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럽운송망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Hub-and-spokes service network design for rail freight transportation (철도화물운송을 위한 Hub-and-spokes서비스네트워크 디자인모형의 개발)

  • 정승주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3.02a
    • /
    • pp.75-93
    • /
    • 2003
  • Hub-and-spokes전략은 교통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네트워크전략이지만, 철도의 경우 대개 이 전략을 이용하기 어려운 네트워크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 적용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철도망이 도로망처럼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과 환적 처리기술의 발달로 90년대 초부터 이 전략이 철도화물운송부문에도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철도화물운송망에서의 hub-and-spokes전략을 구현하는 서비스네트워크 디자인모형을 개발하고, 모델의 실제철도망에의 적용성을 평가한다. 개발되는 모형이 전략모형임에도 불구하고 모형에서는 일반화된 운영비용 외에 열차속도, 서비스빈도, 터미널에서의 화물처리속도 등에 따른 시간지체비용도 고려되었다. 시간지체비용의 고려에 따라 야기되는 비선형 목적함수는 빈도별 서비스결정변수의 설정을 통해 선형화되어 결과적으로 모형은 선형 binary정수 최적화문제로 표현되었다. 규모가 큰 네트워크의 경우 해도출의 어려움 때문에 본 논문은 전체문제의 분할(decomposition)에 기초한 휴리스틱방법((heuristic method)으로 해결한다. 해도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빈도개선과 관련하여 세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유럽의 실제네트워크를 기초로 도출한 4개의 테스트문제에 적용되어, 해의 정확도와 해 도출의 효율성이 비교·평가되었다.

  • PDF

TSR 활성화를 위한 제언 - 화물운송협약의 검토와 최근의 이용현황을 중심으로-

  • 이용상;나희승;김현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4 no.1
    • /
    • pp.33-39
    • /
    • 2001
  • TSR(Trans Siberian Railway)노선은 남한과 북한, 일본, 중국등 동북아시아와 유럽대륙을 연결하는 기간 운송망으로 그간 많은 국가에서 이를 활용해 왔다. 일본의 경우는 1971년 3월 일본과 나호드카항로에 컨테이너 선박을 취항하여 유라시아컨테이너복합 운송망사업에 참여하였으며, 남한의 경우도 1980년 중반부터 TSR을 이용해 운송하기 시작하였다. 남한의 TSR을 이용한 운송실적은 1991년 25,648Teu에서 1999년에 42,560Teu로 계속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그중 남한과 러시아의 직교역이 약 58%를 차지하고, 러시아를 통과하는 화물이 42%에 이르고 있다. (중략)

  • PDF

An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Hub-and-spoke Strategy for Rail Freight Service in European Networks (철도화물서비스를 위한 Hub-and-spoke 운송전략의 적용과 평가: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 정승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7 no.3
    • /
    • pp.264-270
    • /
    • 2004
  • The hub-and-spoke strategy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At the field of rail transport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hat we find an application case of this strategy because of mod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ast growth of container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shipment technology, presently, the hub-and-spoke strategy is introduced by operators on actual European rail freight transportation. However, it is hardly to find empirical studies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transportation strateg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ies of hub-and-spoke strategy in the actual network of European rail freight. For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ub-and-spoke strategy, it utilized a service network design model for rail freight. Utilizing this model, it analyzed the efficiency of furnished rail freight services, the potential locations of hubs, the characteristics of O-D flows by the types of trains and service links, and the types of paths of O-D flows. Finally, it proposed some implications and the further study topics.

A Service Network Design Model for Rail Freight Transportation with Hub-and-spoke Strategy (Hub-and-spoke 운송전략을 고려한 철도화물서비스 네트워크디자인모형의 개발)

  • Jeong, Seung-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167-177
    • /
    • 2004
  • The Hub-and-spoke strategy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container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shipment technology, it is also introduced into European rail freight transportation.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a service network design model for rail freight transportation based on the Hub-and-spoke strategy and efficient algorithms that can be applied to large-scale network. Although this model is for strategic decision, it includes not only general operational cost but also time-delay cost. The non-linearity of objective function due to time-delay factor is transformed into linearity by establishing train service variables by frequency. To solve large scale problem, this model used a heuristic method based on decomposition and three newly-developed algorithms. The new algorithms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four test problems base on the actual network of European rail freight and discussed the accuracy of solutions and the efficiency of proposed algorithms.

THE POSSIBLE IMPACT OF EUROPEAN COMMUNITY AIR TRANSPORT POLICY ON AVIATION INDUSTRY IN ASIA (EC항공운송정책(航空運送政策)이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eng, Chia Jui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4
    • /
    • pp.167-176
    • /
    • 1992
  • 1957년에 서명된 로마조약(條約)을 처음 개정한 단일(單一)유럽법(法)이 1987년 7월 1일에 발효(發效)되었을 때 유럽공동체(共同體) 12개 회원국(會員國)들은 공동정책(共同政策)에 의거 상업(商業), 농업(農業), 운송(運送), 금융(金融) 및 기타 관련부분에 있어 단일역내시장(單一域內市場)을 형성하기로 약속했다. 물론 완전한 역내공동시장(域內共同市場)은 자유로운 운송시장(運送市場)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EC조약(條約)은 모든 회원국(會員國)들이 서어비스의 자유에 근거하여 공동운송정책(共同運送政策)을 따를 것을 강제하고 있다. 항공운송(航空運送)에 있어서의 목표도 역시 다른 모든 경제활동의 목표와 마찬가지로 로마조약(條約)이 적용되는 공동운송정책(共同運送政策)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종합적인 공동체항공정책(共同體航空政策)의 작업에는 운임(運賃), 공급량(供給量), 시장진출(市場進出) 및 경쟁상(競爭上)의 일괄적인 자유화 조치 이상의 것을 내포하고 있다. 그것은 국가장벽으로 방해되지 않는 공동체(共同體)의 항공운송망(航空運送網)의 개발과 확장뿐만 아니라 경제(經濟), 안전(安全), 환경(環境) 및 사회적(社會的) 요인(要因)들 간에 합리적인 균형을 이루는 공동체항공운송정책(共同體航空運送政策)의 개발을 위한 공동항공운송정책(共同航空運送政策)의 공식화(公式化)를 요한다. 1987년의 항공(航空)에 관한 일괄입법조치, 1989년의 제 2 차 항공(航空)에 관한 일괄입법조치 및 1992년 이후로 예정된 제 3 차 일괄입법조치에 따라 EC는 초국가적(超國家的)인 항공운송(航空運送) 분야에 있어서의 개방적인 국제경쟁(國際競爭)을 본격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일괄규칙은 EC와 제(第) 3 국(國)들간의 관계에 중대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EC항공운송정책(航空運送政策)이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의 상업운선(商業運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는 모든 아시아 국가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론적으로 말해서, 역내공동체(域內共同體) 항공운송(航空運送)의 자유화는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치외법권적(治外法權的)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로마조약(條約)과 유럽사법재판소(司法裁判所)에 의해 형성된 원칙들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은 무차별원칙(無差別原則), 설립(設立)의 자유(自由), 서어비스의 자유(自由) 및 EEC 경쟁법(競爭法)과 같은 제(第) 3 국(國)의 국제항공운송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새로운 원칙과 법률의 출현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1992년 이후의 종합적인 공동체항공운송정책(共同體航空運送政策)의 작업에는 항공운화(航空運貨), 시장진출(市場進出), 제(第)3 및 제(第)4의 운륜자유권(運輪自由權), 복수지정(複數指定), 제(第)5의 자유(自由), 캐보타지(cabotage), 손상(損傷)(derogation), 공급량(供給量), 편수(便數), 불정기운항(不定期運航) 및 기타 부문항공기소음(部門航空機騷音), 최저(最低) 안전(安全) 및 사회적(社會的) 조치(措置), 항공종사자면허(航空從事者免許), 감항증명(堪航證明), 운항시간제도(運航時間制度), 컴퓨터 예약제도(豫約制度), 탑승거절보상의 공동최저기준(共同最低基準), 공중혼잡(空中混雜), 공항이착륙시간할당법(空港離着陸時間割當法), 공항시설(空港施設), 정부지원(政府支援 등). 이와 같은 모든 공동체항공운송정책(共同體航空運送政策)의 주요문제들은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여러 각도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들 가운데, 제(第) 3국(國) 항공사(航空社)들의 역내공동체(域內共同體) 항로(航路)의 접근, 공급량(供給量), 운임(運賃), 제(第)5의 자유(自由) 및 캐보타지가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관심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아시아 항공사(航空社)들의 EEC시장(市場)에로의 상업운항(商業運航)이 다소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첫째, 복수(複數) 목적지(目的地) 문제이다. 둘째, 항공(航空)서어비스의 운임(運賃) 및 료솔(料率)문제이다. 셋째, 항공운송구역(航空運送區域)에서의 사업에 대한 경쟁원칙의 적용 문제이다. 넷째, 제(第)5 자유(自由) 운륜권(運輪權) 문제이다. 다섯째, 캐보타지(cabotage)문제이다. 끝으로, 유럽 항공사(航空社)들간의 합병(合倂)의 문제이다. 결론적으로 유럽공동체항공운송(共同體航空運送)의 자유화는 1993년까지 공동체(共同體) 역내(域內)와 역외(域外)의 항공운송법제(航空運送法制)의 현재의 모습을 극적으로 바꾸어 놓을 정도로 가속화(加速化)되고 있다. 한편 항공운송(航空運送)의 자유화(自由化)에 대한 EC의 제의는 대담하고 급진적이다. 반면에 그것이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미칠 영향 또한 중대하다. 의심할 여지없이 항공사(航空社)와 고객들의 이익면에서 EEC와 비(非)EEC국가들의 항공운송산업(航空運送産業)에서 더욱 경제적으로 경쟁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세계 항공운송산업(航空運送産業) 운영(運營)의 대부분을 정부가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것은 정말로 국제항공운송(國際航空運送)의 발전에 불필요한 장애를 일으킨다. 따라서 國內航空社와 전세계 항공사(航空社)들간의 이해관계의 조화를 협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마도 아시아 항공사(航空社)들간의 지역적 협조가 미국(美國)뿐만 아니라 유럽으로 부터의 압력 증가에 대해 균형을 이루는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Feasibility Study on Rail-Ferry Systems: Focused on Sino-Korea Transport Routes (한.중간 열차페리운행에 관한 연구 - 수도권항만을 중심으로 -)

  • Park, Chang-Ho;Ahn, Seung-Bum;Kim, Hyeong-Il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2
    • /
    • pp.87-107
    • /
    • 2007
  • A rapid growth of interregional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requires new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ports. Currently, there is no rail-ferry system between China and Korea, however, a rapid growth of car-ferry industry shows possibilities. Several candidate cities and regions in East part of China and West part of Korea are selected. We identified times in clearance and station-to-station services as major benefits. We compared three transport modes including candidate cities and regions: container ships, car-ferry and rail-ferry. We us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an evaluation method to select most competitive rail-ferry routes between two countries. We also used 7-point Likert scales to find out bottlenecks and factors to introduce rail-ferry services as other questionnaires. As a result, Rail Ferry System(RFS) is a little expensive due to wagon loading efficiency in cargo hold of the ship compared to Car Ferry System or Liner Shipping System. But RFS is recommendable in case of Block Train transport between Korea and EU area by may of TCR and TSR comparing Car Ferry System, because it can reduce total transport cost and connecting procedure at border lines of passing countries.

  • PDF

A Study on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Supply Chain Tracking Dat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팬데믹시기 물류성과지수와 공급망 추적 데이터에 대한 고찰)

  • Ahn, TaeK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9 no.3
    • /
    • pp.191-210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logistics and supply chains, leading to major discrepancies in logistics performance across countries worldwide. Through an examination of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 supply chain tracking data,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global supply chains and logistics environments during the pandemic. The analysis of 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showed that over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developed nations, showed improvements in metrics such as customs and border management efficiency, the quality of trade and transport infrastructure, capability and quality of logistics services, and cargo tracking abilities. However, the competitive pricing feasibility of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and the on-time delivery frequency of goods saw a decline due to the pandemic's effects. The supply chain tracking data revealed that ports in Asian countries demonstrated high processing efficiency. In contrast,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took comparatively more time. Particularly for air cargo, parcels, and express shipments, the U.S. showed relatively longer processing times, leading to logistical delays. In con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ian countries maintained relatively high efficiency in their logistics and trade environments. Conversely, the U.S. and some European countries showed delays and decreased efficiency in various metrics.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address delays and congestion, namely, the deceleration of logistics processes.

A study on the principal cost of district heating transportation system related to low supply temperature (공급온도 저하에 따른 지역난방 배관망 기초비용에 관한 연구)

  • 김석순;정찬교;최기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11a
    • /
    • pp.82-87
    • /
    • 1995
  • 국내 지역난방의 역사는 서구의 역사와 비교하여 짧기 때문에 아직 기술 도입의 의존도가 높고 설계에 있어서도 서구의 설계기준을 그대로 도입하여 지역난방 시스템을 운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시스템설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열원시설과 수용가 시설사이에서 열을 운송하는 열운송시설, 즉 배관망(이후 배관망으로 칭한다.)에서의 공급 및 회수온도가 유럽의 대류난방방식에 따라 설계되어 높게 설정되어 있다. 공급 및 회수온도가 높다는 것은 열운송시 열손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정 배관망 모델을 선정하여 공급 및 회수온도를 낮추어 운전할 때 발생되는 비용변화를 기초로 공급 및 회수온도 저하운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배관망에서 공급 및 회수온도를 동일 구배로 낮추는 것이 년간 총 비용을 감소시키므로, 운전온도의 저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21세기 국제항공정책 방향

  • 정일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52-452
    • /
    • 1998
  • 1. 세계 항공시장의 동향 ○ 항공운송산업의 규제완화 및 항공자유화 추세의 확산 -78년 미국의 규제완화 이후 유럽, 대양주, 아시아 등으로 파급 ○ 미국의 항공자유의 정책(Open skies Policy)은 EU의 역대 완전자유화와 함께 세계항공시장의 자유화 촉진 ○ 항공사간 전략적 제휴의 확산 -British Connection, Star Alliance, Southern Comfort, Dutch Treat 등 4대 범세계적 제휴가 결성 또는 추진 중. 2. 우리나라 항공운송산업의 현황 ○ 세계 10위권 항공운송국가로 성장 -화물 세계5위, 여객 11위(97 ICAO통계) -김포공항은 97년 중 36.5백만명 처리로 세계9위 차지 ○ IMF체계의 영향과 경영수지 변화 추이 -98년 내국인 출국자는 감소하였으나, 외국인 관광객은 증가(10.8%) * 98. 1∼8전년대비 수송수요 국제선 17%, 국내선 26% 감소 -97년 양 항공사 적자규모 약 4,000억원으로 대폭 증가, 98상반기 회복추세. 3. 21세기 국제항공정책 방향 ○ 적극적인 항공시장 개방정책 추진과 역내 주요도시간 셔틀화 ○ 세계 주요 항공사와의 전략적 제휴를 지원하여 세계항공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 * KAL-이, AAR-AA -인천국제공항의 HUB화 추진(민간 경영기법 도입, 항공개방정책 등) ○ 항공사가 최적의 노선망과 경제성을 갖도록 하는 적정 성장방안 강구 ○ 선진국 수준의 획기적 항공안정 체계 확립

  • PDF

Analysis for Circumstance of Maritime Transport in the Chines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towards Sustainable New Northern Policy

  • Junghwan Choi;Sangseop L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4
    • /
    • pp.121-131
    • /
    • 2023
  • The Chinese thre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 Heilongjiang, Liaoning, and Jilin - hold significant geographical, geopolitical, and commercial importance due to their location allowing for cross-border trade and transportation with North Korea. These provinces are crucial for establishing a complex Eurasian logistics network in line with South Korea's new northern policy. The Chinese thre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as this region is known, boasts excellent maritime transportation links between South Korea, China, and North Korea, making it an logistics hub for transporting goods to Eurasia and Europe through multimodal transpor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ecuring a logistics hub area by fostering cooperation and friendly relations with China's thre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which are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New Northern Policy. In particular, the study aims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trade with these region and freight volume transported by ships and recommend political advice for securing logistics hub and revitalizing maritime transport. As the policy suggestion,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logistics hub by implementing joint port operations, constructing port infrastructure jointly, and operating shipping companies together. Additionally, we propose ways to revitalize the maritime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nvolves expanding cultural exchanges and developing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