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대인 놀이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유대인의 놀이를 주제로 한 기능성 게임 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ious Game Production Based on Jewish Play)

  • 이면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25-731
    • /
    • 2013
  • 현재까지 유대인들은 전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민족으로 언급되어져 왔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유대인들에 관한 연구들은 경제 생활, 자녀 양육, 가정 생활, 신앙 생활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유대인들에 관한 다양한 연구 분야들 중에서 유대인의 놀이에 관한 것을 다룬다. 놀이는 특정 시대의 의식 구조와 생활 양식을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대인의 놀이들을 연구 문헌과 인터넷을 사용하여 조사한다. 그리고, 조사된 놀이들의 역할을 기술하고 이를 기능성 게임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안을 논한다. 연구 결과,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놀이는 1) 역사와 지혜의 전승 도구, 2) 교육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체, 3) 공동체 감정 형성의 도구 4) 약속을 학습하는 도구 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유대인 놀이들을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여 생산하는 경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아동의 독서 및 놀이 행태를 반영한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considering user behavior)

  • 송소라;반영환;정지홍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901-906
    • /
    • 2009
  • 어린이 도서관은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도서관 서비스의 수준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생활 친화적 문화기반 시설인 소규모 도서관(혹은 문고)시설이다. 즉 어린이 도서관은 접근성을 가장 큰 장점으로 하여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객중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여가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또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서가를 비롯한 입식. 좌식 테이블과 의자들은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가구의 새로운 쓰임을 발견하며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어린이만의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반조사 및 어린이 도서관 방문을 통한 정황조사(Contextual Inquiry)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생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과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행태를 관찰하여 Photo Based Research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 하였다.

  • PDF

어린이집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교육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 김현영;이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4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 경험의 실제와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현실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 누리과정 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Hatch(2002)의 유형적 분석과 해석적 분석 그리고 Seidman(2006)의 면담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동일한 통합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어린이집은 보육적 관점과 안전을 더 고려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주체가 되는 자기주도적인 열린 놀이활동 연계과정에서 교육적 매칭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놀이활동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가치 파악 능력은 유아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 성장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현 누리과정의 효과적인 교육 시행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류지원 그리고 유아비율 조정의 국가적 정책 방안이 시급하다.

공공 API를 이용한 농장 분양 및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rm Sale and Learning System using the public API)

  • 박수빈;최용길;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3-535
    • /
    • 2015
  • 최근 들어 도시의 변두리 휴경지를 이용하여 가족과 함께 취미로 원예나 정원 가꾸기를 즐기는 여가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자연에서 직접 체험하고 가족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주말농장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분양 절차가 까다로우며 많은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공공 API를 이용한 농장 분양 및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주말농장을 쉽게 분양받고 관리할 수 있도록 분양 중인 농장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농장을 가꾸면서 기록할 수 있는 게시판, 앨범, 일정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농장체험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놀이 기능을 제공하여 아이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족들의 주말 농장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및 사용자 행태정보 모델링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and user behavior modeling)

  • 송소라;반영환;정지홍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38
    • /
    • 2008
  •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따라서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로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책상과 의자는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 PDF

공원 사인 디자인 체계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a Proposal of a Framework for Park's Sign Design)

  • 박은영;박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07-216
    • /
    • 2009
  • 주 5일제의 영향은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가족 유대관계 향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가족 간의 친밀함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놀이공원의 방문이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특히 공적공원의 관람은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점 이외에도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관람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의 일환인 사인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넓은 공간에서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안내표지판의 배치, 주변 환경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사인들, 전체 공원 안내사인 디자인의 일관성 부족 등 공적공원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사인디자인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공원과 사공원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한 후 사인의 종류를 분류하였으며 사인의 종류에 따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나아가서 공원 방문객의 편리성 및 공원사인에 대한 사용성과 사인디자인에 관한 기대요소를 선정하여 평가함으로써 제안하는 디자인의 객관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각 공원의 특성에 따른 각 사인 체계의 사용성 및 사용자 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기대치에 부응 할 수 있는 공적공원 및 사적공원이 나아가야 할 사인체계의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