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방염

Search Result 30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수의학강좌 II: 연쇄상구균과 장구균으로 인한 환경성 유방염의 감염위험요인과 통제방법

  • Nam, Hyang-Mi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7 no.1
    • /
    • pp.47-54
    • /
    • 2011
  • 최근 몇년간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내 젖소에서 유방염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젖소의 환경으로부터 유래하는 환경성 세균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국내 젖소의 유방염 원인균으로 작용하고 있는 이러한 환경성 세균 중 coagulase-음성 포도상구균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과 E. coli 등의 그람 음성균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지만 그 외에 Streptococcus uberis를 비롯한 환경성 연쇄상 구균과 장구균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지난 9월호에서도 상세히 기술한 바 있다. 환경성 연쇄상구균과 장구균은 젖소에서 유선감염 및 임상형 유방염의 중요한 원인이며 환경성 연쇄상구균 중 가장 흔히 발견되는 유방염 원인체는 Streptococcus uberis 로서, 이는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뉴질랜드, 호주 등에서 수행된 많은 연구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장구균 중 가장 흔히 분리되는 균종은 E. faecium과 E. faecalis로서 검역원에서 지난 몇 년간 조사된 결과에서도 이 두 가지 균 종이 유방염우유에서 분리된 장구균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환경성 연쇄상구균과 장구균은 사람과 동물의 장관, 분변, 감염된 유방 및 전체적인 목장 환경에서 분리되고 있다. 장구균은 일반적으로 환경성 연쇄상구균/장구균 유방염 감염증 중의 일부일뿐이고 장구균에 의한 유방염이 목장의 주된 문제가 되는 일은 비교적 드물다. 현재, 장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유방염은 S. uberis를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원인체에 상관없이 유방염을 통제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칙은 유방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에 유두끝이 노출되는 기회를 줄이거나 감염에 대한 젖소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두 가지 방법이다. 역으로 얘기하면, 병원체에 대한 유두끝 노출을 증가시키거나 감염에 대한 젖소의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요인들은 우군 내에서 더 많은 유방염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위험요인으로 간주된다. 본 고에서는 환경성 연쇄상구균에 의한 유방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러한 여러 가지 위험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Prediction of dairy cow mastitis with multi-sensor data using Multi-Layer Perceptron(MLP) (다중 센서 데이터와 다층 퍼셉트론을 활용한 젖소의 유방염 진단 예측)

  • Song, Hye-Won;Park, Gi-Cheol;Park, Jae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788-791
    • /
    • 2020
  • 낙농업에서 경제적 손실을 불러일으키고 관찰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젖소의 유방염 관리는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유방염 진단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예측하려는 시도는 전무하다. 유방염에 걸린 개체는 며칠 동안 우유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낙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 따라서 젖소가 유방염에 걸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미리 파악해 조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염 예측을 위해 생체 데이터를 포함한 다중 센싱 데이터를 사용해 유방염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에 사용된 데이터는 충청남도의 농가에 설치된 로봇 착유기로 부터 수집하였으며, 일정 기간 동안의 다중 센싱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 날의 유방염 여부를 예측한다. 많은 양의 비선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층 퍼셉트론을 사용해 모델을 학습하였다. 그 결과, 81.6%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교차 검증을 통해 정확도뿐만 아니라 재현율까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방염 관리를 위한 기록의 분석

  • 한홍율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0 no.10
    • /
    • pp.592-615
    • /
    • 1994
  • 1. 체세포점수(SCS)는 적절히 사용되었을 때 큰 이익을 가져다 주는 가치있는 조사항목이다. 2. 권장된 유방염 예방관리계획을 잘 적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우군에서는 SCS 목표를 3.0으로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체세포점수(SCS)자료는 비유횟수, 착유일수와 신규감염, 만성감염, 중증감염된 그 해의 달 그리고 평균 SCS별로 정돈하면 아주 유용하다. 4. 체세포점수(SCS)양상과 SCS치가 높은 젖소들은 우군의 유방염 문제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며 목표를 세우고 유방염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5. 임상관찰과 치료기록, 원인균 검사성적자료와 연관시킨 SCS 자료는 가장 좋은 유방염 평가기록일 수 있다. 6. 목장에 근무하는 전직원이 유방염에 관한 자료의 이용에 있어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있으면 초기에 유방염 문제에 개입할 수 있게 되어 비유기중에 항생제에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유질이 향상되고 농가의 수입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 PDF

건강한 유방을 유지하려면?

  • 유우개량부
    • 종축개량
    • /
    • v.15 no.4
    • /
    • pp.30-35
    • /
    • 1993
  • 건강한 유방염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 유방염발생수준을 확실히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점을 살리므로써 산유량을 높이고 도태를 덜 시켜도 될 것 이다. 준임상형유방염을 일으키는 세균의 형태를 정확히 가려내는 것이 효과적 치료의 필수적기초가 된다. 유방염 감염에 대한 기록을 유지함으로 최선의 대책을 취할 수 있고, 그 결과 건강한 유방으로부터 양질의 우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의학강좌 - 젖소의 유방염발생감소를 위한 예방 및 관리대책

  • Ryu, Il-Seon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6 no.3
    • /
    • pp.230-244
    • /
    • 2010
  • 젖소의 유방염 발생은 유량과 유질의 저하, 유방염으로 인한 폐기우유의 증가와 도태 및 폐사 등을 가져와 낙농가에겐 경제적인 손실을 줄 뿐만 아니라 의욕상실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생산성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젖소의 비유생리를 이해하고 올바르고 철저한 착유위생관리를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올바른 착유의 기본은 우선 젖소의 비유생리를 이해하는 데서 시작하고, 많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착유관리가 수반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에 필자는 대동물 임상수의사들에게 유방염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방염 발생 감소와 위생적인 유질 개선이야말로 선진낙농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강조해두고 싶다.

  • PDF

수의학강좌 I: 소에서 항생제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 Im, Suk-Gyeong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6 no.9
    • /
    • pp.805-815
    • /
    • 2010
  • 본 원고에서는 소에서 항셍제가 주로 투여되는 대표적인 질병인 패혈증, 송아지설사, 관절염, 발질병, 폐렴, 자궁내막염, 유방염 중 유방염을 제외한 6가지 질병에 대해 적정한 항생제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PDF

Redefining Mastitis Based on Somatic Cell Count (체세포 수에 의한 유방염의 재 정의)

  • 손봉환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7 no.3
    • /
    • pp.232-238
    • /
    • 2001
  • 체세포 수(SCC = somatic cell count)는 유방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생리적 반응의 표시이다. 그래서 유질과 유방염의 관리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인자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현재 그 수에 의한 세계적인 평가는 나날이 연구의 성과가 보고되고 있다. 우리는 체세포 수로 많은 애로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감소대책과 수에 대한 국제적 흐름에 민감하지 못한 것이 현실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것을 감안하여 근래의 체세포 수와 유방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 PDF

Alternatives to Traditional Mastitis Therapy (전통적 유방염 치료에서 변화)

  • 손봉환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7 no.1
    • /
    • pp.52-57
    • /
    • 2001
  • 전통적 유방염치료에서 변화는 현대적 우유생산 설비인 덴마크의 연구로부터 나온 결과와 문헌적 고찰을 배경으로 논의된 것이다. 덴마크의 전통적 농장운영제도는 전통적 농부들의 현대화와 1987년에 변화 시킨 정부의 규제법규로 제도화된 것에 의하여 근본적인 형태의 목표로 특성화되어 진다. 모든 질병은 품종, 우사 설비, 사료공급과 경영작전을 통하여 예방되어지는 전통적 농장운영체제에 대한 지침에 의존되어야 하였다. 치료의 농가 선택에 대하여 특별히 관심을 둔 정부규칙은 1. 모든 의학적 예방은 금지된다. 2. 의학적 치료에 뒤 따르는 배출시간은 전통적 농장운영에 비하여 3배가 연장된다. 3. 모든 치료는 수의사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연구는 예방과 치료작전에 초점을 맞춘 전통적 농장운영체제에서 수행한 것이다. 이 과제에서 몇 가지 유방염은 농가자신의 치료로 설명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각 목장에서 유방염은 마싸지 시행과 캠퍼(camphor)또는 페퍼민트오일(pebbermint oil)의 국소응용 그리고 어떤 목장은 동종 요법적 치료(同種 療法的 治療 = Homoeopathic treatment)로 손착유로 하고 농가자신이 치료하였다. 이 결과에서 농부자신의 치료와 수의사 치료가 보여 준 것은 성공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변화와 전통적 치료에 추가하여 비의학적 치료가 검토되었다. 유방염 건에서 농부 대 수의사 역할은 유방염 문제점이 있는 목장에 근거하면은 똑같다고 검토되었다. 동종 요법적 치료의 문헌연구는 경험을 통하여 수행되어진 것이다. 현 과제는 목장의 치료작전 안에서 종합되고 있는 동종 요법적 치료의 실제적 현상이 설명되고 있다 동종요법은 어떤 건에서 반응이 제안될 수 있는 유방염치료와 관계되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덴마크의 경험에서 전통은 유방염 건에서 치료의 선택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것으로 비교적 제한되어 있다 이 치료에 대한 원리의 배경을 검토하였다.

  • PDF

학술 1 - 처녀우에서의 유방염 방제 방법 - 영양 상태의 개선을 통하여 -

  • Nam, Hyang-Mi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8 no.9
    • /
    • pp.536-539
    • /
    • 2012
  • 건유기에서 비유기로의 이행기는 젖소에서 위험률이 높은 시기이고 이 시기에 가장 큰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이 유방염이다. 환경성 세균들이 분만 전후기에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병원체이다. 대장균군에 속하는 세균들은 경산우에서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처녀우의 경우는 coagulase-음성 포도상구균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분만 전후기 중에는 호르몬이나 기타 요인들로 인해 젖소들의 면역상태가 다소 억압된다. 성공적인 유방염 방제 프로그램은 건유우, 분만우, 및 처녀우의 관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청결하고 안락한 환경, 적절한 사료공급, 비타민과 미량 원소가 함유된 적절한 사료의 보충이 유방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건유 시작할 때 유두관의 폐쇄를 강화하고 케라틴 마개가 형성될 때까지 유두 끝을 세균으로부터 보호해 줄 전략들을 사용해서 분만 후의 유방염 감염 위험을 감소시켜야 한다. 건유기 치료는 상당히 성공적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전체적으로 실시하기 보다는 선택적으로 치료하는 접근법이 권장된다. 환경성 유방염에 감염될 위험이 높은 우군에서는 항생제 이외의 접근법이 건유기 중의 신감염 예방을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PDF

Association of Prototheca with Bovine Mastitis (Prototheca에 의한 소 유방염 발생예)

  • 팔마헨드라;이창우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4 no.2
    • /
    • pp.349-351
    • /
    • 1997
  • 7세의 홀스타인 암소에서 엽록소가 없는 Prototheca에 의한 만성적인 진행성 유방 염의 발생에 대해 보고한다. 유방염 우유로 만든 습윤표본에서 명확한 세포벽과 내생포자를 갖고 있는 구형 내지 난원형의 병원체가 직접 관찰되었고, Sabouraud배지에서의 순수배양물 에 대해 Wright염색 및 PHOL염색을 했을 때 algae가 증명되었으며, nutrient배지에서 세균 이 중식하지 않아서 Prototheca가 유방염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이 병원체는 자연상태에서 는 사물기생성이지만 감염원은 확실하지 않았다. algae와 진균의 형태학적인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PHOL염색액을 광범위하게 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Prototheca의 ecology와 병원성을 규명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