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류 오염토양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유류오염토양의 화학적 고도산화 현장적용기술 개발

  • 김국진;고일원;이광표;이철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35-238
    • /
    • 2004
  • 유류 오염토양에 대한 과산화수소의 화학적 고도산화에 대한 실험실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현장 오염토양 10g에 각각 과산화수소(34.5%) 원액을 중량비로 0.3%, 0.6%, 1.0%, 2.0%를 처리하여 혼합 후 실험실에서 1일 반응 후 TPH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토양 대비 2.0%의 과산화수소를 투입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복원 효율을 측정할 수 있었고 2.0%까지의 투입농도에서 미생물의 농도 변화는 측정되지 않았다. 오염된 토양에 과산화수소를 오염 토양 중량 대비 2%를 분무기로 살포 후 로타리가 설치된 경작 장비로 뒤집기 수행하여 1일 후 오염토양의 오염농도를 분석한 결과 초기 TPH 5,365ppm의 농도가 2,317ppm으로 56.8% 복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류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biopile의 현장적용

  • Jo Jang-Hwan;Park Jeong-Gu;Seo Chang-Il;Jeon G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155-15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장규모의 biopile을 제작하여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였다. 오염토양의 TPH농도는 평균 2,800mg/kg(최고 3,590mg/kg)이었으며, 오염토양의 양은 $746m^3$이었다. Biopile $(17{\times}20{\times}2.5m)$을 약 3개월간 운전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토양가스($O_2,\;CO_2)$ 및 VOCs) 및 토양의 TPH농도를 분석하였다. 지속적인 공기의 주입/추출에 의해 biopile내부는 호기조건을 유지하였으며, 미생물의 활성도 증가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토양가스 분석결과 휘발성 유기오염물질(VOCs)은 약 40일 경과 후 90% 제거되었으며, 90일 경과 후 토양의 TPH 제거율은 98%로 나타났다.

  • PDF

미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토양 복원기법과 현장적용성에 관한 연구

  • 송태을;상병인;김만호;황종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20-123
    • /
    • 1997
  • 오염토양 복원의 신기술로서 미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생물학적 정화법(Bioremediation)의 표준화된 절차와 현장적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적절한 양분과 수분 그리고 산소를 공급하여 유류 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유류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미생물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오염된 토양을 단기간 내에 복원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인 기술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현장적용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국내외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토양오염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Pilot-scale Treatability test of Co-Composting for The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in The Winter (동절기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Co-Composting 기술의 현장 적용성 연구)

  • 마정재;고형석;황종식;정민정;최상일;김국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04a
    • /
    • pp.26-28
    • /
    • 1999
  • 동절기 급격한 온도 저하로 인한 적용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composting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분해 특성을 검토하였다. 기초 실험을 통해 영양원과 유류분해 미생물의 첨가에 따른 분해 효율을 점검한 결과 초기 유효 미생물 (유류분해 미생물)의 농도가 낮고 영양원(N, P source)의 불균형으로 인해 영양원의 첨가와 유류분해 미생물을 동시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절기 낮은 온도를 극복하기 위해 퇴비를 투입한 Co-composting 기술은 주입된 퇴비의 영향으로 pile 내부의 온도가 30-40일 동안 중온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제거효율은 91%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류 오염토양을 복원함에 있어서 동절기에도 별도의 시설투자 없이 효율적으로 유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CO-Composting 기술의 적응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난분해성 물질의 생물학적 분해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토양경작법(Landfarming)을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 복원효율 평가

  • Jeon Gwon-Ho;Han Wan-Su;Jeong Hyeon-Seok;Seo Chang-Il;Park Je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19-222
    • /
    • 2005
  •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 대해 토양경작법(Landfarming)을 적용하여 복원효율을 평가하였다. 복원 초기에는 주로 휘발에 의한 오염물질의 저감이 이루어졌으며, 이 후 미생물성장에 필요한 토양뒤집기와 질소원 영양물질의 공급으로 인해 미생물수가 복원초기에 비해 약 200배 증가하면서 약 30여일 경과 후 초기 20,000ppm에서 복원목표인 TPH의 토양오염우려기준 2,000ppm의 이하인 1,910ppm으로 감소하였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탄소원 섭취기질 부족으로 완만한 오염물질 감소속도를 나타내면서 최종적으로 TPH를 측정한 결과 1,288ppm으로서 제거효율 94%이상을 나타내었다.

  • PDF

유류 오염 부지에 대한 위해성 평가 -RBCA를 중심으로-

  • 류상민;함세영;정재열;신현무;오방일;김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70-373
    • /
    • 2002
  • 위해성 평가(Risk assessment)는 지하수나 토양의 오염으로 인해 자연 환경과 사람에게 미칠수 있는 위해(risk)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평가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오염도 저감 여부 및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부지를 대상으로 측정된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값에 근거하여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해((Risk)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와 동시에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정화기준을 산정 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유류로 오염된 00지구에 대한 정화기술적용시의 최소성분감소비(CRF)를 산출하여 정화의 정도치와 정화목표농도를 산출하였다.

  • PDF

Asswssment of natural attenuation for Gasoline contaminated soil under various reducing conditions

  • 오인석;이시진;장순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55-25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류오염 토양현장샘플을 이용한 실험실 규모의 회분식 실험을 통해 다양한 환원조건하에서 BTEX와 MTBE의 자연정화 평가 및 현장 생복원 기술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첫째, 오염토양과 비오염 토양에서 충분한 전자수용체의 존재는 유류오염물질의 생분해능을 증가시킬 수 있었음 알았다. 둘째, 같은 토양이라도 전자수용체의 종류와 유류오염물질의 특성에 따른 생분해능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BTEX에 비해 MTBE의 분해가 매우 느림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아직 초기 단계의 실험으로 현장 조건을 충분히 만족 시키지는 못한다. 추가적인 pH 변화에 따른 전자수용체의 이용 특성 및 토양-지하수 microcosm test, 혐기성 생분해 부산물인 $CO_2$, $N_2$ 또는 $N_2$O, TBA의 연구가 실시되어야 하겠다.

  • PDF

토양오염 유발시설의 오염현황 조사 및 오염토양 복원 방안 연구

  • 노성혁;백형환;신정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44-347
    • /
    • 2003
  • 본 조사를 통해 토양오염유발시설 중 유류 유출사고가 잦은 주유소에서의 오염현황 조사방법과 오염토양에 대한 적정한 정화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염현황 조사결과, 지층구조 는 전반적으로 Clay로 구성되어 있으나 오염토양 주변은 비교적 투수도와 통기성이 우수한 Silty Sand층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주유소의 경우 주유기 주변(상층부)과 지하유류저장탱크 주변(수직분포)에 오염이 분포되어 있고, 오염원인은 주유기의 배관 파손 및 결함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에 대한 정화기법으로는 토양증기추출기술(SVE)과 불포화대를 생물학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바이오벤팅기술을 결합시킨 Bioslurping이 효과적일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Bioslurry injection treatment를 병행하여 효과적으로 고농도의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ction of fluorescence from soils contaminated with monoaromatic hydrocarbons (유류 오염 토양에서의 단일방향족 탄화수소 농도 측정을 위한 자외선 형광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우진;박재우;이주인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2
    • /
    • pp.35-44
    • /
    • 2002
  •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tamination of the aromatic hydrocarbons in soil, a fiber-optic sensing technique with fluorescence detector has been proposed. Previous researches have shown that the optimal condition for detecting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BTEX) was 260 nm /290 nm (excitation/emission wavelength). However, broader fluorescence spectra of BTEX-polluted soil sample ranging from 300 nm to 600 nm were observed. Additionally,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BTEX concentration, which was conspicuous in the fine-particle soil,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ggested technique could be useful for in-situ monitoring system for subsurface oil-storage tank.

Development of the Soil Washing System for the 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 공정의 개발)

  • Gong, Jun;Cho, Jang-Hwan;Lee, Ji-Hui;Choi,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60-6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효율적인 세척공정을 구성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토양세척공정은 co-current식 전세척장치와 counter -current식 세척조로 구성된다. 물이 주입되는 co-current식 전세척장치에서는 스크류 축의 회전력에 의한 토양 이송 및 스크류의 각 pitch 사이에 부착된 임펠러의 기계적 교반력에 의한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전세척장치를 통과한 토양과 물은 세척조로 유입되어 세척용액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세척조의 내벽에 부착된 나선형 웨어에 의해 적정 운전조건하에서 일정 크기를 기준으로 토양이 분리되며, 각 웨어 사이에 부착된 임펠러의 교반력에 의해 오염토양이 세척된다. 실험결과, 운전시 고려해야 할 주요 영향인자들은 전세척장치에서의 토양주입량은 1 kg/min, 진탕비는 1, 회전속도는 50 rpm에서 최대 세척효율(#4-, 83.6%)을 보였으며, 세척조에서는 토양.물 주입위치 15 cm, 회전속도 5 rpm, 경사각 6$^{\circ}$, 세척용액 주입유량이 0.8 L/min일 때 최대 세척효율인 97.9%(#4-)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