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리산

검색결과 2,295건 처리시간 0.025초

Dansyl Cadaverine을 이용한 담즙산류의 고감도 형광측정법 (Sensitive Fluorogenic Derivatization Method for Bile Acids by Dansyl Cadaverine)

  • 이용문;문동철;한건
    • 분석과학
    • /
    • 제11권6호
    • /
    • pp.429-435
    • /
    • 1998
  • 유리 담즙산 및 담즙산의 글리신복합체를 dansyl cadaverine을 형광유도체화제로 사용하여 역상HPLC에서 분리하고 형광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8종류의 유리 및 복합체 담즙산을 dimethylformamide를 반응용매로 하여, amide결합 형성반응용 축합제로서 diethyl phosphorocyanidate를 사용하여 형광유도체화제인 dansyl cadaverine과 반응시켰다. 반응액중 일부를 20% methanol-water/acetonitrile을 기본 용리액으로한 직선 농도구배 조건의 HPLC에 의하여, 8가지 담즙산류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었다. 역상컬럼으로부터 용출된 담즙산의 형광유도체는 여기파장(${\lambda}ex.$) 340 nm, 형광파장 (${\lambda}em.$) 520 nm에서 측정하여 콜린산의 경우 약 10 pg(S/N 비=5)까지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오분자기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Abalone, Haliotis diversicolor japonica)

  • 하진환;송대진;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7-122
    • /
    • 1982
  • 오분자기의 정미성분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핵산관연물질, 유리아미노산, TMAO, TMA 및 총creatinine을 분석하였다. 핵산관련물중 AMP가 가장 많아서 $2.21{\mu}mole/g$이었으며 IMP와 inosine은 흔적량이었다. 유리아미노산중 함양이 많은 것은 taurine, arginine 및glycine으로 이들 3종 아미노산이 전유리아미노산의 $79.3\%$를 차지하였으며 tyrosine과 phenyl alanine은 흔적량이었다. TMAO, TMA 및 총 creatinine의 사양은 각각 $5.4mg\%,\;1.0mg\%$, 그리고 $5.0mg\%$ 였다. Omission test 결과 오분자기의 정미성분은 유리아미노산이 그 주체를 이루고 여기에 유기산과 핵산관련물질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구 건제품의 핵산관련물질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of Dried Cod)

  • 이영경;성낙주;정승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3-338
    • /
    • 1985
  • 저렴한 동물성 단백질의 급원인 냉동대구의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북양산 냉동대구육을 천일건조 및 열풍 건조시켜 1개월간 저장하면서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의 변화를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시료에는 proline, histidine, lysine및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천일건조시료, 천일건조 저장시료, 열풍건조시료 및 열풍건조 저장시료에는 glycine, histidine, lysine, proline 및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총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저장중 현저히 증가하였다. 핵산관련물질의 함량은 생시료와 건조시료 및 저장시료 모두 inos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IMP의 함량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glycine, histidine, lysine, proline 및 alanine등의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로서는 IMP등이 냉동대구를 원료로 한 대구 건제품의 맛에 중요할 구실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호박 및 단호박의 식품성분 비교 (The Comparision of Food Constituents in Pumpkin and Sweet-pumpkin)

  • 허수진;김준한;김종국;문광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1-9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각종 영양적 기능적 특성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호박과 단호박의 식품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식품가공용 중간 소재로서 이용하는데 있어서 기본 자료로 이용하고자 비교 검토하였다. 단호박은 수분함량이 87.87%로 호박의 94.19% 보다 월등히 낮았으며 기타 일반성분은 단호박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순이었으며 단호박에는 소량의 mannitol 함유되어 있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호박은 526n1g%, 단호박은 846mg%로 단호박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호박의 경우 aspartic acid threonine, cystine의 함량이 높았고 단호박에서는 cystina arginine, tyro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에서 단호박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비휘발성 유기산함량은 호박이 124.22mg%,단호박이 2배가량 많았으며 호박에는 malic arid가 단호박에는 citric acid가 가장 많았다. 지방산의 조성은 호박의 경우 palmitic acid, Iinolenic acid, Iinoleic arid 순이었으며 단호박에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호박은 52.3%, 단호박은 71.5%를 차지하였다. 또한 무기질, vitamin C 및 carotenoid 함량 등에서도 단호박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 영양적으로는 호박보다 우수하였다.

  • PDF

HPLC를 이용한 한국인 정상인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혈장 중의 유리 아미노산의 정량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in the plasma samples of normal subjects and schizophrenic subjects in Korea by HPLC)

  • 박성수;박송자;표희수;박종세;박택규;신영민
    • 분석과학
    • /
    • 제8권3호
    • /
    • pp.229-236
    • /
    • 1995
  • 생체시료에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의 분석을 위하여 pH 7.2의 완충용액 조건하에서 Amino Quant $C_{18}$ 컬럼에 diode array detector(DAD) 검출기가 부착된 HPLC에 의한 다단계 기울기 용리법이 사용되었다. 한국인 정신분열증 환자와 정상 한국인의 혈장시료내의 유리 아미노산은 3-mercaptopropionic acid 존재하에서 o-phthalaldehyde와 유도체 반응을 시켰다. 내부표준법에 의한 생체시료에서의 아미노산의 정량분석은 상대표준편차가 2~6%로서 재현성 있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한국인의 생체시료 중 아미노산의 함량은 외국인의 것과는 다른 결과를 얻었으며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평균 tyrosine량은 큰 차이가 있었다.

  • PDF

공장산 고추장의 저장기간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ndustry-type Kochujang during Storage)

  • 정승원;김영호;구민선;신동빈;정건섭;김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3-410
    • /
    • 1994
  •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공장산 고추장의 제조후 경과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치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제된 공장산 고추장을 $37^{\circ}C$에서 105일간 저장하면서 고추장의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환원당은 저장 15일까지는 비교적 큰폭으로 감소한 다음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이중에서는 glucose가 가장 많았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즉, 저장초기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2092.50mg%에서 저장 60일후 22.3% 정도 감소하였으며 90일 후에는 1360.57mg%로 저장초기에 비해 35% 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중 전반적으로 효소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증성 protease의 활성이 미약하나마 완만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는 각각 저장기간의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양자간의 상관계수는 r=0.964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겉보기점도는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보다는 수분 활성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구릿대(Angelica dahurica) 잎의 유용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 이양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2-496
    • /
    • 2007
  • 구릿대 잎의 한약소재 및 식품 영양학적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일반성분과 환원당, 유리당,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의 조성 그리고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이 76.30%로 가장 높았으며 탄수화물 7.58%, 조단백질 4.01%, 조회분 7.87% 그리고 조지방은 4.23%의 비율로 함유하였다. 환원당은 1,687.10 mg/100 g이였으며, 유리당 총 함량은 57.3 mg/100 g으로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은 139.25 mg/100 g이었으며, 유리아미노산 215.99 mg/100 g으로 alanine이 61.52 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 유도체는 101.39mg/100 g으로 ${\gamma}-aminoisobutyric$ acid가 78.26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은 K가 2,135.03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Cu(916.47 mg/ 100 g), Mg(39.35 mg/100 g), Me(2.97 mg/100 g) 등이 분석되었다.

생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조성 및 지역과 계절에 따른 변동 (Comparison of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in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he Raw Anchovy (Engraulis japonica))

  • 박춘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31
    • /
    • 2000
  • 우리 나라 남해안에서 어획되고 있는 생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1991년 6월부터 1992년 6월까지 경남 남해군 이동면 근해와 양산군 기장면 대변리 근해어장에서 어획된 생 멸치를 계절별로 각각 4회 수집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생 멸치의 엑스분 질소 함량 범위는 $444{\~}773\;mg/100\;g$으로서 높은 때는 낮은 때의 1.7배 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049{\~}2,079\;mg/100\;g$이었고, 함량에 있어서 histidine, taurine, alanine, leucine, glutamic acid가 많았다. Oligopeptide류 유래의 아미노산은 $517{\~}l,650\;mg/100\;g$에 달하였고,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평균$67.6{\%}$를 차지하였다. ATP 관련 화합물 총량은 평균 $5.02 {\mu}mol/g$이었으며, 그 중 IMP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Betaine류는 glycinebetaine, ${\beta}-alaninebetaine,\;{\gamma}-butyrobetaine$, 및 homarine 이 검출되었으나, 미량에 불과하였다. TMAO와 TMA는 평균 $164mg 과 16mg/100g$ 검출되었고, creatine과 creatinine은 평균 229 mg과 7 mg/100g 검출되었다. 엑스분 중의 질소분포는 지역이나 계절별로 유사한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질소의 회수율은 평균 $93.7{\%}$이었다.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에 대한 지역차를 보면 남해산은 기장산 보다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betaine류 및 creatine함량이 높았으나, ATP 관련화합물과 TMAO는 낮았다. 봄멸치는 가을멸치보다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ATP관련물질 및 betaine류가 높았으며, TMAO와 creatinine 함량은 낮았다.

  • PDF

밤의 부위별 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of Different Parts of Chestnut)

  • 김용두;최옥자;김경제;김기만;허창기;조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6-160
    • /
    • 2005
  • 밤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무기질, catechin 및 total polypenol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의 수분 함량은 밤의 외피, 내피, 깐밤, 밤, 밤나무 수피 및 밤나무 잎 중 밤나무 잎이 $63.60\%$로 가장 높았고, 회분 함량은 밤의 각각의 부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내피가 $1.95\%$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의 부위중 간밤에서 $3.02\%$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조지방 함량은 외피에서 $0.68\%$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회분 함량은 밤나무 내피에서 $1.60\%$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각각의 밤나무 부위중 유리당은 이당류인 maltose와 sucrose가 주종이었으며 fructose과 glucose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외피와 내피에는 당 종류에 관계없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밤나무 각각의 부위중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외 16종이 검출되었고 구성아미노산 총량은 전체 $2,619\;mg\%$, 외피 $1,034\;mg\%$, 내피 $1,450\;mg\%$ 및 간밤 $2,994\;mg\%$로 나타났고 부위에 따른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전체 $744.75\;mg\%$, 외피 $211.4\;mg\%$, 내피 $357.6\;mg\%$ 및 깐밤 $593.4\;mg\%$이었으며 주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등으로 구성아미노산의 이율과 유사하였다. 각각의 밤에 함유된 무기성분은 K>Mg>Ca>Na>Fe>Zn>Cu 순으로 검출되었다. 부위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밤나무 잎, 수피 및 내피에 많은량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깐밤과 외피에서는 미량 검출되었다. catechin 함량은 내피에 epicatechin 이 $0.15\;mg\%$ 함유되어 있었다.

김치의 저장중 향미 성분의 변화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u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허우덕;하재호;석호문;남영중;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1-517
    • /
    • 1988
  •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향기 원인 물질을 분석 하고 맛 성분의 원인 물질인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김치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서는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a, dipropyl disulfida, 1-isothiocyanato butane, diallyl disulfide등을 들 수 있었고.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보면 저장초기에는 젖산이 1.2mg/100g 구연산이 5.4mg/100g이던 것이 33.3mg/100g 및 44.4mg/100g으로 증가하였고 말산은 19.9mg/100g에서 4.8mg/100g으로 감소하였다. pH는 초기에 5.65이던 것이 저장 62일경에 4.25로 감소하였고 김치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보면 저장초기에 316.3mg/100g이던 것이 저장 후기에 627.6mg/100g으로 증가하였고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글루탐산, 알라닌, 발린, 로이신, 리진, 아르기닌 등 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휘발성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pH는 김치의 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