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수지토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oad Based on Watershed Unit in Bocheong Seream (보청천에 대한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

  • Shin, Geun-Su;Kim, Hung-Soo;Kim, G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61-965
    • /
    • 2007
  • 현재 오염총량관리제를 시 군 단위의 기초자치 단체별로 시행하고 있는데 실제로 오염물질의 전달은 행정구역단위가 아닌 유역내에서 이루어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 단체별이 아닌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과 삭감량을 산정함으로써 유역 단위의 오염총량관리제 계획 수립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청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인 WMS(Watershed Management System)와 ArcView를 이용하여 유역의 지형인자들을 추출하고, 각 소하천의 토지이용도와 생활계, 축산계, 양식계, 토지계를 바탕으로 원단위를 적용하여 발생부하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소하천별 발생부하량 산정 결과를 토대로 각 수질관측점을 기준으로 하여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으며, 배출부하량의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수질 데이터는 QUAL2E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 하였으며, 수리 및 수질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달부하량은 BOD는 2013.16kg/일, TN은 1091.34kg/일, TP은 235.16kg/일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장래에 수질이 악화될 경우를 고려하여 수질 항목별 오염량이 2배, 3배로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오염량이 2배 증가하였을 경우,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보청천3 지점에서 BOD는 184.68kg/일이 삭감되어야 하고, 오염량이 3배 증가하였을 경우 BOD는 1775.69kg/일이 삭감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이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경우, 오염원을 줄이는데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오염총량관리제를 위해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을 고려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는 지배적인 요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

  • PDF

Estimation of soil Quantity and Environmental Effect on Dredged Soil (준설오니의 토량 산출 및 성분분석)

  • 신은철;오영인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5 no.2
    • /
    • pp.13-21
    • /
    • 2000
  • Detention basin is the temporary holding pond of treated water prior to flow out to the sea. It is very common to dredge the soil from the bottom of detention basin to keep up the water holding capacity. In this study, the amount of volume reduction of dredged soil from detention basin was estimated based on the laboratory test results. The percentage of soil particles in dredged organic soil is about 12.5∼21.9% by weight. The content of heavy metal and environmental effect for dredged soil itself and solidified dredged soil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meet the standards of environmental requirement.

  • PDF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Brewing Cycle for Contaminated Soil in Water Retention Basin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하천유수지 오염토의 현장적용성 평가)

  • Shin, Eunchul;Jung, Minkyo;Kim, Kyeongsig;Kang, Jeongku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11
    • /
    • pp.35-43
    • /
    • 2016
  • In this study, by using a Effective Microorganisms Brewing Cycle, it confirmed the purification effect of pollutants that are adsorbed on the basins stench removal and retarding soil. On the basis of on-site application test, a soil decontamination system will be suggested. Using a Effective Microorganisms Brewing Cycle, the odor concentration is reduced 2.5 times than that of natural purification treatment method. It was measured and found that the quality of the pore water discharged from the soil is impro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composite of copper and lead with the fermentation microorganisms adsorbed on soil particles from the surface of the stirred experiments lagoon mixed soil is reduced to 65% and 66%, respectively, The TPH organic component was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effect of 85%. Restoration of reservoir contaminated soils using the effective microorganism brewing cycle needs to be more developed and implemented as a long-term purification system. This study may be a good reference of developing more complete microorganism brewing system which will efficiently reduce the odor and soil contamination based on optimal stirring and mixing ratio of the compound solutions and contaminated soils in reservoir.

Removal of Cr, Pb and Cd from Reservoir Sediment by Electrokinetic Technique (동전기를 이용한 유수지 오염 퇴적토내 Cd, Pb 및 Cr제거)

  • Shin, Hyun-Moo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4 no.1
    • /
    • pp.68-77
    • /
    • 2009
  • For the reservoir sediment highly contaminated with total Cr, Pb, and Cd, the applicability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method was evaluated. Also, BCR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was adopted to compare the heavy metal speciation in between before and after electrokinetic reaction that is operated under constant current condition for the sediment. After reaction, total Cr and Pb moved toward the direction of anode, while Cd tended to cathode and stayed highest in the midst of sediment specimen. From the BCR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it was known that for total Cr and Pb the residual fraction that showed high fraction before reaction decreased and changed to the oxidation fraction. On the other hand, for Cd the fraction of exchangeable/carbonate that dominated most fractions before reaction changed to the residual and oxidation fractions.

An Optimal Sewer Network Design to Reduce the Damage for Urban Inundation Risk Area (도시 침수 위험지역의 피해 저감을 위한 우수관망 최적설계)

  • Lee, Jung-Ho;Ryu, Seung-Hyun;Song, Y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71-471
    • /
    • 2012
  • 도시유역에서 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방류토구 인근의 저지대의 경우 유수지 및 빗물펌프장을 통하여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 도심지 한복판에 이러한 상습 침수지역이 존재한다면 이에 대한 침수 방지 시설물의 설치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도심지 한복판의 침수위험지역의 경우 부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유수지의 설치는 매우 제한적이며, 따라서 근래 대두되고 있는 것이 지하 저류공간의 건설 등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하 저류공간의 건설과 더불어 우수관망의 설계 자체를 침수피해 저감 측면에서 그 효과를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설계빈도하에 설계된 우수관망이라 하더라도 관망의 노선 선정에 따라서 초과강우사상에 따른 침수 발생량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우수관망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사상에 대하여 그 부하량을 적정히 분배함으로써 관망의 전체적인 침수 발생 위험을 전반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확보되는 안전성은 지하 저류공간 등 각종 침수피해 저감 시설과 더불어 우수관망시스템의 침수피해 발생 위험을 전반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하에 도시유역에서의 침수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우수관망의 신뢰도 산정 식을 토대로 목적함수를 아래의 식과 같이 구성하였다. $$Max.\;liability\;of\;Sewer\;Networks=1-\;{(1-N)^2+(1-V_i)^2\atop2}\;\cdots\cdots\cdots\;\;\;(1)$$ 여기서, $V_i$는 적용된 강우량당 유역의 전체 유출량 대비 월류발생량을 나타내며, $N_i$는 적용된 강우량당 해당 관망의 전체 지점 수 대비 월류 발생지점 수를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우수관망의 신뢰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도시유역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최적 설계에 따른 신뢰도 향상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 PDF

Population Size Estimation of the Kaloula borealis in the Daemyung Retarding Basin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Kaloula borealis 개체군 크기 추정)

  • Choi, Seo-Young;Rho, Paik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4
    • /
    • pp.684-693
    • /
    • 2016
  • Daemyung retarding basin located near the confluence floodplain of the Nakdong and Kumho River is a large spawning site for the endangered Kaloula borealis, and needs for protecting the habitat of the endangered species are increasing. However, scientific studies are rarely conducted on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knowledge on the species in the basin.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population siz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pecies that inhabited at the Daemyung retarding basin, using the capture-recapture method. Also, pitfall traps were installed in each habitat types classified with micro-topographic features, slope aspects, and vegetation communitie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Kaloula borealis of each habitat in the retarding basin. Field survey on the species was conducted from May 2013 to October 2014, showing that the species emerged in May, became more active during July and August and started to hibernate at the end of October. Using capture-recapture method, the first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to August, 2014. Ninety-eight toads were captured, marked, and released back into the site. In the second survey, 68 toads including 5 marked toads of the previous survey were captured. Based on these two-sample surveys, around 535-2,131 individual toads are estimated to inhabit the Daemyung retarding basin. Fifty-seven pitfall traps were installed in four habitat types: mounded and vegetated flatland, lowland swamps, and slope areas of both the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basin in order to delineate spatial abundance of the endangered Kaloula borealis during the rainy season when the species is actively spawning. Pitfall traps at the spatially explicit array indicated that the species gradually move to the slope areas near the Daemyung stream, showing high occurrence density of the Kaloula borealis compared to the lowland swamps after the spawning season. The emergence of Kaloula borealis in the lowland swamps appeared to be comparatively higher during the spawning season. However, after the spawning season the toads species rapidly moved into the neighboring land of relatively high elevation such as the slope area towards the Dalsung protected wetlands and Daemyung River.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igration patterns that toads tend to return to the sheltering sites and/or hibernating grounds after the spawning season. Also, the Kaloula borealis moved to the nearest high-level vegetated areas as the lowland swamps of their spawning grounds deteriorated with the expansion of permanent ponds due to the rise in the groundwater level.

Analysis of Fluid Flows in a High Rate Spiral Clarifier and the Evaluation of Field Applicability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고속 선회류 침전 장치의 유동 해석 및 수질 개선을 위한 현장 적용 가능성 평가)

  • Kim, Jin Han;Jun, Se Ji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1
    • /
    • pp.41-5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igh Rate Spiral Clarifier(HRSC) availability for the improvement of polluted retention pond water quality. A lab scale and a pilot scale test was performed for this. The fluid flow patterns in a HRSC were studied using Fluent which is one of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CFD) programs, with inlet velocity and inlet diameter, length of body($L_B$) and length of lower cone(Lc), angle and gap between the inverted sloping cone, the lower exit hole installed or not installed. A pilot scale experimental apparatus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e fluid flow analysis and lab scale test, then a field test was executed for the retention pond. In the study of inside fluid flow for the experimental apparatus, we found out that the inlet velocity had a greater effect on forming spiral flow than inlet flow rate and inlet diameter. There was no observable effect on forming spiral flow LB in the range of 1.2 to $1.6D_B$(body diameter) and Lc in the range of 0.35 to $0.5L_B$, but decreased the spiral flow with a high ratio of $L_B/D_B$ 2.0, $Lc/L_B$ 0.75. As increased the angle of the inverted sloping cone, velocity gradually dropped and evenly distributed in the inverted sloping cone. The better condition was a 10cm distance of the inverted sloping cone compared to 20cm to prevent turbulent flow. The condition that excludes the lower exit hole was better to prevent channeling and to distribute effluent flow rate evenly. From the pilot scale field tes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ulate matters were effectively removed, therefore, this apparatus could be used for one of the plans to improve water quality for a large water body such as retention ponds.

The PC concrete Rainwater Storage Facility development for a prevention of disaster and a water resources re-application (방재 및 수자원 재활용을 위한 PC콘크리트 빗물저류조의 개발)

  • Chang, Young-Cheol;Cho, Cheong-Hwi;Kim, Ok-Soo;Oh, Se-Eun;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79-883
    • /
    • 2005
  • 우리나라는 하천유역의 도시화 추세 속에 불투수층의 증가로 빗물의 일시 유출로 인한 홍수발생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방재적 차원에서의 수자원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초기 빗물과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수에 의한 하천, 호소, 및 습지의 수질오염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제작된 PC 지하식 빗물저류시설로서 상부의 공간은 공원, 운동장, 주차장 등 다양하게 이용하면서 방재와 치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PC 콘크리트 빗물저류조는 현장 타설이 아닌 PC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고, 작업환경 및 주변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지하수의 보전, 회복을 위한 빗물저류 침투 시설 역할도 수행하여 비상용수를 확보하고 여름철 홍수 시 빗물을 가두어 재해를 방지하는 등의 다목적 시설로 활용된다. 지하 매립형 빗물저류조는 기존의 암거설계기준을 참조하여 일본의 내진설계 기준을 반영하였으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도 또한 뛰어나다. 그리고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의 단축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빗물저류조 설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지하저류형 빗물저류조 시설로 설계되어 토지의 효과적인 이용이 기대된다. 2. 공사기간이 짧아 경제적이다. 3. 안정된 구조체이다. 4. 부지의 형태에 맞춘 시공이 가능하다. 5. 소규모에서 대규모의 유수지까지 광범위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6. 방재역할 수행 및 빗물이용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7. 불투수층이 증가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 적극 활용가능하다.로 판단된다.한 예비방류의 시행과 강우종료 후에도 이수용량에는 손실이 없는 저수지의 관리방안의 지침이 되는데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방법을 개발하여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4.3\%$로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총 유출량에서도 각각 $7.8\%,\;13.2\%$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모형에 비해 실유량과의 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도시유출을 모의하는 데 가장 근사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며, 도시재해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PDF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First Flush Management System for Urban Stream Water Quality Management (도시 하천 수질 관리를 위한 지속가능 초기 강우 오염 관리 시스템의 개발)

  • Seo, Dongil;Lee, Tongeun;Kim, Jaeyoung;Koo, Youngm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4
    • /
    • pp.247-255
    • /
    • 2016
  • Non-point pollutants from surface runoff during rainfall exert adverse effects on urban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first flush effect during the initial phase of rainfall can deliver significant amounts of pollutant loads to surface waters with extremely high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a sustainable first flush effect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settling and filtration that require no additional power or chemicals. A pilot scale experiment has shown that the removal of total suspended solid (TSS),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are in ranges of 84 - 95%, 31 - 46%, and 42 - 86%, respectively. An Integrated Stormwater Runoff Management System (ISTORMS) was also developed to efficiently manage the developed system by linking weather forecast, flow rate and water quality modeling of surface runoff and automatic monitoring systems in fields and in the system. This study can provide effective solutions for the management of urban river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An Experimental Study of Wave Overtopping Characteristics on the Structure for Wave Overtopping Power Generating System (월파형 파력발전구조물의 월파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hin, Seung-Ho;Hong, Key-Y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0 no.8 s.114
    • /
    • pp.649-655
    • /
    • 2006
  • Waves progressing into the coastal area can be amplified, swashed and overtopped by a wave overtopping control structure, and it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waves to the potential energy with a hydraulic head above the mean sea level by conserving the overflow in a reservoir. Then the potential energy in the form of hydraulic head can be converted to electric power utilizing extremely low-head hydraulic turbin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ost optimal shape of wave overtopping structure which maximizes overtopping volume rate of sea water. Laboratory experiment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wave overtopping control structures were carried out in three dimensional wave tank, and the three dimensional structure models with planar wave concentration shapes(B/b) were manufactured into five classes, which were optimized by cross sectional parameters of the structure, ie, length of ramp(l), gradient of inclined ramp($cot{\phi}$) and freeboard height of the wave overtopping structure($h_e$) proposed by Shin and Hong(2005). The wave overtopping discharges were investigated with 20 incident wave conditions and wave directions of $0^{\circ},\;15^{\circ},\;30^{\ci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