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량계측

Search Result 47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Flame Formation of Ultrasonically-atomized Liquid-fuel Injected through a Slit-jet Nozzle (Slit-jet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초음파 무화 액체연료 화염의 형성)

  • Kim, Min Sung;Kim, Jeo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1 no.1
    • /
    • pp.17-25
    • /
    • 2017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for the combustion-field visualization of the burner which burns the liquid hydrocarbon fuel atomized by an ultrasonic oscillator. Configurations of the flame and temperature gradient were caught by both high-speed camera and thermo-graphic camera, and those images were analyzed in detail through a post-processing. In addition, the fuel consumption was measured using the balance during the combustion reaction. As a result, the consumption of atomized fuel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flow-rate of carrier-gas, but any correlation between the air/fuel ratio and carrier-gas flow-rate was not found at the low flow-rate condition. Also, the combustion-field grew and reaction-temperature rose due to the strengthening of combustion reaction with the increasing flow-rate of carrier-gas and power consumption of ultrasonic oscillator.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stream Flow by Downstream Weir with Gates Operation (하류 보 운영에 따른 상류 흐름 특성 변화 연구)

  • Park, Jun Su;Seol, Myung Su;Lee, Chu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2-272
    • /
    • 2019
  • 보는 수로나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고 취수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는 하천 구조물이다. 일반적인 보(고정보)는 상시 담수 되어 농업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의 취수원으로 활용되지만, 최근에 설치되는 보(가동보)들은 수문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의 운영은 보 상류의 유속, 수심, 흐름 특성, 하천 형상 등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보 상류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리학적 영향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천 유역에 위치한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를 대상으로 하류 900m에 위치한 가동보 수문 운영 조건에 따른 보 상류부의 수위, 유속, 수심, 흐름 특성을 조사하고 가동보의 수문 개방과 폐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동보는 상시 폐쇄되어 있으며, 강우 발생 시에만 일정 수위 이상에서 자동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30회의 수위관측 및 유량측정을 하였다. 가동보 운영에 따른 수위, 유속, 흐름 특성 변화와 유량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광주시청 및 광주환경공단의 협조 요청을 통해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를 기준으로 상류 약 50m와 하류 약 420m에 측정 위치를 선정하여 동시 유량측정을 하였다. 또한 가동보 운영에 따른 수면경사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를 기준으로 상류 약 50m, 10m, 5m, 하류 약 420m, 500m, 900m에 각각 수위표를 설치하여 총 6회 수면경사를 계측하였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에서는 보 수문 운영에 따라 수리학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흐름 특성 변화를 반영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River Main Flow Direction Search Method using Spatio-Temporal Volume analysis (시공간체적 분석법을 활용한 하천 주흐름 방향 탐색방법의 비교 분석 및 적용성 평가)

  • Lee, Yun Ho;Yu, Kwon Kyu;Yoon, Byung Man;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5-15
    • /
    • 2022
  • 우리나라 홍수 발생은 강수량이 집중되는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어 홍수피해 방지에 주의가 필요하다. 보와 제방 등 이러한 홍수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구조물에 설계를 위해서는 하천의 유량 조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홍수기 직접적인 유량 조사는 안전상의 이유로 거의 이루어지지지 않고 있으며,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유량 관계를 만들어 유량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 규모의 하천의 경우 하도 경사가 급해 사류가 발생하거나 하도 단면이 급변하는 경우가 있어 수위-유량 관계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에 진입하지 않고 유속을 측정 할 수 있는 영상유속계와 같이 흐름 영상을 사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영상유속계의 측정 방법중 Spatio Temporal Image(시공간 영상)을 사용하는 방법은 일정시간의 시간평균 유속을 산정할 수 있고 한 장의 시공간 영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유속 산정에 걸리는 시간이 작은 장점이 있지만 영상 내 흐름 방향을 정확히 설정하지 못하면 오차가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주 흐름 방향을 정확히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서 시공간 체적을 만들어 주흐름 방향을 찾아내는 기법들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안동 하천실험센터의 실규모 하천수로에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고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수로에 추적자를 살포하여 영상으로 녹화하였으며 녹화된 영상을 자기상관법과 시간적분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 흐름 방향을 판별하였다. 또한 두 방법을 통해 결정된 주흐름 방향을 적용하여 시공간 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속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주흐름 방향을 산정하는데 생기는 오차가 유속 계산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하천에서 시공간 영상을 활용한 표면영상 유속계측 방법을 활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on Gam Stream Watershed Using Clark Unit Hydrograph (Clark 단위도법을 이용한 감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

  • Bok, Jung-Soo;Jung, Dae-Jin;Kim, Yu-Ri;Park, Bong-Ji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15-1919
    • /
    • 2007
  • 하천관리 및 수공구조물의 설계 등을 위한 빈도별 홍수량 산정 시 이용되는 방법에는 Clark 단위도법, Snyder 단위도법, KICT 단위도법 등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합성단위도법인 Clark 단위도법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꼽을 수 있으나, Clark 단위도법 매개변수인 집중시간$(T_c)$과 저류상수(K)를 추정하는 것은 단순하지 않다. Clark 단위도법의 매개변수 추정은 계측 유역인 경우와 미계측 유역인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미계측 유역의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홍수량을 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천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김천수위표 지점을 유출지점으로 선정하여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호우사상은 김천수위국의 수위-유량 곡선식으로 유출량의 검정이 가능한 년도를 고려하여 1998${\sim}$2005년 사이의 호우사상 중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부항2와 김천 강우관측소의 시강우 자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호우사상은 1999년, 2002년, 2004년에 대한 총 6개의 시우량 자료로 WAMIS(국가수자원종합정보시스템)와 한강홍수통제소(www.hrfco.go.kr)의 자료실에서 제공하는 한국수문조사연보 자료를 이용하였다. 선정된 호우사상과 WMS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역면적 및 강우관측소 별 Thiessen 가중계수를 이용하여 HEC-1모형의 최적화기법으로 Clark 단위도법의 집중시간$(T_c)$과 저류상수(K)를 산정하였으며, 계측유역의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방법 중 저류방정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저류상수를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집중시간의 경우 1999년과 2002년에 비해 2004년의 결과값이 작게 산정되었으며, 저류상수의 경우 2004년의 결과값이 크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저류방정식을 이용하여 저류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산정한 저류상수는 비교적 일관성 있게 산정되었다.

  • PDF

정온도형 열선유속계의 오차해석과 그 응용

  • 고상근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6
    • /
    • pp.512-518
    • /
    • 1991
  • TSI IFA 100 Thermal anemometer와 같이 자동화된 유속계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조정해야 하는 과열비, 인덕턴스 등과 같은 인자가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의 문제 외에도 오차를 고려해야 하는 많은 요소가 있다. 이들 중 주위 유체의 온도 변화에 대한 영향 등에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정밀계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 예로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정온도형 열선유속계 형의 공기유량계는 주위온도 보상을 위한 회로가 내장되어 동절기와 하절기 사이의 온도차를 보상하고 있다.

  • PDF

Water Count Management System of Water Service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

  • Seak-Jae Lee;Jeong-Hee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304-306
    • /
    • 2008
  • 일상 생활 및 제반 활동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사회 기반 시설은 상수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상수도 관리의 기본이 되는 유량의 계측과 분배, 관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이 되는 상수도를 최적으로 관리하는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의 개발은 국민생활의 질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양질의 도시문화시설제공 및 수요자에 대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수도 기반 시설의 설계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Stage-Discharge Rating Curve Model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하천 수위-유량곡선식 개선 및 모형개발)

  • Chang, Ki-Hwan;Lee, Jae-H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4 s.153
    • /
    • pp.271-280
    • /
    • 200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a new type of stage-discharge rating curve ($Q=p(h-e)^{\beta}-{\gamma}$) useful for satisfying divergence, and one other seemingly irresolvable problem related to exited rating curves, while also extending this rating curve model. The problem of divergence is that during the finding of the CZF (cease-to-zero flow) parameter e and while minimizing the sum of total errors of the estimated curve, the exponential parameter ${\beta}$ become an abnormally large value. The insoluble problem is that when the value e is greater then the recorded minimum at the gauged stage, it is impossible to have a negative logarithm value (h-e). The two problems above can be satisfied by adapting the control value ${\gamma}$, which affects the reduction of ${\gamma}$ and gives us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h-e) over zero.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parameter ${\gamma}$ are very similar to that of e when conducting physical and sensitivity analyses. This system can be used towards developing a new stage-discharge rating curve for river discharge, for use in evaluating the acceptability of existing stage-discharge rating curves generated by using hydrologic analyses at all stations.

Streamflow Monitoring of Rural Small Streams for Environmental Flows Supply from Irrigation Reservoir (농촌 소하천의 농어촌환경용수 공급을 위한 하천유량 모니터링)

  • Kim, Sang Min;Kim, Sung Jae;Kim, Yong Wan;Park, Tae Yang;Kim, Sung Min;Park, Ki Wook;Jang, Min Wo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6
    • /
    • pp.237-24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streamflow of rural streams for investigating the status of stream depletion located downstream of irrigation reservoir. Bonghyun and Hi reservoirs area, located in Gyeongnam, Gosung-gun, Hi-myeon, were selected for study watersheds and streams. Streamflow monitoring were conducted 6 times during the paddy growing season of 2010 from May to October. Streamflow was measured for 18 stations downstream from two reservoirs with the interval of 300m to 500m, The amount of streamflow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antecedent precipitation and irrigation amount. In most observation stations, streamflow was depleted when precipitation and irrigation were not provided. Pumping from stream for irrigation and water supply for factory and irrigation return flow were also factors on streamflow. Continuous monitoring for rural streams located in downstream of reservoirs are required to quantify the status of streamflow depletion and determine the amount of environmental flows.

A Study on Optimal Parameter Selection for Health Monitoring of Turboprop Engine (PT6A-62) (터보프롭엔진(PT6A-62)의 성능저하 진단을 위한 최적 계측 변수 선정에 관한 연구)

  • 공창덕;기자영;장현수;오성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4 no.4
    • /
    • pp.87-97
    • /
    • 2000
  • A steady state performance simulation and diagnostics program for the turboprop engine (PT6A-62), which is the power plant of the first developed military basic trainer KT-1 in Republic of Korea, was developed. The developed steady state performance analysis program was evaluated with the performance data provided by the engine manufacturer and with analysis results of GASTURB program, which is well known for the performance simulation of gas turbines. Performance parameters were discussed to evaluate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gram at various cases such as altitude, flight velocity and part load variation. GPA(Gas Pass Analysis) allows engine performance deterioration to be identified at the module level in terms of reduction in component efficiencies and changes in mass flow. In order to find optimal instrument set to detect the physical faults such as fouling, erosion and corrosion, a gas path analysis approach is utiliz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wo cases for selection of optimal measurement parameters. One case was considered with the effect of instrument number by changing independent parameter number. The other case was performed with selection of independent parameter se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optimal measurement parameters selected were eight dependent variables such as shaft horsepower, fuel flow rate, compressor exit pressure and temperature, compressor turbine inlet pressure and temperature and power turbine inlet pressure and temperature.

  • PDF

Estimation of regional flow duration curve applicable to ungauged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에 적용 가능한 지역화 유황곡선 산정)

  • Jeung, Se Jin;Lee, Seung Pil;Kim, Byung 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spc1
    • /
    • pp.1183-1193
    • /
    • 2021
  • Low flow affects various fields such as river water supply management and planning, and irrigation water. A sufficient period of flow data is required to calculate the Flow Duration Curve. However, in order to calculate the Flow Duration Curve, it is essential to secure flow data for more than 30 years. However, in the case of rivers below the national river unit, there is no long-term flow data or there are observed data missing for a certain period in the middle, so there is a limit to calculating the Flow Duration Curve for each river. In the past, statistical-based methods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RIMA models were used to predict sulfur in the unmeasured watershed, but recently, the demand for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DNN technique, which is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at fits the latest paradigm. The DNN technique is a method that compensates for the shortcomings of the ANN technique, such as difficult to find optimal parameter valu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slow learning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low Duration Curve applicable to the unmeasured watershed is calculated using the DNN model.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Flow Duration Curve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multicollinearity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and input data were built into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as reviewed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