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무선

Search Result 1,27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of Metadata Management Process for Fixed and Mobile Content (유무선 컨텐츠 메타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설계)

  • Kim Su-Young;Hwang Ch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43-1146
    • /
    • 2006
  •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되어 있는 망, 기술, 사업, 서비스 등의 통합, 방송과 통신, 정보통신의 융합이 함께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산업계 현상의 하나이다. 현재 유무선 통합에 따른 인터넷 환경이 계속 발전되고 있다. 하지만 유무선 컨텐츠에 대한 일관된 분류체계의 부재로 인하여, 기업간, 나라간, 유무선 통합 컨텐츠 비즈니스의 수행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에 대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를 도출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유무선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방안으로 분류체계, 식별체계, 속성체계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정립 설계하는 방법으로 유무선 컨텐츠 각각에 대한 적시적이고 폭넓은 분석수행이 가능하고, 고객과 사업자에게 일관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유무선 통합 컨텐츠 메타테이터를 설계하는 것으로 유무선 컨텐츠 관리가 곧 메타데이터 관리가 되게끔 하는 것이다.

  • PDF

Convergence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for 5G Networks (5G망을 위한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 기술)

  • Moon, J.M;Park, N.I.;Lee, S.H.;Kim,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6
    • /
    • pp.1-12
    • /
    • 2013
  • 미래 데이터 트래픽은 유선에서 무선으로 트래픽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 트래픽의 규모도 급격히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단일한 전송 기술을 이용하는 방식 보다는 다양한 유무선 전송 기술을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다양한 유무선 자원을 제어하고 상황에 따라 최적의 전송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제한된 유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미래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액세스 망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망구축 비용 및 운영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적으로 망 자원을 이용하며 새로운 요구사항을 가지는 신규 서비스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유연하고 지능화된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 구조로 발전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는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 기술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진행된 융합 기술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유럽을 중심으로 현재 연구되고 있는 유무선 융합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2020년의 1,000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5G 모바일 코어망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살펴 본다.

A Study Of Fixed-to-mobile Substitution Analysys & Regulatory issues around Telecommunication market (유무선 대체 현상 분석 및 통신시장 규제에 관한 연구)

  • Cho, Jin-O;Shin, Mi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86-91
    • /
    • 2007
  • 유무선 대체 및 경쟁관계는 통신시장 규제정책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이제까지 유선전화시장에서는 기존 지배적 유선전화 사업자의 각종 활동을 규제해 기존사업자와 신규사업자간의 공정경쟁을 확보해 왔으나, 유무선 통신시장의 역전현상과 함께 유무선 대체 및 경쟁관계가 진행되면서, 유무선간 비대칭규제는 그 유용성을 점차 상실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음성전화 부문의 새로운 시장획정 및 지배력 평가와 규제접근법의 정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무선 대체 현황 분석 및 전망, 우리나라의 불균형한 유무선 규제제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implementation for asymmetric regulation in the telecommunication (유무선 비대칭 규제 개선방안 연구)

  • 송연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724-727
    • /
    • 2003
  • 유무선 대체 및 통합시대를 맞아 유무선간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유럽 둥 주요국가에서는 이동전화 시장에 MVNO,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재판매 제도 등을 도입하여 실행하고 있다. 이처럼 유무선간 비대칭 규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한 이동전화 시장에 유선에 적용되는 규제를 적용하는 것이 유무선간 대칭규제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이동전화 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살펴보고 이를 이미 실행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통해 이들 정책의 도입효과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Defensive strategy against FMS on telecommunication (유무선 대체에 따른 통신사업자의 대응 전략)

  • 송연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525-528
    • /
    • 2004
  • 세계 각국에서 무선전화가 유선전화를 추월하는 유무선 대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유무선 대체는 크게 엑세스 대체와 호 대체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엑세스 대체현상도 활발해 유럽의 경우 가정의 12%정도가 이동전화만을 사용함으로써 고정전화의 호 사용빈도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러한 유무선 대체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 및 사례를 살펴보고 그를 통해 각 사업자가 유무선 대체를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case of wired & wireless integrated services platform(prototype) system (유무선통합서비스플랫폼 시스템(프로토타입) 구축사례)

  • 한동일;이상수;김기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99-201
    • /
    • 2002
  • 최근 POST PC 시대의 도래에 따른 단말기술의 발전,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로의 진화와 더불어 서비스 제공 방식 및 기술의 변화가 급속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 유무선 구분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플랫폼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의 현황 및 필요성, 유무선 통합 서비스 플랫폼의 주요 고려사항, 시스템(프로토타입)구축사례 및 향후 플랫폼 접근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PDF

Trend of Fixed Mobile Convergence (유무선 통합 추세)

  • Kwon Sun-Jong;Kim Chul-Woo;Oh Ock-Tae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303-306
    • /
    • 2003
  • 최근 정보통신시장이 성숙기에 도달함에 따라, 기존 통신을 기반으로 한 타 분야와의 통합 또는 융합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그 중 유무선 통합은 종래에는 분리된 영역이라고 여겨왔던 유선과 무선 영역이 서로 부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연결, 공유 또는 통합되는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대한 개념과 국내외의 유무선 통합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논한다.

  • PDF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대 도래

  • Kim, Jong-Yul
    • 정보화사회
    • /
    • s.182
    • /
    • pp.6-7
    • /
    • 2006
  •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통신 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오래 전부터 소리 소문 없이 유무선 통합 서비스 논의는 계속 있어 왔지만, 올해들어 본격적인 도입 움직임이 일고 있다. 영국 BT를 시작으로 프랑스텔레콤이 불을 당겨 유럽은 이미 FMC 중심에 위치했다. 국내에서도 LG텔레콤의 '기분존' 서비스가 인기를 누리면서 FMC에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이에 따라 단말기 업체들도 시장 선점을 위해 잇따라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바야흐로 유선과 무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것이다.

  • PDF

유무선 전화기부터 모바일 오피스까지

  • Sim, U-Seong
    • 정보화사회
    • /
    • s.182
    • /
    • pp.8-11
    • /
    • 2006
  • 유선과 무선 통신환경이 발달되면서 두 네트웍간 연동 또는 통합시킨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KT의 '원폰' 및 '안폰', 그리고 LG텔레콤의 '기분존' 이 대표적인 유무선 통합서비스이다. 이 외에도 '블랙베리' 등 e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들도 있으며, 모바일 오피스를 구현한 SK텔레콤의 '포켓원' 도 유무선 통합서비스 계열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