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리산

검색결과 2,294건 처리시간 0.026초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응용한 사과의 유리산 함량 측정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Free Acid Content in Apples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 손미령;조래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3호
    • /
    • pp.234-239
    • /
    • 1998
  • 근적외 분광분석법으로 사과의 유리산 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측정함에 있어서 사과 착즙액의 갈변에 의한 영향은 있었으나 실활처리 및 적정 알칼리액 농도는 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수확기 사과의 유리산 함량은 수확 시기를 달리한 시료로 작성한 검량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중회귀분석 결과, 중상관계수(R)는 0.77이었고 측정오차(SEP)는 0.03%이었다. 저장 중인 사과의 유리산 함량은 저장하여 유리산 함량폭이 넓은 시료로 작성한 검량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R은 0.90, SEP는 약 0.04%이었다.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응용하여 사과 중의 유리산 함량을 정확히 정량하기는 다소 미흡하나 높은 산 함량치와 낮은 산 함량치를 가지는 사과로 분류하는 것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밤나무산누에나방의 발생단계와 성별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정성적 분석 (On the Free Amino Acids on Different Stages and Sexes of Dictyoploca japonica)

  • 김창환;류종명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7-79
    • /
    • 1965
  • 밤나무산누에나방(Dictyploca japonica)의 아미노산을 paper chromatogrphy법을 이용하여 용에서 난까지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1. 분석 결과 19 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각 stage는 유리아미노산의 정성적 pattern의 변동을 보였다. 2. Serine은 전 stage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3. 유리아미노산의 정류수는 종류수는 나방이의 발생과 더불어 증가하고 일반적으로 male 보다는 female 에 있어서 그 수가 많았다. 4. Tryptophane은 각 stage에서 전연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울금 품종과 채취시기별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유리당 및 비타민 함량의 변화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Free Amino Acid, Free Sugar and Vitamin of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tomatica Salib According to Picking Time)

  • 강성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24-632
    • /
    • 2007
  •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아미노산, 유리당 및 환원당 및 비타민 C와 $B_1$ 등의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수분, 조회분,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고, 가용성무질소분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성아미노산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다가 다음해인 1월말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는 주된 성분은 구성아미노산과 비슷하였으나,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계속 증가 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구성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 모두 가을울금이 더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울금의 유리당 중 fructose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나, glucose와 sucrose는 감소하였으며, 총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과 환원당 모두 가을울금이 더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비타민 C와 $B_1$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그 함량이 가을울금은 감소하였으나 봄울금은 증가하였으며, 비타민 C는 가을울금이 더 높았으나 $B_1$의 경우는 봄울금이 더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생.건 참서대의 조리방법별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of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Raw and Salted-dried Red Tongue Sole During Cooking)

  • 신애숙;홍정훈;김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5-540
    • /
    • 1998
  • 참서대를 생으로 또는 염건하여 찜, 삶기, 구이의 3종류의 조리방법에 따라 일반성분 분석 및 유리지방 산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시료의 일반성분은 수분 78.4%, 회분 1.2%, 조 지방 1.1%, 조 단백질 18.3%로 나타났다. 2. 생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24:0(43.1%)을 주로한 polyene산의 비율이 67.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6:0(22.3%)을 주로한 포화산이 25.7%, 18:1(6.8%) 을 주로한 monoene 산이 7.1%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구성 지방산은 16:0와 24:0이었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조성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해 포화산은 찜의 경우 감소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Monoene 산은 찜, 삶기, 구이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polyene 산은 찜의 경우에만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염건 시료에서는 생시료와는 달리 16:1을 주로 한 monoene 산이 38.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6:0을 주로 한 포화산이 35.3%, 22:6을 주로 한 polyene산이 25.8%였다. 염건시료의 가열조리별 조성변화를 보면 염건생시료에 비해 포화산과 monoene산 모두 감소하였으나 polyene 산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의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잔존율을 살펴보면 생시료 0.8, 삶기 0.22, 구이 0.26으로 고도불포화 지방산이 가열조리에 따라 점차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생시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934.5 mg%이었고, glutamic acid(1029.8 mg%, 14.9%), aspartic acid(846.2 mg%, 12.2%), Iysine(696.1 mg%, 10%), leucine(582.5 mg%, 8.4%), arginine(474.1 mg%, 6.8%), serine(388.4 mg%, 5.6%), alanine(386.1 mg%, 5.6%)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이들이 전체의 63.5%를 차지하고 있다. histidine이 196.4 mg%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변화는 생시료가 6934.5 mg%, 찜이 7132.3 mg%, 삶기가 7229.8 mg% 그리고 구이가 6682.6 mg%로 찜과 삶기의 경우는 증가하였고 구이는 감소하였다. 생시료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490.0 mg%이었으며 이는 생시료에 비해 440.5 mg% 정도가 감소한 것이다. 주요 아미노산의 구성은 생시료와 동일하였다. glycine 함량이 생시료에 비해 염건시료에서 60.8 mg% 정도 감소하였고 그 이외의 유리아미노산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건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변화는 생시료와 마찬가지로 찜과 삶기에서는 증가하고 구이에서는 감소하였다.

  • PDF

고속액체(高速液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각종(各種) 인삼제품(人蔘製品)중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의 분석(分析)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in Various Ginseng Products)

  • 이성우;흑기민청;우상규;윤태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7-40
    • /
    • 1982
  • 한국산(韓國産) 홍삼(紅蔘), 한국(韓國), 미국(美國) 및 카나다산(産) 피부백삼(皮部白蔘)으로부터 tryptophan, proline, cystine을 제외한 15 종의 유리 아미노산을 고속액체(高速液體) 크로마토그래피로 검출해 낼 수 있었다. 이들 아미노산 중에서 arginine이 홍삼(紅蔘)에서는 총 유리 아미노산의 72.6%를, 피부백삼류(皮部白蔘類)에서는 $48.2{\sim}68.7%$나 차지하고 있었다. 한국산(韓國産) 홍삼(紅蔘)의 각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산(韓國産) 피부백삼(皮部白蔘)에 비하여 많이 감소되어 있는 경향이었고, 미국산(美國産) 및 카나다산(産) 피부백삼(皮部白蔘)의 경우 한국산(韓國産) 그것에 비하여 대체로 각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낮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한국산(韓國産) 홍삼(紅蔘) 추출물(抽出物)에서는 tryptophan, proline, cystine 이외에도 methionine, phenylalanine등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추출물(抽出物)에서도 역시 argi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각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백삼추출물(白蔘抽出物)에서 더 많았다.

  • PDF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1999
  • 탈지들깨박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시판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TBHQ와 비교하였다.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페놀산이 각각 213, 133.1, 89.4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와 2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들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켰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들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 약했으나 BHA나 AP(0.02%) 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나무딸기의 화학적(化學的) 성분(成分)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유리당)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Raspberry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Sugar))

  • 주광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1권3호
    • /
    • pp.21-24
    • /
    • 1978
  • 나무딸기의 화학적 성분의 조성(組成)을 알기 위하여 유리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자동분석계, 유기산은 GC 유리당은 ppC를 통하여 분석 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유리아미노산은 18종(種) 발견되었으며 특히 lysine의 함량(含量)이 많았다. 필수(必須)아미노산을 고르게 함유하여 타 과실에 비하여 좋은 아미노산 조성(組成)을 이루고 있다. 2.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가 발견 되어졌으며 일반적으로 그 함량은 적었다. 3. 당은 glucose, fructose, mannose, maltose lactose등을 함유하고 있다.

  • PDF

탈지참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II)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Sesame Meal on the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4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탈지참깨박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탈지참깨박으로부터 페놀산을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및 TBHQ의 항산화 효과와 비교하였다. 탈지참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 페놀산이 각각 246.8, 109.6, 85.8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참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컸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참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BHA나 AP(0.02%)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형 페놀산의 경우는 합성 항산화제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TBHQ의 항산화력과 거의 유사할 정도로 높았다.

  • PDF

굴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분해 (Decomposition of Glycogen and Protein in Pickled Oyster during Fermentation with Salt)

  • 김장양;변재형;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6-71
    • /
    • 1981
  • 굴의 주요구성분인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굴젓갈 숙성중의 분해과정과 분해생성물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글리코겐의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의 생성 유리아미노산과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의 젓갈 숙성 전후의 구성변화 및 유리환원당과 유리아미노산간의 첫갈숙성조건에서의 반응성의 지표로서 유효성라이신의 양의변화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글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은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에로 분해하여 갔으며, 유효성라이신의 양은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생굴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proline이 많았으며, tryptophan과 methionine, histidine 및 tyrosine은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굴젓갈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생굴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 valine과 histdine isoleucine 및 lysine이 감소된 것이 주목을 끌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구성을 보면 생굴중에는 proline, taurine,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이 특히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아미노산의 전체 생굴 유리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은 약 $69\%$에 달하였다. 그리고 젓갈중에는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유리아미노산은 전체 굴 젓갈 유리아미노산의 약 $65\%$에 달하였다. 굴젓갈 숙성중에 증가한 유리아미노산은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ne, isoleucine, tyrosine등을, 그리고 감소한 아미노산은 taurine, proline, leucine등을 들 수 있었다.

  • PDF

고려인삼과 장뇌삼의 유리 아미노산 비교 (Differences in Free Amino Acids between Korean Ginsengs and Mountain Ginsengs)

  • 이호재;유병삼;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323-328
    • /
    • 2000
  • 한국산 장뇌삼과 재배인삼, 그리고 중국산 장뇌삼으로부터 유 리 아미노산을 추출하여 HPLC를 이용하여 14가지의 유리 아미 노산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총 유리 아미노산의 크기를 비교 해 보면, P>M>KM4>CMl>KM7>Y>S>K>KM5>J>U>CM2>H> K KM2>KM1>KM6 순이었다 한국산 재배인삼 P의 아미노산 총 함량은 12.46 mg/g으로 가장 높았고, KM6가 6.86 mg/g으로 가 장 낮았다. 유리 아미노산 중에서 Arg은 Y에서 8.77 mg/g 함량 을 보였다. 총 유리 아미노산 중 Arg의 함량 비율은 KM2에서 7 7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지를 고려하지 않고 보면, 장뇌삼이 재배인삼과 구별되는 특정은 없었다. 한국산 장뇌삼은 H His, Met에서 한국산 재배인삼은 Thr이 특이적으로 다른 시료들 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았었고, 중국산 장뇌삼은 Lys만이 높은 함량 수치를 보였다. 특히 Gly은 한국산 시료에서 중국산 시료 에 비해 특이적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Lys은 중국산 장뇌 삼에 다른 한국산 시료에 비해 대체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