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리섬유직물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4초

유리섬유직물에 대한 수지의 젖음성 평가 (Wettability Evaluation of Resin on the Glass Fabric)

  • 한승욱;최낙삼;이민수;안흥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30-37
    • /
    • 2011
  •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직물 간의 젖음성을 분석하였다.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 경화제의 혼합비는 당량비 1:0.5, 1:1, 1:1.2로 하였고, 촉매는 혼합된 수지의 0.lwt%로 첨가하였다. DSC 경화거동분석 결과 이 혼합 수지는 상온에서 함침이 가능하였다. 혼합 수지에 대해 유리평판에 놓여진 유리섬유직물 위에 수지 한 액적(방울)을 투하 후 시간에 따른 접촉각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일정량의 에폭시 수지 액적을 투하시켜 시간에 따른 젖음면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접촉각, 액적높이, 순수 젖음면적, 젖음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유리섬유직물에 대한 에폭시 수지의 젖음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당량비 1:1.2에서 유리섬유직물에 대한 젖음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유리섬유 보강적층재의 파괴인성 특성 (Fracture Toughness of Glass Fiber Reinforced Laminated Timbers)

  • 김선호;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61-867
    • /
    • 2015
  • 유리섬유 보강적층재의 파괴인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ompact tension (CT)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보강재는 직물형 유리섬유와 시트형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였으며, 보강적층재는 층재사이에 보강재를 삽입 적층하였다. ASTM D5045에 의거하여 CT형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시험편의 길이는 끝면거리를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인위적인 노치 끝에 볼트구멍(12 mm, 16 mm, 20 mm)을 선공하였다. 시트형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적층재의 파괴인성하중은 보강하지 않은 적층재보다 최대 33% 증가하였으며,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적층재는 최대 152% 증가하였다. 이중외팔보(Double Cantilever Beam)이론에 의한 응력확대계수는 시트형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적층재의 경우 1.08~1.38이었으며,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적층재는 1.38~1.86이었다. 이는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적층재의 경우 유리섬유와 층재의 섬유배열방향이 직교하여 파괴하중으로 인한 목재의 할렬진행을 억제시켰기 때문이다.

직물유리섬유 강화집성재의 물리적 특성(제1보) - 기계적 특성 -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E-glass Fiber Reinforced Laminated Timber (I) - Mechanical Properties -)

  • 정인석;이원희;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23-34
    • /
    • 2003
  • 본 연구는 국산소경재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재와 낙엽송(Larix kaemferi)재로 제조된 유리섬유강화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을 조사해 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먼저, 직물 유리섬유를 수성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MPU-500) 접착제를 사용하여 control재와 유리섬유를 각각 1층과 2층 함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성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집성재 제조용으로 적합하였으며, 특히 유리섬유를 2층 함입한 소재를 제외하고는 구조용 집성재의 품질기준(KS F 3021)을 만족시켰다. 2. 직물유리섬유를 함입할 경우 휨강도, 전단강도에서 control재보다 크게 뛰어나지는 않았지만, 비례한도 휨응력은 유리섬유의 함입 층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직물 유리섬유의 mesh수와 두께를 집성재 소재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조정한다면, 휨강도와 전단강도를 좀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철도차량용 직물 유리섬유/에폭시 적층 복합재의 피로수명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Fatigue Life for a Woven Glass Fabric/Epoxy Laminate Composite Applied to Railway Vehicles)

  • 고희영;신광복;김정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2호
    • /
    • pp.203-209
    • /
    • 2010
  • 본 연구는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직물 유리섬유/에폭시 적층 복합재의 피로특성 및 피로수명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때, 피로시험은 0.1의 응력비(R)와 5Hz의 주파수에서 인장-인장 하중 조건이 고려되었으며, 시험편은 카본/에폭시 플라이가 보강된 시험편과 보강되지 않은 시험편 두 가지 타입을 고려하였다. 또한, 직물 유리섬유/에폭시 적층 복합재의 피로수명을 평가하기 위해 철도차량 차체와 언더프레임에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6005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3장의 카본/에폭시 플라이가 보강된 직물 유리섬유/에폭시 적층 복합재 시험편이 보강되지 않은 기본 시험편보다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유리섬유 조합에 따른 보강 집성재 볼트접합부의 전단강도 특성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Glulam-bolt Connection by Glass Fiber Combination)

  • 김건호;송요진;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51-57
    • /
    • 2013
  • 직물형 유리섬유 조합에 따른 보강 집성재의 볼트 접합부 전단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장형 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보강재는 직물형 유리섬유로서 유리섬유 배열 형태는 평직형과 능직형을 사용하였다. 보강 집성재는 5층으로 직물형 유리섬유의 삽입 위치와 조합 형태를 달리하여 층재 사이에 삽입 적층시켜 제작하였다. 인장형 전단 시험편은 강판 삽입형로서 끝면거리 7D에 직경 12, 16 mm의 볼트로 접합하였다. 체적비 1%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 집성재의 경우 12 mm 볼트 접합부의 항복 전단내력은 집성재 외층부보다 내층부를 보강한 시험편에서 10% 큰 값을 나타내었다. 체적비 2%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 집성재의 항복 전단내력은 12 mm 볼트 접합부의 경우 각층재 사이에 삽입 적층시킨 시험편이 보강하지 않은 접합부보다 약 22% 향상되었으며, 16 mm 볼트 접합부의 항복 전단내력은 약 20% 향상되었다.

Glyoxal 처리에 의한 면직물의 DP가공시 새로운 촉매 (New Catalyst for Durable Press Finish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Glyoxsl)

  • 유영하;방은숙;김승일;이의소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3-424
    • /
    • 2003
  • 셀룰로스 직물은 easy care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교제로 처리된다. 현재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DMDHEU와 같은 N-methyol 가교제는 공정 중 또는 처리된 제품의 저장 중에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하이드를 유리시키는 경향이 있어 포름알데하이드를 유리시키지 않는 가교결합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비포르말린계 가교제 중 글리옥살은 그 성능은 매우 뛰어나지만 DP 처리시 사용되는 촉매인 aluminium sulfate는 처리직물의 강도저하와 황변을 일으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1]. (중략)

  • PDF

Glyoxal-Aluminium Ammonium Sulfate에 의한 DP가공에서 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Additives on Durable Press Cotton Fabrics with Glyoxal-Aluminium Ammonium Sulfate)

  • 유영하;방은숙;김승일;이의소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4-87
    • /
    • 2003
  • 셀룰로즈 직물은 easy care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교제로 처리된다. 현재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DMDHEU와 같은 N-methyol계 가교제는 공정 중 또는 처리된 제품의 저장 중에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하이드를 유리시키는 경향이 있어 포름알데하이드를 유리시키지 않는 가교결합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비포르말린계 가교제 중 글리옥살은 그 성능은 매우 뛰어나지만 DP 처리시 사용되는 촉매인 aluminium sulfate는 처리직물의 강도저하와 항변을 일으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1]. (중략)

  • PDF

유리섬유(glass fiber) 가공

  • 박병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5-75
    • /
    • 1990
  • 유리를 압출하여 필라멘트형으로 제조하면 많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식용 섬유로서 유용한 방적 재료가 얻어진다. 또한 유리의 고강도와 고탄성률을 고려하여 많은 산업용 직물과 복합재료의 보강재료에 이용된다. 본고에서는 유리섬유의 제조, 분류, 조성, 성질, 특성 등에 대해서 설명하고, 가공측면에서 표면처리 기술, Pre-preg의 제조와 용도, 필터백의 특징과 응용, 유리커튼의 특징과 제조, 방충망의 제조, 고무보강 기술에 대해서 언급하고저 한다.

  • PDF

삼차원 유리직물 강화 비닐에스테르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Three-dimensional Glass Fabric-reinforced Vinyl Ester Matrix Composites)

  • 박원배;박수진;이재락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15-71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수직섬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삼차원 유리직물을 보강재로 사용하고, 매트릭스 수지로 비스페놀 타입 비닐 에스테르 (bisphenol type vinyl ester)를 사용하여 hand lay-up을 이용해 복합재료 (3D composites)를 제조하였다. 삼차원 유리직물의 수직섬유의 길이가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three-point bending test, flatwise compression test를 통해 조사하였다. Short-beam test법 통하여 복합재료에서의 섬유와 매트릭스 수지간의 계면접착강도를 나타내는 층간 전단강도를 구하였다. 시험 결과를 통하여 수직섬유의 길이가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및 층간 전단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직물유리섬유강화 집성재의 물리적 특성(제2보) - 박리 및 흡습성 -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E-Glass Fiber Reinforced Laminated Timber (II) - Peeling and vapor adsorption properties -)

  • 정인석;이원희;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35-42
    • /
    • 2003
  • 본 연구는 전보(정 등, 2002)에서 제조된 직물유리섬유 강화집성재의 박리 및 수분 흡착특성을 조사해 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침지 박리시험에서, 3가지 형태의 소재 모두 박리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control재를 제외한 모든 형태의 소재는 삶음 박리에서 박리가 발생하였다. 수분흡착시험은 40℃, 상대습도 90% 조건에서 48시간동안 실시하였다. 횡단면 흡습성은 모든 소재에서 다르지 않았다. 유리섬유로 된 소재에서 방사단면과 접선단면은 control재와 비교하여 수분 흡착이 지연되었다. 수분흡착 이방성에서, 유리섬유 함입된 소재는 적은 수분흡착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