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료(GFRP)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첨단복합소재 데크를 볼트결합한 조립식 아치가교의 거동분석 (Temporary Arch Bridges Assembled by Snap-fit GFRP Decks and Bolts)

  • 홍기증;이성우;최성호;금문성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47-254
    • /
    • 2010
  •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터(GFRP) 복합소재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 강재, 콘크리트, 나무 등과 같은 기존의 구조 재료들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최근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복합소재를 활용하기 위해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수직결구식 복합소재 데크를 활용한 아치가교 유형을 선행 연구에서 제안하였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볼트결합에 의한 복합소재 데크 조립식 아치가교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구조성능시험을 통해 검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아치가교 유형을 제안한다.

유리섬유강화 복합재의 AR특성에 대한 섬유배향 효과 (fiber Orientation Effects on the Acoustic Emission Characteristics of Class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 김정현;우성충;최낙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29-43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일방향 및 수자직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로 인장 시험편을 만들어 AE 특성에 대한 섬유배향 효과를 살펴보았다. AE 신호들을 STFT 처리하여 특성별로 분류하였으며, 반사식 및 투과식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험편의 손상영역을 관찰하였다. 저주파수 대역의 약한 AE 신호들은 모재 및 계면에서의 손상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진폭의 고주파수 대역 AE 신호들은 섬유 파단에 기인하였다. 섬유 파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진폭의 AE 사상률을 기본 특성 데이터로 하여 다른 섬유배향과 노치방향을 가진 복합재에서의 파괴과정을 특징지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AE범은 연속형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의 파괴거동을 탐지하는데 있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복합재료 판의 자유진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ee Vibration of Composite Plates with Various Shapes)

  • 이영신;최명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7-58
    • /
    • 1999
  • 다양한 형상 및 경계조건을 갖는 적층 복합재료 및 혼합적층 복합재료 판의 자유진동해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판의 재료는 탄소섬유강화(CFRP), 유리섬유강화(GFRP) 복합재료, 알루미늄-GFRP, CFRP-GFRP 혼합적층 복합재료이다. 충격해머와 가속도계를 이용한 충격가진법을 통하여 판의 고유진동수 및 노달패턴을 얻었고, 결과는 무차원화된 진동수매개변수로 제시하였다. 복합재료의 물성, 적층강도, 판의 기하학적 형상과 경계조건 등이 복합재료 판의 진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의 비교/검증을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서로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적층수에 따른 GFRP 피막 Al 평활재의 저주기 피로수명 평가 (Low Cycle Fatigue Life Behavior of GFRP Coated Aluminum Plates According to Layup Number)

  • 명노준;서지혜;이은균;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6호
    • /
    • pp.332-339
    • /
    • 2018
  • 섬유 금속 적층판(Fiber metal hybrid laminate, FML)은 금속재료와 FRP의 접합으로 기존의 금속 소재가 가지지 못했던 뛰어난 물성과 가벼운 무게로 경제적인 구조용 재료로 사용된다. 그러나 섬유의 형태와 종류, 적층조건에 따라 물성의 차이가 크며, 파괴거동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Al6061-T6 합금에 직조형태의 유리섬유 플라스틱(GFRP, GEP118)을 적층피막한 복합재의 파손거동에 대해 연구한다. Al합금에 GFRP 1, 3, 5 겹을 피막한 3가지 조건으로 성형하고, 피막의 적층수를 변수로 정적시험과 저주기 피로시험을 병행하여 파손거동을 분석하였다. 저주기 피로시험에서는 변형률-수명 해석, 전변형률 에너지밀도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피로수명을 예측하여 하이브리드 재료에 대한 수명예측성을 분석하였다. 인장해석 결과, GFRP 피막으로 인한 강화효과는 없었고, 피로시험시 나타나는 히스테리시스 형상은 GFRP피막 유무와 피막 수에 상관없이 모재인 Al합금의 거동을 따랐다. 저주기 피로시험 결과 GFRP의 피막으로 피로강도가 증가하였지만, GFRP의 두께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았다.

$\textrm{Al}_2\textrm{O}_3$ Woven-fabric 복합재료의 전자파특성 (Electromagnetic Wave Characteristics of $\textrm{Al}_2\textrm{O}_3$ Woven-Fabric Composites)

  • 박남훈;윤희석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9-142
    • /
    • 2002
  • Recently, GFRP is well known as a structural material for the radome of aircraft. In this paper, we have observed the reflectivity of electromagnetic waves on GFRP reinforced with $\textrm{Al}_2\textrm{O}_3$ woven fabric.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has revealed that the reflectivity of $\textrm{Al}_2\textrm{O}_3$/GFRP composites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GFRP. And it also shows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on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extrm{Al}_2\textrm{O}_3$ plies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the technique of manufacturing a low-reflectivity composite structure.

  • PDF

복합재 판스프링의 재료특성에 따른 스프링 강성변화와 초기 파단하중 예측 (Prediction of Spring Rate and Initial Failure Load due to Material Properties of Composite Leaf Spring)

  • 오성하;최복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2호
    • /
    • pp.1345-13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판스프링을 대상으로 유리섬유 복합재의 적용을 위한 해석적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즉, 판스프링의 정적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재 재료의 구성 성분비와 섬유각의 변화 등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GFRP 복합재의 기계적 성질들은 ASTM 표준시험 방법을 따라서 직접 측정하였으며, 역해석 방법을 통해서 섬유와 수지 각각의 직교이방성과 등방성 성질들을 시험결과들로부터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섬유의 방향과 섬유와 수지의 함유량 비와 같은 주요 재료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스프링 계수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기 파괴하중을 예측하기 위해서 선형 탄성해석과 파손조건식을 이용해서 점진적 파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최초의 손상부위는 전단응력에 의해 판스프링의 모서리 부위에서 발생하였다.

GFRP 복합재료의 압축성형에서 표면요철에 미치는 성형조건의 영향 (Effects of Molding Condition on Surface Unevenness of GFRP Composites in Compression Molding)

  • 김형석;김진우;김용재;이동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1호
    • /
    • pp.1649-1657
    • /
    • 2010
  • 성형조건에 따른 GFRP 복합재료를 관찰하여, 성형품 표면의 불량원인을 조사했다. 표면거칠기에 영향을 주는 요철의 가장 주요한 발생원인은 보압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재의 수축이었다. GFRP 복합재료 성형품 표면은 성형 시의 보압하중이 높을수록 좋아졌고, 서냉실험에서는 탈형온도가 낮을수록 성형품의 표면이 좋아졌다. 그리고 보압하중과 탈형온도를 고려하여, 성형품의 표면요철 생성과정과 섬유돌출 높이 변화를 규명했다.

극저온에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표면의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접착제간의 접착특성이 전체 박리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Adhesion property between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Polyurethane adhesives on Peel strength under Gyogenic tempernture)

  • 손민영;이재광;홍정락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13-19
    • /
    • 2009
  • 접착제에 의한 접합기술은 다양한 목적과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 중 우레탄 접착제는 저온에서의 우수한 접착 특성으로 인하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같은 극저온 환경의 접착에 사용되고 있다. 유사한 우레탄 접착제라도 각기 다른 기재와의 접착특성을 갖게 된다. 특히 기재에 사용된 수지의 종류와 섬유와의 상응성에 따른 접착력의 변화는 산업현장에서의 접착제 선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동일한 리섬유강화복합재료에 접착하였을 때 실험 온도에 따른 다른 경향의 박리강도를 얻었다. 그 원인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실혐 결과 극저온에서 접착제와 복합재료 수지간의 접착력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접착제와 가재에 노출된 유리섬유간의 접착력이 달라짐에 따른 원인으로 확인하였다.

차량 경량화를 위한 사출성형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온도 및 수분 흡수에 따른 기계적 물성 변화 (Change of Mechanical Properties of Injection-Molded Glass-Fiber-Reinforced Plastic (GFRP)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Water Absorption for Vehicle Weight Reduction)

  • 천두만;안성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2호
    • /
    • pp.199-204
    • /
    • 2013
  • 최근 차량 경량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 무거운 철강재료를 경금속이나 복합재료로 대체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중, 폴리머 기반의 복합재료는 사출성형을 통해서 복잡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하고, 유리섬유나 탄소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철강재료 수준으로 기계적 물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엔진의 고온과 우기에서의 높은 습도 환경은 폴리머의 기계적 물성을 낮추기 때문에 재료선택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출성형을 통해 만들어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엔진룸 내부 온도와 유사한 $85^{\circ}C$ 환경과 우기시의 최대 수분흡수 환경하에서의 기계적 물성변화를 인장시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고온환경에서 최대인장강도가 약 23% 감소를 보였고, 수분에 의해서는 약 30% 감소하였으며, 고온과 수분 모두에 대해서는 약 70%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재료 선정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영향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