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량제어

검색결과 784건 처리시간 0.035초

자발가압 아산화질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제어 내탄도 해석 및 실험적 검증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Thrust Modulation for Hybrid Rocket Using Self-Pressurizing Nitrous Oxide)

  • 한승주;문희장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7-5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Whitmore와 Chandler의 모델을 기반으로 아산화질소를 사용하는 blow-down 방식의 하이브리드 로켓의 유량제어를 통한 추력제어 및 내탄도 해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량제어가 포함된 아산화질소의 탱크 내 거동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와 실험결과의 일치도가 상당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력제어 내탄도 해석의 검증을 위하여 500 N급 하이브리드 로켓을 이용한 지상연소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연소실 압력 및 추력 모두 실험결과와 해석결과가 상당히 일치함을 확인하여 추력제어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였다.

비례유량제어밸브 위치제어기 자동조정 (Auto Tuning of Position Controller for Proportional Flow Control Solenoid Valve)

  • 정규홍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7호
    • /
    • pp.797-803
    • /
    • 2012
  • 비례솔레노이드밸브는 코일전류에 비례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밸브 변위를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는 밸브이다. 대용량 비례유량제어밸브는 발전소나 화학 플랜트에서 물, 스팀, 가스 등과 같은 공정유체의 대용량 유량제어에 사용되며 공압이나 모터를 이용하는 밸브에 비하여 우수한 응답성능과 소형화의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비례제어밸브를 대상으로 밸브의 동적 특성을 식별한 후 목표 성능이 만족되도록 위치제어기의 비례적분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설계하였다. 동특성 식별은 릴레이 피드백을 통하여 한계 안정 상태에서의 임계이득과 임계주기로 파악하였으며, 비례적분이득 결정에는 Ziegler-Nichols 방법을 적용하였다. 구현된 기능은 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밸브 작동점과 릴레이 제어기 변수가 자동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버터의 전동기회로에의 적용과 유의점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4호통권112호
    • /
    • pp.99-103
    • /
    • 1986
  • 인버터는 전동기의 전원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표준 유도전동기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산업설비의 전동기 속도제어 또는 유량제어에 의한 에너지절약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최근의 저가격화도 수반되어 그 보급이 현저하다. 그런데 인버터 사용시에는 통상의 전동기 운전시와는 다른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적용할 때에는 이와 같은 상황을 잘 이해하여 적절하게 적용해야 된다. 여기서는 인버터의 전동기 회로에의 적용상황의 개요와 사용할 때의 유의사항에 대하여 해설한다.

  • PDF

액상식품의 연속살균을 위한 공정감시 및 제어장치 개발 (Development of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 Flow Sterilizing of Foods in Liquid Phase)

  • 안용구;홍지향;고학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9-394
    • /
    • 2002
  • 1) HTST공정에 적합한 공정감시 및 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일련의 모든 프로그램은 G언어의 일종인 Labview 5.1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상에는 온도, 압력, 유량을 표시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창을 마련하여 장치내부의 상태를 쉽게 파악학 수 있도록 하였다. 2) 살균온도를 9$0^{\circ}C$로 설정하였을 때 온도제어 오차는 0.05$^{\circ}C$였으며 이것은 Negiz와 Cinar(1995)의 온도제어 오차 0.22$^{\circ}C$보다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3), 운전중 원료의 과살균을 방지하지 하기 위해 각 각의 경우에 스팀온도를 제어하였고 목표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각 유량과 초기온도별 스팀온도를 구하였다. 4) 본 연구의 이 후 과제로는 유량의 변화에 따른 홀딩튜브의 길이와 살균시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실제 HTST공정에 적용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링을 구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자제어 장치를 이용한 세라믹 파이프의 온수제어기 개발 (A Controller Development of Water Heating in a Ceramic Pipe Using Electronics Control System)

  • 이정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717-722
    • /
    • 2011
  • 본 논문은 원통형 세라믹관에서 온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 및 수량으로 제어하고자 전자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순간온수기의 구조는 유입되는 온수가 원통형 세라믹 히터를 통하여 열량을 공급하여 온도를 제어하고자 설계하였고, 또한 수량센서와 임펠러를 이용한 수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순간온수의 제어방법은 유입되는 유량에 열량을 공급하는 원통형 세라믹 히터의 수학적인 모델링을 수립하여 제어기 적용하였고, 이에 대한 실험결과는 설정온도에 따라 제어가 잘 적용되어, 효율적이고 실용성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원통형 세라믹 순간온수기는 향후 실용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구조와 제어 방법을 제시하였다.

뇌압 펄스에 의한 션트밸브의 압력-유량제어 특성의 변화 (Changes in The Pressure-Flow Control Characteristics of Shunt Valves by Intracranial Pressure Pulsation)

  • 홍이송;이종선;장종윤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1-395
    • /
    • 2002
  • 수두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머리에 시술 되는 션트밸브가 받는 뇌압 펄스가 밸브의 유량조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션트밸브를 통한 유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밸브 다이아프램이 형성하는 유량 오리피스를 모델링 하여 맥동압력과 변동하는 압력에 의한 다이아프램의 움직임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압력 펄스와 이에 따른 다이아프램의 움직임에 의하여 유량이 40% 이상 증가함을 보였다. 이 결과는, 뇌실에 시술 되는 션트밸브의 압력-유량 조절특성이 제조 직후 맥동이 없는 유량을 공급하는 시린지 펌프를 사용하여 구한 실험 결과와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발전소 터빈제어 검증용 시뮬레이터의 유량 제어밸브 모델 구현 (Implementation of a Control Valve Model in Simulator to Test a Turbine Control System)

  • 우주희;김종안;최인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80_1681
    • /
    • 2009
  • 복잡한 이론적인 지식이 없어도 대상 발전소의 운전데이터를 밸브의 유량특성 관계 값에 지정함으로써 쉽게 모델링할 수 있도록 터빈제어 밸브 모델을 구현하였다. 또한 제어밸브의 여러 가지 동작 특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모델을 사용하여 직접 터빈제어시스템과 연계하여 모의시험 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정밀 제어 글로브 밸브의 유동해석 및 실험적 연구 (Flow Analysis and Experimental Study of Globe Valve for Precision Control)

  • 최지원;박순형;이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734-739
    • /
    • 2016
  • 선형으로 움직이는 글로브 밸브의 목적은 주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 있으며, 디스크의 움직임으로 인해서 유량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은 유량계수를 예측하기 위해서 전산유동해석 프로그램인 ANSYS-CFX로 유동해석을 진행 하였고 본 해석에서 사용되는 글로브 밸브 모델을 시제품과 동일한 형상의 크기로 설계하였다. 유량계수는 밸브 전개 시 $16.5^{\circ}C$의 맑은 물이 전후의 압력차 1psi로 흐를 때 그때의 유량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밸브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밸브의 유량계수와 유량을 해석을 통해서 얻어낼 수 있었고, 그 해석으로 인해서 분당 0~0.1gal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정밀제어 글로브 밸브를 개발 할 수 있었다. 유동해석과 실험의 결과로 유량계수를 서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로 인해서 유량계수의 오차율이 매우 작음을 확인하였고,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실험 없이 해석만으로 충분히 유량계수의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중앙난방시스템의 유량제어방식에 따른 제어특성 연구 (Control Characteristics with Flow Rate Control Methods in Central Heating System)

  • 송재엽;안병천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32-37
    • /
    • 2011
  • In this study, control characteristics and energy performance with flow rate control methods were reviewed with the simulation. The heating system is classified such as fan coil unit and HVAC system currently used in buildings with valve control and pump inverter control. The simulation analysis program is made by TRNSYS ver. 15 with the actual dat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entral heating system with pump inverter control decreases electricity energy and reduces gas consumption. Inverter control method shows better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valve control one for energy saving.

스위칭 제어 모드를 이용한 유압펌프의 유량/압력/동력 제어 (Flow/Pressure/Power Control of Hydraulic Pump Utilizing Switching Control Mode)

  • 정동수;김형의
    • 유공압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8-14
    • /
    • 2007
  • The electro-hydraulic pump is usually used in testing equipments which require one control function. But until now, it is not applied to industrial equipments which are exposed to severe working environment and require various control functions.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which controls continuously flow, pressure and power by utilizing switching control mode. Mathematical model is developed from the continuity equation for the pressurized control volume and the torque balance for the swash plate motion. To simplify the model we make the linear state equation by differentiating the nonlinear model. We analyze the stability and disturbance by using the state variable model. Finally, we review the control performances of flow, pressure and power by tests using PID controll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