 제외한 PSⅡ+PSⅠ 활성은 10/sup -4/M dimethipin을 48시간 처리할 경우 16% 그리고 72시간에는 27% 억제되었다. 10/sup -4/M dimethipin을 24시간 처리할 경우 PSⅡ활성은 8%, 48시간에서는 13% 그리고 72시간에서는 18% 억제되었다. 10/sup -4/M dimethipin을 24시간 처리할 경우 PSⅠ활성은 4%, 48시간에서는 8% 그리고 72시간에서는 10% 억제되었다. 7일간 암소에서 자란 황백화된 보리 유식물을 녹화시간 6, 12, 24와 48시간에 dimethipin을 처리할 경우 PSⅡ+PSⅠ 활성은 5, 10, 10 그리고 11% 억제되었다. 반면에 water splitting system을 제외한 PSⅡ+PSⅠ 활성은 모든 처리시간에서 그 효과가 없었다. 또한 PSⅡ와 PSⅠ의 활성도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dimethipin에 의해 야기된 광합성적 전자전달활성의 억제는 엽록체 합성과정에서의 영향보다는 엽록체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엽록체 기능의 감소는 dimethipin에 의해 야기되는 30∼40%의 엽록소 함량감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 배발생세포에서 재분화된 유식물체의 뿌리 발육에 미치는 Phytagel의 영향 (Effect of Phytagel on the Root Growth of Plantlets Redifferentiated from Ginseng(Panax ginseng) Embryogenic Cells)

  • 안인옥;최영준;이성식;이장호;강제용;유연현;정희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11-214
    • /
    • 2004
  • 토양에서 재배되고 있는 묘삼의 뿌리 표피조직에는 근모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배지내에서 생육한 인삼 재분화식물체의 뿌리세포는 표피조직에 근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Phytagel이 적게 첨가된 배지에서 자란 유식물체의 뿌리에는 근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근중, 근경, 지근발달 등의 뿌리 발육상태도 미약하였으나, phytage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근모의 발달, 근중, 근경, 세근발달 등의 뿌리발육이 양호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phytagel이 적은 배지에서 자란 유식물에서는 통도조직의 발달이 미약하였으나 phytagel이 높은 배지에서 자란 유식물에서는 통도조직의 발달이 아주 양호하였다.

옥수수에 대한 정수 슬러지(Alum sludge)의 시용효과와 Aluminum이 옥수수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reatment Sludg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Korean Local Corn(Zeas Mays L.))

  • 장기운;구자공;임재신;김영한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1호
    • /
    • pp.73-83
    • /
    • 1995
  • 본 실험은 옥수수에 대한 정수장 슬러지 (Alum 슬러지)의 시용효과와 다양한 pH별로 용출된 alum슬러지 추출물이 옥수수의 유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Alum슬러지와 부숙된 Alum슬러지 퇴비를 각각 1500kg/ha를 시용하여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수량, 엽록소함량, 초장 등의 평가에서 대조구에 비해서 비효가 인정되었으며, 뚜렷한 비해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구별 옥수수의 종실에 대한 식품화학적 분석에서도 뚜렷한 성분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pH에 대한 옥수수 유식물의 생육은 pH4 미만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저해가 나타났으며 무기이온의 흡수는 pH4 이하에서 크게 장해를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lum슬러지의 추출물에서는 pH가 낮아지면서 지속적인 생육저해와 양이온 흡수저해가 나타났다. 또한 Aluminum함량이 100ppm 이하에서 극심한 생육저해가 나타났다.

  • PDF

VLFS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파제 설계 연구 (Design of Breakwater for the Safety of VLFS)

  • 조규남;유경훈;강점문;윤명철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7-223
    • /
    • 2002
  • 초대형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파제 설계를 수행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고 관련 구조물의 설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초대형부유식 구조물의 설치 위치에 따라 파랑 하중을 계산하였고, 이 하중에 대한 최적의 직립식 방파제 단면을 통용되고 있는 Goda 식에 의하여 scantling 하였다. 케이슨의 안전성 검증을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최종적으로 VLFS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하나의 방파제 설계도를 제시하였다.

  • PDF

유식세포분리기와 세포유전학적 방법에 의한 염색체이상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Chromosome Abnormality by Flow Cytometric and Cytogenetic Methods)

  • 백청순;김묘경;이상민;김진희;백용균;이훈택;정길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73-79
    • /
    • 1996
  • 골수나 유산물질에 대한 세포유전학적 검사에 있어 통상적인 염색체검사는 검사에 적합한 중기핵상을 얻기 어려워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진단이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유식세포분리기를 사용하여 단일 세포내 DNA량에 따른 aneuploidy를 추적할 수 있는 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79 (혈액 30, 골수 37, 유산물 12)예에서 염색체 검사와 유식세포 분리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79.7% (63/79)의 일치율을 얻었다. 그러나 염색체의 손실이 없는 전좌와 역위의 경우는 물론 작은 조각의 염색체 부분이 늘어나거나 줄어든 경우에 있어서는 유식세포분리방법에 의해서 추적되지 못하였지만, 염색체 검사의 결과를 얻는데 실패한 경우에는 유식세포분리방법이 DNA량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세포유전학적 검사에서 유식세포분리방법이 염색체 검사보다 신속하며 염색체검사가 불가능한 시료에서도 DNA양에 따른 aneuploidy의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유식물의 자엽절에서 유관속형성층의 초기발생 (Early Ontogeny of Vasuclar Cambium in Cotyledonary Node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 소웅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59-364
    • /
    • 1992
  • 은행나무 유식물에서 유관속형성층은 성숙한 잎을 포함하여 5장의 잎이 자라고 있을 때 제일 먼저 자엽절에서 발생되고, 이어서 지하기관인 배축-뿌리로 그리고 지상부의 줄기로 즉, 양쪽 방향으로 분화되었다. 접선면 관찰에서 자엽절의 유관속형성층 발생유형은 줄기와 같고 뿌리와는 다르다. 자엽절에서 초기의 전형성층은 동일형의 세포로 구성된 균일구조를 이루고,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신장생장을 하는 일부세포와 횡단분열을 하는 나머지 세포의 두 종류 세포로 된 비균의 구조로 전환된다. 신장을 하는 긴 세포로부터 유관속형성층의 방추형 시원세포가 그리고 횡단분열을 하는 짧은 세포로부터 방사조직 시원세포가 기원된다. 그러므로 방추된 시원세포는 심한 관입생장을 거쳐서 발생된다.

  • PDF

2,4-Dinitrophenol을 처리한 호밀(Secale cereale L.) 유식물의 질산염 환원에 관한 연구 II. 호밀 유식물 뿌리의 질산염 환원효소 활성에 대한 2,4-Dinitrophenol의 영향 (Studies on in vivo Nitrate Reduction in Rye (Secale cereale L.) Seedlings Treated with 2,4-Dinitrophenol II. Effect of 2,4-Dinitrophenol on in vivo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 the Roots of Rye Seedlings)

  • 조규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83-288
    • /
    • 1991
  •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determined the effect of 2,4-dinitrophenol(DNP) on in vivo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 the root of 6 day old rye (Secale cereale L.) seedlings. The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 the roots of 6 day old rye seedlings pretreated with 0.5 mM DN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KNO3 for maximum nitrate reductase activity was 10 mM in both control and treated group. The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10 mM KNO3 gradually increased for 4 h in both groups, and then maintained constantly. The nitrate reductase activity occurred per hour was highest at 1 h in both groups, while it was declined by large degrees as time goes on. The daily pattern of nitrate reductas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in both groups with the passage of day. The optimal pH for this experiment and a previous paper (Kwon et al., 1991), it was determined that the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 both roots and shoots of rye seedlings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0.5 mM DNP, and particulary in both groups, the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 the roots of rye seedlings was higher than that in shoots of them.

  • PDF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의 약배양에서 형성된 배의 형태가 유식물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bryo Morphology on Plant Development in Anther Culture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손재근;권용삼;김경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5-168
    • /
    • 1995
  • 작약의 약배양에서 재분화되는 식물체의 획득 빈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분소포자에서 유래된 배의 형태 및 형태별 유식물 분화양상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 바,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거나, 2,4-D와 활성탄이 혼용된 배지에서 약으로부터 직접 형성된 배는 80% 이상이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배이었으나, 캘러스로부터 형성된 배의 경우는 자엽 이 1개,3개 또는 4개이거나 볼링핀 및 나팔 모양의 비정상적인 배의 출현율이 60% 이상 높게 나타났다.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 배의 경우는 발아율이 81%로 높았고 정상 식물체로 발육되는 비율도 60.6%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엽이 1개 또는 3~4개인 배는 정상적으로 발육되는 식물체의 비율이 10%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특히 볼링핀 및 나팔 모양의 배는 전혀 식물체로 발달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