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사연구영역

Search Result 1,29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hape region segmentation based on color and edge characteristics of moving images (동영상의 컬러 및 에지 정보에 기초한 shape 영역 segmentation 기법 연구)

  • Park, Jin-Nam;Lee, Jae-Duck;Yoon, Sung-Soo;Huh, Young;Jung, S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149-154
    • /
    • 2001
  • 멀티미디어 정보표현 기술인 MPEG-7 표준이 빠른 속도의 진전을 보임에 따라 이를 활용한 검색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방대한 량의 동영상 내용 검색 기술 연구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 내용이 연속되는 프레임들의 분류이다. 이를 위해서는 물리적인 장면전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한 실시간 자동 cut detection 기술 및 이 컷 프레임 영상에 대한 내용 기술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각 컷 프레임의 자동 내용 기술의 전처리로써 본 논문에서는 장면전환이 생기는 프레임의 영상의 어떠한 정보도 사전 정보로 취하지 않고 사용자의 개입이 없는 상황에서 영상의 컬러 특성 및 에지 정보만을 가지고 shape 영역 segmentation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은 segmentation된 영상과 원 영상과의 영역비교를 통한 유사도에 의해 평가하며,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평균 90%이상의 영역 분할이 정확하게 됨을 알 수 있었고, 컬러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자연영상에서도 robust한 segmentation 결과를 나타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Harmony of Skin Color and Cohthes Colors based on Moon-Spencer's Colors Harmony Theory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의거한 피부색과 복장색의 조화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il;Kwon, Mi-Jung;Lee, Jeong-Ok;An, Ok-Hee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8 no.6
    • /
    • pp.40-49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스펜서 색채조화영역별로 피부색과 복장색의 배색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색을 기준으로 한 복장색의 의복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피부색과 복장색의 배색은 3가지 차원의 인상으로 구성되었다(평가, 활동, 조화). 둘째,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을 적용하여 시각적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화영역들은 비슷하게 지각됨을 알 수 있었다. 부조화영역간에는 평가차원과 활동차원이 달리 지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샛체조화론의 적용으로 분류되는 조화영역별 배색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동일색상들의 배색은 대체로 미도가 높은 편이었다. 제2부조화색상들의 배색은 미도가 낮았다. 유사색상중 빨강색 계열의 배색은 미도가 높았으며 노랑색 계역의 배색은 미도가 낮았다. 제2부조화색 계열, 청녹색 계열의 배색은 미도가 높은 편이며 남색 계열, 보라색 계열의 배색은 대체로 미도가 높았다. 무채색 계열의 배색은 세련된, 아름다운, 사고싶은, 보기좋은, 마음에 드는, 조화된, 멋있는 피부색과 어울리는, 매력있는, 인물이 돋보이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 PDF

A Study on Visual Design in the Peking Opera representation form (중국 경극 표현에 관한 시각화 분석연구)

  • lu, Jing Jing;lee, Cha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75-477
    • /
    • 2010
  • 경극은 중국의 전통극 중 하나이다. 경극의 영어 명칭은 'peking Opera'다. 경극의 "분장"은 희극에서 배우들이 얼굴에 하는 채색 화장을 가리킨다. 경극 배우들의 얼굴 분장을 '검보'라고 한다. 형태, 색채와 유형 면에서 특별한 양식을 갖춘다. 본 논문은 중국에 전하는 가면극의 외면적 표현 형태를 시각디자인 조형영역 분석을 통해 학문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영역은 경극의 유래, 색채, 형식적 측면에 대한 조형분석과 가면의 표현형식, 즉 표형기법, 색상구성, 형태구성, 역할특성 등의 구성형식을 조형적 분석 틀에 의해 분석하고자 한다. 가면 얼굴의 대표문양 분석을 통해 단순화 표현형식으로 작품을 만들어 연구하고자 한다. 분 논문의 의의는 중국 전통경극의 집중적 연구의 결과 추출을 통해 한국의 유사 전통탈춤과 비교하는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예측되기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Sequence Stream Indexing Method using DFT and Bitmap in Sequence Data Warehouse (시퀀스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이산푸리에변환과 비트맵을 이용한 시퀀스 스트림 색인 기법)

  • Son, Dong-Won;Hong, Dong-Kw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2
    • /
    • pp.181-186
    • /
    • 2012
  • Recently there has been many active researches on searching similar sequences from data generat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ose data are classified as time series data or sequence data and have different semantics from scalar data of traditional databases. In this paper similar sequence search retrieves sequences that have a similar trend of value changes. At first we have transformed the original sequences by applying DFT. The converted data are more suitable for trend analysis and they require less number of attributes for sequence comparisons. In addition we have developed a region-based query and we applied bitmap indexes which could show better performance in data warehouse. We have built bitmap indexes with varying number of attributes and we have found the least cost query plans for efficient similar sequence searches.

Hybrid Estimation Method for Selecting Heterogeneous Image Databases on the Web (웹상의 이질적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합 추정 방법)

  • 김덕환;이석룡;정진완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0 no.5
    • /
    • pp.464-475
    • /
    • 2003
  • few sample objects and compressed histogram information of image databases. The histogram information is used to estimate the selectivity of spherical range queries and a small number of sample objects is used to compensate the selectivity error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similarity measures between meta server and local image databases. An extensive experiment on a large number of image data demonstrates that our proposed method performs well in the distributed heterogeneous environment.

A Study on the Typology of Alternatives in the Design VE of Educational Facilities (교육시설 설계VE의 대안 유형화 방안 연구)

  • Choi, Kwang-Mo;Song, Jeong-Hwa;Oh, Kun-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649-652
    • /
    • 2010
  • 교육시설에 BTL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해당 사업의 규모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이에 교육시설 설계에 있어서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설계를 제안해야함에 따라 설계VE 영역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설계VE 진행절차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로 이어지며 각 단계별로 다양한 운용기법과 분석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진행되었던 다수의 교육시설 설계VE 사례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설계VE 과정에서 VE대상 선정 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이 나타나고, 최종 대안 역시 프로젝트 별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에도, 기존 설계VE의 전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처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나타나는 대안들을 유형화 하여 설계VE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VE활동 기간을 단축시켜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교육시설 설계VE 사례들을 통해 다양한 VE대안들을 분석하여 유형별로 정리한다. 그 결과로 유사한 패턴이 나타나는 최종 대안들을 교육시설의 공간과 각 공간에 따른 공종별로 구분하여 유형화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시설 설계VE 활동 시 유형화 된 대안을 활용하여 기능분석 등의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설계VE 활동 기간 단축과 투입 노력을 축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설계VE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

Brain activation areas associated with L1 and L2 vocabulary retrieval and language switching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 산출과 언어 switch 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 남기춘;이동훈;김동휘;문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3-20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람이 모국어인 한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 관여하는 대뇌 영역을 fMRI 를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단일 언어를 산출할 때와 두 언어를 수시로 바꾸어서 인출할 때 관련되는 뇌 영역이 어디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는 외국어를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12 세 근처에서 배우기 시작한 대학생이었다. 흔히 분류하는 방식으로 late learner로 구분되는 학생들이었다. 한 피험자가 세 종류의 실험 모두에 참여하였다. 피험자의 실험과제는 그림을 보고 그림에 해당되는 이름을 인출하여 말하는 과제였다. 실험 1, 2, 3 모두에서 사건관련 fMRI(event-related fMRI)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그림을 보고 그림 이름에 해당되는 한국어 어휘와 외래어 어휘를 산출하게 하였다. 언어관련 뇌영역인 Wernicke 영역, Broca 영역, SMA 영역, SMG 영역 등에서 유의미한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2 에서는 실험 1 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여 그림의 영어 이름과 외래어 이름을 인출하게 하였다.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에도 모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유사한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외래어 산출 시에는 뇌 활성화 영역이 모국어와 영어 단어 산출할 때와 모국어 산출할 때 활성화되는 공통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모국어 산출과 영어 단어 산출의 차이점은 외국어 산출 시에 활성화 영역이 전반적으로 더 컸다는 것과 외국어 단어 산출 시에 Broca 영역보다 조금 밑쪽에서 그리고 모국어 단어 산출시에는 전전두엽 영역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3 에서도 실험 1 과 실험 2 에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였다. 실험 3 의 특이한 결과는 언어 switching 이 있는 경우에 전통적인 언어 영역 활성화 외에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컸다는 것이다. 아마도 언어를 바꾸어 가면서 단어를 산출하는 것이 전전두엽의 정보선택과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어휘 산출시에 모국어 어휘, 외국어 어휘, 외래어 등을 산출할 때 공통되는 언어 영역과 언어 특성적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다.

  • PDF

Development of Solar Activity Monitoring Map and Its Application to the Space Weather Forecasting System

  • Shin, Junho;Moon, Yong-Jae;Lee, Jae-Hy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83.1-83.1
    • /
    • 2017
  • SDO/AIA와 STEREO/EUVI 두 태양 관측 위성의 193 파장에서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Stonyhurst Heliographic Map을 작성하고 각각의 위성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여 태양 전면 및 후면의 활동 영역들을 동시에 표출하는 태양 활동성 지도 (Solar Activity Monitoring Map)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태양 활동성 지도를 이용하여 태양 후면에서의 극자외선 밝기 분포를 경도에 따라 등간격으로 나눈 후 각 지역에서 얻은 극자외선량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며 그래프를 작성하는 프로그램도 함께 제작하고 그로부터 태양 후면 영역의 활동성이 향후 지구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사전에 예측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태양 후면에서 발생하는 활동 영역 (Active Region) 및 코로나홀들을 자동적으로 탐지한 후 실시간으로 변화 정도를 추적 및 기록하는 프로그램도 제작하였다. 태양 활동성 지도는 193 파장에서 뿐만 아니라 두 위성이 공유하는 세 개의 동일 혹은 유사한 파장대 (171,211,304)에서 얻어진 데이터들도 함께 이용하여 각 파장대에서 독립적으로 작성하였는데 이로 인해 각각의 에너지 영역의 특성에 해당하는 태양 활동성을 동시에 표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태양 후면에서의 활동 영역의 발생 및 변화를 사전에 인식하고 그들이 태양 전면으로 나타나기 전에 대비할 수 있는 예보 장치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들과 더불어 극자외선 영역에서의 태양 활동성 조사로부터 플레어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인지의 가능성 여부를 타진하기 위해 과거 극자외선 관측에서 얻어진 활동 영역들의 데이터와 연 X-선 관측으로부터 기록된 플레어 발생 여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로부터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 극자외선 영역에서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레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 PDF

Meta-data Configuration and Wellness Feature Analysis Technique for Wellness Content Recommendation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성 및 웰니스 특성 분석 기법)

  • Hong, Min-Sung;Lee, O-Joun;Lee, Won-Jin;Lee, Jae-D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8
    • /
    • pp.83-93
    • /
    • 2014
  • Research into recommendation systems for wellness content has focused on representative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welln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interest in wellness has recently increased. But existing research is not suitable because it uses only one or two of the five wellness areas: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And It cause decline of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for recommendation. Thus, a wellness areal feature analysis and integration management technique is needed. In this paper, suggest meta-data configuration and feature analysis technique of content. Also Cosine similarity of wellness areal features of the content was analyzed by applying a wellness areal score calculated in this way and by suggested wellness areal detailed properties and a measurement system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is research. This allows the wellness features of contents analyzed, and even will be able to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service for wellness.

An Analysis of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Key Instructional Elements of Measurement (측정 영역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의한 좋은 수학 수업 분석)

  • Pang, Jeong-Suk;Kim, Jeong-Won;Kim, Hye-Jeo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77-89
    • /
    • 2012
  •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attempted to identify what makes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including diversity and variability across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al contexts. As the instructional elements related to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can be commonly applied to different content domains, they may be efficient in selecting such teaching. However, such elements may not reflect on the specific but essential features of each domain. This paper compared and contrasted two sets of measurement teaching practices, which were recognized as good instruction, in terms of how the key elements of measurement domain were implemented. As such this paper is expected to accumulate significant knowledge about element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at are specialized in a particular content domain of measurement. This paper suggests that domain-specific approach be considered in studying good mathematics 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