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두부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9초

Ovate Pontic을 이용한 상악 전치부 심미수복 (The Use of Ovate Pontics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A Clinical Report)

  • 최미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23-29
    • /
    • 2009
  • 1933년 Dewey와 Zugsmith가 처음 ovate pontic을 소개한 이후 1990년대 말부터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Ovate pontic은 심미적이고 위생적인 자연치의 emergence profile을 더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가 상실된 경우 발치 시기부터 ovate pontic의 형태를 가진 레진 임시수복물을 제작해 줌으로서 치간유두를 보존시켜 치간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이고 발음의 이상이 없는 최종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상실부위에서 치간유두의 상실을 최소화하고 자연치와 유사한 emergence profile을 지닌 보철물을 제작하기위해 ovate pontic을 이용하여 처치한 치험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미야타흡충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Metagonimus miyatai metacercariae and adults)

  • Jong-Yil CHAI;Younh-Je KANG;Sung-Yil CHOI;Sang-Mee GUK;Jae-Ran YU;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17-225
    • /
    • 1998
  • 미야타흡충 (Metagonimus miyatai)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자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피라미 (Zacco platypus)의 비늘에서 분리하였고, 성충은 흰쥐에 피낭유충을 감염시킨 후 1-4주에 소장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의 전체적인 외형은 요코가와흡충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복흡반은 충체 중앙으로부터 오른쪽에 위치하였다.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형 감각유두 및 제II형 감각유두가 여러 개 관찰되었다. 복흡반 앞쪽에는 끝이 5-7분지된 피극들이 빽빽하게 덮혀 있었으며, 충체 후반부의 배설공 부근에는 2-3분지된 피극으로 덮혀 있었다. 감염 1주된 성충의 경우,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I형 감각유두 7개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구흡반 내벽에는 큰 제I형 감각유두가 1쌍씩, 작은 제I형 감각유두가 2쌍씩 좌우측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피극의 분포는 피낭유충의 경우와 비슷하였으나, 분화도는 증가하여 9-11분지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감염 2-4주된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감염 1주된 성충과 대동소이하였으나, 정자가 충체 배측 표면으로 개구된 Laurer's canal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미야타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요코가와흡충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피극의 분포 및 분화도, 구흡반 주변의 감각유두 분포 등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분류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PDF

Parvatrema timondavidi (Digenea: Gymnophallidae) 피낭유충, 유약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Parvatrema timondavidi (Digenea: Gymnophallidae) according to its developmental stages)

  • 유재란;박진영;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2호
    • /
    • pp.65-74
    • /
    • 1994
  • 반지락큰입흡충 Pmpemn timondavidi(Digenea: Gynulophallidae)의 발육단계별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피낭유충은 반지락(TqvesphiEippinam)으로부터 분리하였고 유약충 및 성충은 피낭유충을 마우스에 경구 감염시킨 다음 1일. 2일 3일 및 7일째에 소장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피낭유충은 큰 구흡반과 측면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1형 및 제2형 감각유두가 밀집하여 있었으며. 측면돌기 내측에 제3형 감각유두가 관찰되었다 생식공은 복흡반 전방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였으며, 생식공 주위에 제1형 감각유두가 밀집되어 있었다 피극은 흡반의 구순과 생식공 주변을 제외한 전 충체 표피에 모두 분포하였다. 감염 1일의 유약충에서는 복흡반이 발달되어 있었고, 구순의 내연과 외연에 제1형 및 제2형 감각유두가 6개씩 관찰되었다. 복흡반 바로 전방에는 제1형 감각유두 2개가 분포하고 있었다. 생식공은 매우 작으며 주위에 제1형 감각유두 15개가 분포하였다 감염 2-7일의 충체들은 성장이 계속될수록 피극의 분 자수가 많아졌고, 생식공 위로 생식강(genital atrium)이 생겨 생식공을 덮고 있었으며, 원형질 이 분화하여 돌기와 함몰부가 많이 생겼다. 감염 2일 및 3일 된 유약충들의 구흡반 구순에는 제2형 감각유두 4개가 분포하는 것이 특이하였다. P. timondavidi는 구흡반의 감각유두 배열, 생식공 주위 의 제1형 감각유두 분포와 모양 및 복흡반 전방에 제1형 감각유두 2개의 존재 등으로 다른 Gymnophallidae과의 충체들과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건선의 조직소견과 비만세포수의 변화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istologic Findings and Variation of Number of Mast Cell in Psoriasis)

  • 문병천;최종수;김기홍;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49-57
    • /
    • 1987
  • 건선병변의 조직소견과 비만세포의 수적 변화를 비교하여 건선의 병리조직 형성 비만세포가 관여하는지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상적인 특징으로 진단된 건선 환자중 일주일 이상 전신치료를 받지 않은 6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병변의 성숙도에 따른 병리조직적인 변화 및 유두상진피와 표피직하부 진피내의 비만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건선병변에서 표피의 변화중 이상각화증과 극세포증이 초기병변과 성숙병변에서 차이를 보였다. 초기병변에서는 이상각화증이 부분적으로(mounds)나타났으나 성숙병변에서는 융합되어(confluent)나타났다. 극세포증은 초기병변에서는 경도내지 중등도의 분포를 보였고 성숙병변에서는 중등도내지 고도의 분포를 보였다. 진피의 변화중 유두종증이 초기병변과 성숙병변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초기병변에서는 정상범위에서 중등도의 분포를 보였고 성숙병변에서는 중등도내지 고도의 분포를 보였다. 2. 표피의 극세포증이 심할수록 진피의 유두종증도 심하였다. 극세포증, 유두종증, 이상각화증이 심할수록 유두부내의 비만세포의 수는 증가하였다(p<0.01). 3. 유두상 진피내의 비만세포의 수는 성숙병변에서 초기병변보다 증가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비만세포는 건선병변 형성에 직접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chinochusmus juponicus 표피 미세구조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Echinochasmus japonicus Tegument)

  • 이순형;손운목;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51-58
    • /
    • 1987
  • 극구흡충의 하나인 Echinochasmus iaponicus의 표퍼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붕어(Pseuderasbora larva)의 두부로부터 분리, 수집한 피낭유충을 Sprague-Dawley계 흰쥐에 경구 감염시킨 후 5일, 7일 및 14일에 성충을 회수하여 고정, 건조 및 순금표면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ISI-Korea의 CL-6 및 DS-130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 japonicus의 충체는 작고 통통한 표주박 모양으로 전단이 뾰족하고 후단은 등근모양이었다. 충체의 전체표면은 가로로 불연속적인 주름이 져 있었고, 자갈모양의 원형질 돌기로 덮혀 있었다. 2. 두관에는 24개의 두극이 원형질 주머니에 박혀서 일렬로 배열하였으나, 이중 양끝에서 두번 째, 네번 째의 두극은 밖으로 더 벌어져 있었다. 또한 이 배열은 두관의 등쪽 정증선에서 끊어져 있었다. 구흡반은 근육성이었고 구순에는 많은 수의 감각유두가 존재하였다.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생식공이 개구하고 있고, 동심원 모양의 복흡반은 복측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었으며 15∼17개의 II형 감각유두가 일열로 래열되어 있었다. 3. 상모양의 피극은 충체표퍼의 복측 앞쪽측면과 배측 전반부에 밀집되어 있었고, 구흡반에서 복흡반에 이르는 복측 정중면과 배측 후반부에는 분포하지 않았다. 4. 감각유두는 type I , type II 두 종류만 관찰되었으며 type I은 복측 전반부에 주로 많이 분포하였고 type II는 구흡반과 복흡반의 구술에만 주로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E. japnicus의 표퍼 미세구조가 다른 극구흡충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이 특징들이 다른 극구흡충류의 표피 미세구조 및 분류학적 연구에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높은 전압전달비를 가지는 DC-DC 부스트 컨버터 (DC-DC Boost Converter with High Voltage-transfer Ratio)

  • 박종문;유두희;이호년;정강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345-348
    • /
    • 2010
  • 기존의 부스트 컨버터는 출력 전압이 커질수록 스위치와 다이오드의 전압, 전류 스트레스가 커져 실제 사용 가능한 승압비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전압전달비를 가지는 DC-DC 부스트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커플드 인덕터 방식을 사용하여 인덕터의 턴비로 승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작은 듀티비로 높은 전압으로 승압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컨버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이론적 해석과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전북지역에서 시료채취방식에 따른 강수의 산성도 및 화학적 특성 (Acid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Collected by Auto and Manual Sampling Method in Chonbuk Area)

  • 강공언;오인교;전종남;유두철;유재웅;박경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2-373
    • /
    • 2003
  • 오늘날 강수의 오염도는 대기오염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으며, 특히 산성화된 강수는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산성비 측정망을 운영하면서 강수의 산성도 및 수용성 이온성분의 농도 측정을 수행하고 있으나 현재 강수자동채취장치와 수동채취장치를 같이 사용하고 있어 그 분석자료의 정도관리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중략)

  • PDF

중등도 치주염으로 인한 치주조직상실과 정중이개를 동반한 상악중절치에서 laminate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공강폐쇄를 얻은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Porcelain Laminate Veneers for Closing the Space in Anteriors with Moderate Periodontitis)

  • 김은하;최정한;이동환;이석형;정운호;임순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9-85
    • /
    • 2009
  • 전치부사이의 비정상적 공간이 생기는 원인은 순측소대, 악궁과 치아의 크기 부조화, 악습관, 과잉치, 치주염으로 인한 병적치아이동 등 다양하다. 이러한 일차적인 원인요소들을 먼저 제거한 후 남게 되는 공간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정치료 또는 여러가지 보철수복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보철적으로 치료할 경우, laminate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전치부를 만드는 술식은 보존적인 면에서나 심미적인 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접면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이 존재하며, 감소된 치주조직으로 인하여 치간유두의 소실이 많고 직경이 작은 치경부가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laminate를 이용하여 공간을 수복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교정적으로 치아를 이동시킴으로서 보다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중등도의 치주질환으로 인하여 치주조직이 감소된 상악중절치에서 정중이개의 양이 비교적 크고 치간유두의 소실 및 직경이 작은 치경부가 노출된 환자에서 laminate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공간폐쇄를 도모하였다.

  • PDF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구개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UMES AND FORMS OF THE PALATE FOR DECIDUOUS AND PERMANENT DENTITION)

  • 양연미;백병주;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96-70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 석고 모형을 이용하여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 및 좌측부와 우측부의 구개용적 그리고 구개 전방, 중간, 후방 부위의 좌우 및 중앙 부위의 상하 구개 곡선을 측정하여 남녀간, 좌우간, 유치열과 영구치열간의 차이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구개의 좌우 용적과 높이의 차이를 통한 구개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개(유치열과 영구치열의 남녀 각 50)의 상악 석고모형을 제작하여 각 계측점을 결정한 후 3D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표준평면과 수직평면 등을 형성하고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개용적과 구개높이는 유치열과 영구치열 남녀 모두에서 우측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았다(P<0.05). 2. 구개높이는 남자가 높게 나타났으나 영구치열의 견치 사이와 제2소구치 사이에서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였다. 3. 전후 중앙부 구개높이의 경우 남녀 모두 유치열은 유중절치 치간 유두점 에서 20mm 전후, 영구치열은 중절치 치간 유두점에서 30mm 전후지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견치 사이의 구개높이는 유견치 사이에 비하여 낮아지고 넓어졌으며, 제2소구치 사이는 제2유구치 사이보다 높아지고 넓어졌다.

  • PDF

지방부 신호교차로 사고특성분석 및 모형개발 (청주.청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Accident Models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of Cheongju and Cheongwon)

  • 박병호;유두선;양정모;이영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5-46
    • /
    • 2008
  • 본 연구는 지방부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사고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와 청원군의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다중선형, 포아송 및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분석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특성 분석을 통해 지방부 교통사고의 특성이 요인별로 파악되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4개의 사고모형이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평균차로폭차($X_2$)와 교차로간거리 ($X_{11}$)가 지방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특정변수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