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세포 분석기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6초

세포 이미징 기능을 겸비한 생체 유세포 분석기 (In vivo Imaging Flow Cytometer)

  • 이호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1
    • /
    • 2007
  • 유(流)세포분석기(flow cytometer)는 일정한 체적 내에 존재하는 세포의 종류 및 개체 수 등을 계측하는 장비로써 생체에서 추출한 유액상태(혈액 또는 림프액)의 세포를 모세관(micro-channel)을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산란 및 형광 빛을 이용하여 계측한다. 유세포 분석기는 신약의 투석 후 세포수의 증감, 암세포의 전이 및 세포주기의 분석 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며 현재 Becton-Dickinson's 등에서 상용화된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계측을 위해서는 생체에서 세포를 추출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arvard 의과대학에서 최근에 개발한 생체 유세포분석기(In vivo Flow Cytometer)는 생체에서 세포를 추출하지 않고 세포의 수를 계측할 수 있다[1]. 레이저가 혈관의 특정한 부위에 조사되고 있고, 이곳을 세포가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형광을 계측함으로써 주어진 시간 동안 특정세포군이 얼마나 지나가는 지를 계측할 수 있는 장비이다. 본 특별기사에서는 혈류 가시화 분야의 독자를 위해 최근에 "Optics Express"에 "In vivo imaging flow cytometer"라는 제목으로 최근에 개제된 논문의 내용을 하여 소개한다[2].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 Assay를 이용한 자연산 참굴(Crassostrea gigas)의 면역력 측정 (Assessment of Immune Parameters of the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using a Flow Cytometry and Neutral Red Retention Assay)

  • 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37-149
    • /
    • 2012
  • 남해의 광양만과 진해만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건강성 평가를 위해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혈구의 기능들을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NRR) assay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광양만과 진해만의 안쪽과 바깥쪽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혈구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혈구의 종류를 분류하고, 혈구 종류별 수, 사멸률, DNA 손상도, 식세포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RR assay를 이용하여 혈구의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측정하였다. 참굴의 혈구는 granulocytes, hyalinocytes, blast-like cells의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었다. 조사 지역 간의 혈구의 수, 사멸률, DNA 손상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식세포율과 lysosomal membrane stability와 같은 면역 관련 기능들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진해만은 내만과 외만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의 혈구 면역인자들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광양만에 서식하는 참굴은 내만 지역의 섬진대교가 외만 지역의 평산리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보다 낮은 식세포율과 낮은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보여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해양환경 변화와 시료의 면역력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사지역의 환경적 특성이나 오염정도, 그리고 시료 내의 오염물질 축적량 등의 객관적인 분석 결과와의 종합적인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유세포 분석기와 NRR assay를 이용한 참굴 혈구 집단의 형태 변화 및 면역능 측정 기술은 시료의 전처리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세포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 tool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혈구의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정량 (Quantification of nitric oxide concentration in the hemocyte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using 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etection method)

  • 남기웅;양현성;박경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1
    • /
    • 2013
  • 일산화질소 (NO) 는 면역계에서 세포내 외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물질로 생물의 생리적, 병리학적 기작을 조절한다. 본 연구는 바지락 혈구의 NO 농도 측정을 위해 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A) 를 이용한 DAF assay의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위적인 바지락 혈구의 NO 생성을 위해 L-arginine을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NO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반대로 NO 저해제인 L-NAME를 첨가한 경우 NO 생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조사에 이용된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 모든 조사 방법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3가지 측정 방법 중 유세포 분석법은 측정의 신속성, 신뢰성 및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NO 측정은 향후 바지락의 생리적 병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마커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DDG가 FSa II 종양의 성장속도와 증식 능력, 신진대사에 미치는 영향 ; $^{31}P$-자기공명 분광기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연구 (Effects of 2-Deoxy-D-Glucose on Metabolic Status, Proliferative Capacity and Growth Rate of FSall Tumor: Observations made by In Vivo $^{31}P$-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d Flow Cytometry)

  • 장혜숙;최은경;조정길;임태환;이대근;이윤;조영주;김곤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1-6
    • /
    • 1991
  • 2-ODG가 쥐의 섬유육종(FSall)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에너지 신진대사는 체내에서의 $^{31}P$-자기공명 분광기를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세포 증식 능력은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성장속도는 10개의 세포를 $C_3Hf/Sed$ 쥐의 발등에 이식한 후 3차원적으로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2-DDG를 투여한 경우에는 이식후 12일에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이식후 12일의 종양의 평균 크기는 $250mm^3$이었다. Fsall종양의 성장속도는 semilog graph의 기울기와 종양의 doubling time으로 측정하였다. 2-DDG를 투여한 후 성장속도가 감속되었다. 5~12일 사이의 성장속도의 기울기가 0.828, 종양의 Idubling time이 0.84일이고 대조군에서는 13~28일 사이의 기울기가 0.218, doubling time이 3.2일인 반면 2-DOG 투여군에서는 성장속도의 기울기가 0.135이고 doubling time이 5.1일이었다. $^{31}P$-자기공명 분광기를 이용하여 2-DDG의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2-DDG 투여후 종양증식 속도의 감속과 더불어 phosphornonester (PME)와 inorganic phosphate (Pi)의증가속도가 감소하였다. 이것은 2-DDG투여후 세포의 괴사가 감소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종양의 증식 능력을 분석한 결과는 2-DDG 투여후 5-phase와 G2+M phase의 DNA분포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2-DDG투여후 세포가 좀더 방사선에 민감한 cycle로 진행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2-DDG가 Fsall 종양세포에 미치는 흥미있는 결과를 토대로 방사선 치료에 미치는 영향과실제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더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대장균 검출에 관한 연구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Using Flow Cytometry)

  • 김지혜;박상원;조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21
    • /
    • 2017
  • In this study, bacterial growth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y analysis of fluorescent probes-stained bacteria. Flow cytometry has many advantages of rapid analytical time, a low standard deviation, and highly sensitive detection of live and Dead E.coli over colony forming assay. When untreated bacteria were stained by using Thiazole Orange (TO) and Propidium Iodide (PI), double staining had a short analytical time as compared with that of single staining while its error rate was similar to that of single staining. Through double staining experiments, it was determined that optimal concentrations for TO and PI staining were 420 nM and $9.6{\mu}M$, respectively.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세포성 면역 반응 (Cellular Immune Response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Exposed to Cadmium Chloride)

  • 박경일;최민순;박성우;박관하;최상훈;윤종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43
    • /
    • 2009
  •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우리나라 조간대에 널리 분포하며 잘 발달된 생체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모니터링 종으로서 가치가 높은 생물이다. 본 연구는 산업활동으로 해양환경에서 그 농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생물체에 강한 독성을 가진 카드뮴이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바지락의 면역 기작을 이해하고 환경 모니터링 기법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을 위하여 바지락은 $50\;{\mu}g/l$의 카드뮴에 8일간 노출되었으며,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혈구의 미분화 세포의 구성비율, DNA 손상도, 혈구괴사율, 혈구 apoptosis 비율 및 혈구사망율을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미분화세포, DNA 손상도, 세포괴사율, 세 apoptosis 비율 및 세포 사망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apoptosis 비율은 세포괴사율보다 높게 증가함에 따라 바지락 혈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카드뮴의 농도는 세포괴사보다는 apoptosis를 유도하는데 더 효과적인 농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금속 오염에 대한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반응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이 가능하였으며, 세포성 면역반응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ultiplex Latex Bead 유세포 분석기 기법과 Quellung 반응을 이용한 폐구균 혈청형 분석 비교 (Comparison of Multiplex Latex Bead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Quellung Analysis in Serotyping Pneumococci)

  • 최경민;연수인;김은숙;신전수;용동은;이경원;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99-105
    • /
    • 2006
  • 목 적 : 현재 폐구균 혈청형 분석을 위해 사용중인 Quellung 반응과 비교하여, multiplex assay 방법에 의한 폐구균 혈청형 분석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Quellung 반응에 의한 혈청형 분석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방 법 : 연세 의료원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폐구균 감염이 확인된 환자로부터 분리된 35주의 검체를 이용하였다. Quellung 반응을 통한 혈청형 분석과 multiplex latex bead를 이용한 유세포 분석기기법을 통한 혈청형 분석을 시행한 후 양 방법간의 혈청형 분석을 비교하였다. 결 과 : Multiplex assay 방법에 제시된 대로 각각의 혈청형에서 평균 형광치 값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를 위해 시행한 14개 혈청형 중 11개 혈청형에서 비교가 가능했으며, 분석 비교가 가능했던 27검체 중 17검체에서 혈청형이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기존의 Quellung 반응의 경우 혈청형 분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일정량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향후 보다 많은 혈청형을 대상으로 multiplex latex bead를 이용한 혈청형 분석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multiplex assay와 Quellung 반응을 비교하며, Quellung 반응의 정확도를 올리기 위한 노력이 함께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의 예비 결과로 볼 때 새로운 방법의 적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PDF

세포 크기 차이를 이용한 유세포 분석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기능성 혈관세포의 확립 (Establishment of Functional Cells for Vascular Defect Disease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 via Region Sorting Depending on Cell Volume)

  • 이지혜;김주미;정형민;채정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4-373
    • /
    • 2011
  • 인간배아줄기세포는 인간배아줄기세포가 가지는 전 분화능 등의 특이적 특성으로 인해 재생의학 분야에서 세포 치료제의 근원으로 널리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미분화 상태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세포치료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간배아줄기세포 주 유래 기능성 세포를 확립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분화 상태의 인간배아줄기세포주로부터 기능성 세포의 확립을 위해, 혈관계통의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으며, 분화 유도 후 세포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 세포군 만을 분리하여 그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VEGF를 이용하여 분화 시킨 세포군에서 약 10%의 PECAM 양성 세포군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리 및 세포 이식을 위해 세포를 단일 세포군으로 만들었다. 단일 세포군의 형성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기법을 이용하여 FCS를 기준으로 한 세포 크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 세포군 만을 분리하여, 하지 허혈 동물 모델로의 이식을 통해, 비 분리 세포군과 치료 효능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포 이식 4주 후, 혈류량 복구율이 FSC 기준 분리 군의 경우 54%, 비 분리군의 경우 17%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초기 분화 유도 후 세포 크기차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법이 기능성 세포 획득에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세포 분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galectin-3에 의해 유도된 흉선세포의 apoptosis 분석 (Flow cytometric analysis of apoptosis in mouse thymocytes by galectin-3)

  • 김태중;우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1112-1118
    • /
    • 1999
  • Galectin-3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 development, differentiation and cancer metastasis, including cell-cell/extracellular matrix (ECM) interactions and is supposed to have an effect of apoptosis on T-cells in thymic clonal selection. In this study, to know the effect of galectin-3 on thymocyte development, we used recombinant human galectin-3 (rHgal-3) from Escherichia coli, JM105, which was inserted with human gal-3 gene-transformed plasmid vector (prGal-3) to express human galectin-3. Expressed rHgal-3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using the culture supernant of hybridoma (M3/38) producing monoclonal antibody to human galectin-3. Sepharose gel affinity chromatography was used to purify the expressed rHgal-3. Thymocytes and hepatocytes from 6-week-old male BALB/c mice were incubated with rHgal-3 and showed marked increase of apoptotic population on analysis using flow cytometry with 7-AAD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rHgal-3 failed to induce apoptosis on hepatocytes. Interestingly, this apoptotic effect was not inhibited by lactose, a specific lectin domain inhibitor.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extrinsic -3 induces apoptosis on mouse thymocytes, and galectin-3 may have an apoptotic effect on T-cells in thymic clonal selection.

  • PDF

유세포 형광 분석기를 통한 아로마 요법의 알러지 천식 억제 효과 탐색 (The Search for Inhibitory Effect of Aroma Therapy on Allergic Asthma by Flow cytometer)

  • 김규;윤미영;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5-15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aroma therapy of three kinds of aroma oil mixtures on asthma. 1. The percentage of granulocytes/lymphocytes population in mouse OVA-induced asthma lung cell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2. The number of CCR3+ cells, CD4+ cells, CD8+ cells, CD23 and CD3e+/CD69+ in lungs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M1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3. The number of IgE+/B220+ cells in the lungs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M1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But the number of B220+ cells in the lunes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M1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4. The number of Gr-1+/CD11b+ cells in lungs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M1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But the number of CD11b+ cells in lungs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M1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