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산소운동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5초

유산소 운동 VS 무산소 운동

  • 이선진
    • 건강소식
    • /
    • 제32권8호
    • /
    • pp.36-37
    • /
    • 2008
  • 몸짱이 되고 싶어서든 건강을 얻고 싶어서든 운동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은 같은 시간동안 최대한의 효율을 얻고 싶은 마음에 여러 가지 궁금증을 갖게 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무산소 운동을 먼저 할 것인지 유산소 운동을 먼저 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함께 하기를 권한다. 그렇다면 나에게 맞는 유산소, 무산소 운동과 올바른 운동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천해보자.

  • PDF

강도별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의 레닌-알도스테론, 신경전달물질 및 인지기능, 작업기억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hange in Renin-Aldosterone, Neurotransmitters, Cognitive Function and Working Memory in Middle Aged Women by Intensities Aerobic Exercise)

  • 조원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2호
    • /
    • pp.603-615
    • /
    • 2016
  • 본 연구는 건강한 중년여성 28명을 대상으로 강도별 유산소운동을 12주간 주 3회로 실시하여 혈압, 레닌-알도스테론계, 신경전달물질 및 인지기능, 작업기억의 변화와 처치 후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모집된 대상자를 통제집단 9명, 중강도 유산소운동집단 10명(50%V02max), 고강도 유산소운동집단 9명(70%V02max)으로 구분하여 처치 전과 후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중강도 유산소운동은 레닌, BDNF, 인지기능과 작업기억을 증가시키고, 알도스테론, 안지오텐신II, 알도스테론-레닌 비율을 감소시켰다.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BDNF, 인지기능, 작업기억을 증가시키고 수축기혈압을 감소시켰다. 또한 강도별 유산소운동 후 인지기능에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중강도 유산소운동은 이완기혈압, 레닌-알도스테론 비율의 감소와 작업기억, BDNF의 증가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쳤고,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작업기억 BDNF, 세로토닌의 증가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중강도 이상의 유산소운동은 중년여성의 인지기능 및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적 요인으로 중강도 유산소운동은 레닌-알도스테론 조절과 작업기억이었고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신경전달물질과 작업기억으로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과 부추섭취가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lood Lipids, MDA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 백영호;이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5-252
    • /
    • 2010
  • 실험동물은 생후 4주령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0마리로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6마리), 유산소운동군(6마리), 부추섭취군(6마리), 대조군(6마리)으로 총 24마리로 구분하였다. 운동은 총 2주간 트레드밀로 실시하였으며, 유산소 운동은 주5회, 1일 25~30분 실시하였다. 부추는 5%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중지질에서 TC와 TG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L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 보다 낮았다. MDA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항산화 효소에서 SOD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CAT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낮은 강도의 유산소 운동과 천연 항산화제인 부추섭취는 지질과산화물을 낮춤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부추섭취와 관련하여 운동강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유산소운동이 여자 아동의 뇌세포 생성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Factors Relative to the Brain Nerve Growth in Girls)

  • 편미영;조한샘;전재영;김종원;이경희;임춘규;김태운;김현준;곽이섭;고기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48-954
    • /
    • 2010
  • 운동은 신경의 생성, 적응, 보호 기능을 통해 뇌 기능 및 생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산소운동은 뇌신경 성장인자(GH, IGF-1, estrogen, serotonin)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여자 아동의 뇌기능 발달 및 뇌세포 생성 유도인자의 유산소운동 효과를 알아보고자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뇌신경 성장인자(GH, IGF-1, estrogen, serotonin)의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에 의해 운동군과 대조군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유산소운동은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을 감소 시켰으며, 제지방률을 증가시켰다. 또한 뇌신경 성장인자인 serotonin을 감소시켰으며, GH와 IGF-1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체중, BMI, 체지방, 체지방률 감소와 제지방률 증가에 효과적이다. 또한 serotonin이 운동 후 감소된 결과를 볼 때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중추피로 감소에 효과적이며, GH, IGF-1의 운동 후 증가된 결과를 볼 때 유산소운동이 아동의 뇌기능 발달 및 뇌세포 생성 유도에 긍정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유산소 병행 운동과 순수 저항 운동의 근활성도 및 근 두께의 변화 (Changes in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of Resistance Exercise added Aerobic Exercise and Pure Resistance Exercise)

  • 이병훈;유재영;정진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63-769
    • /
    • 2013
  • 본 연구는 넙다리 부위의 근력 증진을 위해 순수 저항운동과 유산소 병행 저항운동의 효과를 비교해 임상에서 근력증진을 목적으로 한 운동 프로그램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넙다리 곧은근의 근활성도는 두 군 모두 실험전에 비해 실험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에 따른 군간 비교에서 순수 저항 운동군에 비해 유산소 병행 운동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넙다리 곧은근의 두께는 두 군 모두 실험전에 비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측정 시기에 따른 군간비교에서 실험후에 순수 저항 운동군에 비해 유산소 병행 저항 운동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력 증진을 목적으로한 순수 저항 운동보다 저항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는 유산소 병행 운동이 근활성화 및 근 비대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비만 여대생들의 12주간 복합운동 순서 차이가 복부지방구성 및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rder for 12 Weeks of Obese College Females on the Composition of Abdominal Fat and Blood Lipid Profiles)

  • 신혜선;서수연;이종민;김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35-243
    • /
    • 2014
  • 비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유산소(걷기운동) 운동, 무산소(저항운동) 운동의 순서를 다르게 적용하여 복부지방 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하였다.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 12명, 유산소운동 후 저항운동 집단 12명으로 분류하여 측정변인으로 복부지방검사는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 비, 혈중지질 분석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방단백질, 저밀도지방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첫째, 복부 피하지방에서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복부 피하지방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 지질은 중성지방 요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중성지방 감소에 효과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저항운동 후 유산소 운동이 복부 피하지방 및 중성지방에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ed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동엽;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41-844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을 적용하여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3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저강도의 저항운동군 19명과 유산소운동군 18명으로 나뉘었다. 저강도 저항운동군은 저강도의 저항운동 훈련을 이용하여 5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운동군은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강도의 저항운동군은 혈액학적 특성에서 TG, TC HDL-C, LDL-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군에서는 TC와 LDL-C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기능회복을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성 운동 훈련을 환자의 시기별, 등급별로 개발하여 적용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겨우내 불었던 체중,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

  • 현지현
    • 건강소식
    • /
    • 제32권4호통권353호
    • /
    • pp.20-21
    • /
    • 2008
  • 따스한 봄볕에 이제는 옷을 한 겹씩 벗어놓아야 할 때다. 지난 겨울 옷으로 꽁꽁 감춰두었던 내 몸매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살아나면서 이맘 때쯤 다이어트에 대한 갈망이 더욱 커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나른해지기 쉽고, 겨우내 움츠렸던 신체 활동량이 늘어나면서 식욕이 돋아나는 봄에는 다이어트가 쉽지 않다. 게을러지기 쉬운 봄에 꼭 필요한 다이어트는 바로 유산소 운동. 산소운동이란 역기 등 무거운 기구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체력을 모하는 무산소운동과는 달리 달리기, 줄넘기, 조깅 등 체내 산소소모량을 가능한 한 많이 늘릴 수 있는 운동을 말한다. 봄철 올바른 운동법과 생활 속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유산소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 PDF

3축 가속도 센서 기반의 유산소 운동 분류와 운동 횟수 검출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Mobile System for Aerobic Exercise Classification and Count based on Tri-axial Accelerometer)

  • 이수덕;정정일;조진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95-49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패치형 3축 가속도 센서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유산소 운동에 따라 가속도 센서를 통해 얻은 데이터의 특징을 분석하고 유산소 운동을 분류하는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하고 있는 유산소 운동을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운동에 따라 운동 횟수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운동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유산소운동의 실천과 만성질환이 동반된 관절염의 유병률 및 위험도에 대한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Aerobic Exercise and the Prevalence and Risk of Arthritis with Comorbid Chronic Diseases)

  • 윤인상;이혜림;이종석;정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51-359
    • /
    • 2021
  • 본 연구는 유산소운동의 실천과 만성질환이 동반된 관절염의 유병률 및 위험도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2017-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17,356명을 선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만성질환에 따라 유산소운동의 실천과 관절염의 유병률 및 위험도 관계를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과 Breslow-Day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여성, 고연령, 저소득층, 저학력층, 지방거주인 경우 유산소운동 실천률이 낮은 반면 관절염의 유병률과 위험도인 오즈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만성질환 양성집단에서 유산소운동 실천을 하는 집단이 실천하지 않는 집단보다 관절염의 유병률과 발병할 위험도가 낮았다. 특히 유산소 운동 실천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관절염의 유병률과 위험도를 낮추는데 효능이 있는 보완재가 된다. 따라서 인구학적 특성에서 관절염의 유병률이 높은 집단과 만성질환이 동반된 관절염이 있는 사람들이 걷기와 천천히 달리기, 에어로빅 댄스와 같은 일상의 유산소운동을 반드시 실천할 수 있도록 예방의학과 보건의료 차원에서 권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