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동속도

Search Result 1,96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 a Torque Converter (토크 컨버터 유동특성에 대한 연구)

  • Yoo, S.C.;Jang, S.K.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2 no.5
    • /
    • pp.20-26
    • /
    • 2008
  • 양산되는 승용차용 토크 컨버터 내부의 유동을 LDV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정량화했다. 속도비 0.4와 0.8 경우에 대한 속도 측정을 통해 임펠러 유로 중간과 출구 영역의 질량 유동율 특성을 분석했다. 측정 단면의 속도 분포는 유로의 위치와 속도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며, 특히 속도비 0.8 조건에서 임펠러 유로 중간영역 흡입면 부근의 유동은 유동박리에 의한 재순환 현상을 나타내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출구 영역에서는 흡입면을 따라 역류 현상이 발생한다. 임펠러 유로 내부의 유동은 각 영역에서 속도비에 따라 개별적 유동 특성을 보인다. 질량 유동율은 모든 속도비와 측정단면에서 주기적인 변화를 보이며, 또한 터빈의 순간적인 위치가 임펠러 유로 측정단면의 질랑 유동율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토크 컨버터 임펠러의 유로 방향 유동 특성 변화는 컨버터 설계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Laminar Pulsating Flows in a Square Duct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층류맥동유동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박길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683-169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층류맥동유동(laminar pulsating flows)의 유동특성을 이론 및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방법으로 덕트 입 구영역에서의 층류맥동유동에 대한 운동량방정식을 유도한 후 비선형인 대류항을 선형 화 시켜서 라플라스변환으로 속도분포식의 해를 구하였고,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시험 덕트 크기는 횡단면의 가로*세로가 40mm*40mm이고, 길이가 4000mm인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송풍기에 의한 공기흡입유동으로 층류진동유동을 발생하며 이들 두유동 을 합성시켜 발생한 층류맥동유동에 대하여 열선유속계의 열선신호로부터 얻어진 속도 파형을 고찰하여 덕트내의 맥동유동에 대한 임계레이놀즈수를 결정하고 속도분포를 측 정하였다. 그리고 이론적으로 얻어진 속도분포식과 열선유속계로 측정한 속도분포를 비교검토하여 정확성을 검증하고, 이들 해석결과로 부터 층류맥동유동의 입구길이(en- trance lenght)식을 결정하여 제안하였다.

Coupled Analysis of Injection Molding Filling and Fiber Orientation including In-Plane Velocity Gradient Effect (평면 속도구배 효과를 포함한 사출성형 충전유동과 섬유배향의 연계 해석)

  • 권태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6 no.2
    • /
    • pp.104-118
    • /
    • 1994
  • 단섬유 보강 플래스틱 재료의 사출성형 충전공정에서 금형재의 유동장이 섬유 배향 상태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섬유의 배향상태가 역으로 유동장에 영향 을 미친다. 충전유동과 섬유 배향의 연계해석을 위하여 단섬유에 의한 추가적인 응력을 포 함하는 Dinh과 Armstrong의 이방성 구성방정식을 충전유동의 해석에 도입하였다. 평명방향 으로의 속도구배에 의한 응력을 고려하여 새롭게 유도된 압력 지배방정식과 에너지방정식을 유한요소법과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풀고 동시에 2차배향텐서의 변화방정식을 4차 Runge-kutta 방법을 이용하여 풀었다. 절점 게이트 주변의 확장유동영역과 라인게이트를 통한 수축유동영역에서 평면방향으로의 속도구배에 의한 응력이 유동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 찰하였다. 확장유동영역에서는 평면방향으로의 속도구배에 의한 영향이 추가적인 유량으로 나타나면서 주어진 유량조건하에서 평면방향으로의 속도구배에 의한 응력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작은 압력구배를 나타냈다. 수축유동영역에서는 위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 한 경향은 섬유의 부피분율이증가하거나 모양비가 커짐에 따라 증가한다.

  • PDF

Pulsatile Flow characteristics of Non-Newtonian fluid in the Stenosed Tubes (협착관내 비뉴턴유체의 맥유동특성)

  • 유상신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8 no.1
    • /
    • pp.1-10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협착이 발생된 원관내 뉴턴유체와 비뉴턴유체의 정상 및 맥동유동특 서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였다. 본연구는 맥동유동특성에서 협착관 형상의 변화, 협착이 주기적으로 발생된 협착관에서 협착부사이의 거리와 협착부의 수가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을 검토하였다. 레이놀즈수가 일정할 때 협착이 발생된 원형관내 뉴턴유체와 비뉴턴유체의 맥동유동특성은 정상유동의 경우와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맥동유동에서는 정상유동보다 관 중앙부에서 속도분포가 훨씬 평탄하고 맥동유동의 속도분포는 감속시에 비하여 가속시에 관 중앙부의 속도분포가 더 평탄하게 나타난다. 정상유동과 맥동유동으 감속시에서는 협착부 하류의 벽면에서 재순환영역이 발생된다. 협착부의 수가 증가하면 각 협착부 주위의 속도장 은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전체 압력손실은 크게 증가한다. 협착부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경우 맥동유동속도의 국소최대치와 국소최소치의 차이가 가속시에는 거의 없지만 감속시에는 협 착부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plasma effect on fluid flow in a supersonic flow (플라즈마에 의한 초음속 유동 변화 해석)

  • Park, Sul-Ki;Cho, Hyung-Hee;Song, Ji-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9-372
    • /
    • 2009
  • A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plasma on flow characteristics in supersonic flow is studied. It is shown that change of direction and velocity magnitude of flow is appeared different in relative direction of plasma and fluid flow. The case of that direction of electrons, which are same with flow direction, the flow is accelerated, and the case of opposition, the flow is decelerated.

  • PDF

CFD Analysis of Engine Inlet Condition for BWB Airfoil using EDISON (EDISON을 이용한 BWB 익형 엔진흡기 유동 해석)

  • Lee, Min-U;Kim, Gi-Deok;Bang, Jun;Lee, Su-Gwan;Jeong, Yong-Su;Han, Jin-Su;Choe, Seong-I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57-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에서 연구 중인 Blended Wing Body(BWB) 항공기의 엔진흡기 유동을 해석하기 위해 익형과 비행조건을 변화시켜 가며 전산유체해석을 수행하였다. 엔진의 위치에 따라 엔진이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흡기에서의 유동 속도와 그 분산을 중심으로 해석한 결과 익형 표면에서는 경계층의 영향으로 엔진흡기에서 유동속도가 낮고, 속도분산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익형 아랫면에서는 높은 비행속도에서 속도분산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해석에 사용한 익형이 BWB의 동체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엔진흡기조건을 갖는지 판별하였다.

  • PDF

Examining Velocity Estimation Equations of Debris Flow Using Small-scaled Flume Experiments (소형 수로실험을 통한 토석류 유동속도 추정식 평가)

  • Eu, Song;Im, Sa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6 no.4
    • /
    • pp.424-430
    • /
    • 2017
  • With its rapid velocity and wide deposition, debris flow is a natural disaster that causes loss of human life and destruction of facility. To design effective debris barriers, impact force of debris flow should be first considered. Debris flow velocity is one of the key features to estimate the impact force of debris flow. In this study, we conducted small-scale flume experiments to analyze 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nd determine flow resistance coefficients with different slope gradients and sediment mixtures. Flow velocity significantly varied with flume slope and mixture type. Debris flow depth decreased as slope increased, but difference in depth between sediment mixtures was not significant. Among flow resistance coefficients, Chezy coefficient ($C_1$) showed not only relatively highest goodness of fit, but also constant value ($20.19m^{-1/2}\;s^{-1}$) regardless the scale of debris flow events. The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C_1$ can be most appropriately used to estimate flow velocity, the key factor of assessing impact force, in wide range of debris flow scale.

Characteristics of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and Pressure Fluctuations in Annular Fluidized Beds (Annular 유동층 반응기에서 최소유동화 속도 및 압력요동 특성)

  • Son, Sung-Mo;Kim, Uk-Yeong;Shin, Ik-Sang;Kang, Yong;Choi, Myung-Ja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4
    • /
    • pp.707-713
    • /
    • 2008
  • Characteristics of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and pressure fluctuations were investigated in an annular fluidized bed whose diameter was 0.102 m and 2.0 m in height. Effects of gas velocity, particle size and bed temperature on the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and pressure fluctuations were examined. The values of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obtained by means of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very similar each other. The correlation dimension could be a quantitative parameter for expression the resultant complex behavior of gas and solid mixture in the annular fluidized bed. The value of correlation dimens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gas velocity, fluidized particle size and temperature in the bed. The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could be determined by means of correlation dimension of pressure fluctuations as well as pressure drop in the bed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ssure fluctuations. The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particle size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bed temperature in annular fluidized beds. The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was well correlated in therms of correlation dimension as well as operating variables within experimented conditions of this study.

정4각 덕트 입구영역에서 층류정상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박길문;고영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927-936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정4각 단면덕트의 입구영역에서 층류 정상유동의 유동특성을 이론적 및 실험적인 방법으로 속도파형과 속도분포를 얻어서 유동이 발달되고 있는 유 동특성과 입구길이를 규정하였다. 이론적인 방법으로는 덕트입구영역에서 공기유동 에 대한 운동량방정식을 유도한 후, 운동량방정식 중의 비선형인 대류항을 선형화시켜 서 Laplace변환으로 속도 분포식의 해를 구하였고,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시험덕트의 크기가 40*40*4,000nm(가로*세로*높이)인 정 4각단면덕트에 송풍기로 공기를 흡입 하여 정상유동을 얻었고, 열선유속계에 의하여 속도파형과 속도분포 등의 측정한 결과 를 이론식과 비교검토하였다.

LDV Measurement of Turbulent Flow Inside the Cylinder in an Engine (엔진 실린더내 유동 LDV측정)

  • 강건용;정동수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2
    • /
    • pp.1063-1068
    • /
    • 1993
  • 왕복식엔진에서 연소과정은 실린더내 유체유동에 지배되므로 최적조건의 엔진설계를 위해서는 실린더내 유체유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소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압축말기 연소실내 난류강도는 흡입과정시 생성된 유동의 에너지가 압축과정을 거치면서 작은 스케일의 에디(eddy)로 깨지면서 발생된다. 연소과정시 이러한 에디들은 초기화염생성을 촉진 시키고 화염전파속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실린더내 유체유동에 대한 이해증진을위해 실린더내 평균속도 및 난류유동을 측정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엔진유동은 매사이 클의 유동이 엄밀히 주기적인 운동을 하지 않고, 각 사이클의 유동이 비정상유동을 하며, 유동의 생성 및 소멸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산란입자가 측정체적을 통과할 때 속도데이 터가 발생하는 LDV(laser Doppler velocimetry) 측정에 있어서 레이저빔의 산란광노이즈 감소와 산란입자의 효율적인 공급으로 데이터 발생률을 높이는 것이 어려운 점이다. 이 글에서는 엔진 유동의 LDV측정시 고려해야 할 문제점들, 실험장치구성, 그리고 데이터처리 방법과 주요측정 결과에 대해 본 연구팀에서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