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인계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8초

고감도 및 고선택성의 유기인계/카바메이트계 농약 검출용 바이오칩 센서 (Creating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Biochip Sensors for the Detection of Organophosphorus/carbamate Pesticides)

  • 심혜림;김수희;이재영;이혜진
    • 공업화학
    • /
    • 제20권6호
    • /
    • pp.571-580
    • /
    • 2009
  • 실시간 측정 및 이동성이 자유로운 칩 형태의 바이오센싱 원천 기술개발은 잔류 농약 검출을 비롯하여 생 유기 물질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환경과학, 식품과학, 의학진단, 신약개발 등의 연구 및 응용분야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총설에서는 유기인계/카바메이트계 농약 검출의 중요성을 토대로 최근 개발된 광학 바이오칩 센서와 이를 통해 응용된 농약검출방법에 관련한 국내 외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가능성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바이오칩 센서에 다양한 나노소재 및 마이크로 나노 공정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소형화가 용이하고, 더욱 우수한 감도와 선택성을 갖는 유기인계/카바메이트계 농약 맞춤형 나노융합 바이오칩 센서 개발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일부 농업인에서의 농약살포방식 및 보호구 착용에 따른 유기인계 농약노출평가 (Evaluation of Exposure to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ccording to Application Type and the Protective Equipment among Farmers in South Korea)

  • 이지영;노상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2-18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일부 농업인을 대상으로 유기인계 농약 노출수준과 농약살포 특성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변시료를 채취하여 GC/MSD와 G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소변 중 DMP, DMTP, DEP, DETP를 대상으로 검출률 및 노출수준을 평가 하였다. 검출률은 DMP, DMTP에서 캡이 없는 SS살포기가 캡이 있는 SS살포기보다 높았고, 보호구 착용률이 낮을수록 높았다. 노출수준은 동력 분무기가 가장 높았고, 캡이 있는 SS살포기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착용 보호구 개수가 증가할수록 노출수준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출률은 카이제곱, 노출수준 비교는 연령 및 살포방법을 보정한 GL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및 GC에 의한 농약분석에서 전처리에 대한 연구 (Studies on Pretreatment for Analysis of Pesticides by Using HPLC and GC)

  • 오보영;배준현;강준길;김연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63-669
    • /
    • 1999
  • HPLC/UV 및 GC/FPD 법을 사용하여 환경수에 존재하는 Diazinon, EPN, Fenitrothion, Phosalon 및 Phosmet 등 5종의 유기인계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전처리 과정으로 고체상추출법(SPE)과 용매추출법(LLE)을 각각 적용한 결과, 회수율과 재현성에 있어, HPLC/UV에서는 용매추출법(LLE)보다 고체상추출법(SPE)이 더 우수하였고, GC/FPD에서는 고체상추출법(SPE)보다 용매추출법(LLE)이 더 우수하였다. 또 수돗물 및 하천수(와룡천)에 일정량의 유기인계 농약을 가하여 만든 합성시료중 각 성분을 분석한 결과, SPE-HPLC/UV 법에서는 회수율이 101%, % RSD는 4.3∼8.7이었고, LLE-GC/FPD 법에서는 회수율이 100%, % RSD는 3.2∼9.5이었다. 이 결과는 두 방법 모두 유기인계 잔류농약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국내시판 살충제에 대한 미국선녀벌레의 감수성 (Susceptibility commercially of North American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안기수;이관석;이경희;송명규;임상철;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9-334
    • /
    • 2011
  •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31종 살충제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성충에 대해 직접 분무 처리한 결과, 100%의 살충 효과를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 1종(methomyl), 합성피레스로이드계 4종(${\alpha}$-cypemethrin, deltamethrin, fenpropathrin, ${\gamma}$-cyhalo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 5종(acetamiprid, clothianidin, dinotefuran, imidacloprid, thiamethoxan), 그리고 기타 약제 1종(endosulfan) 등 총 16종이었다. 분무처리에서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기주식물을 침지 처리하고 성충을 접종한 결과,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과 endosulfan 등 6종이였다. 잔효성 시험에서 유기인계인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은 처리 후 1일째까지 100%의 살충률 나타내었고, 약제처리 3일 후에 90% 이상의 약제는 fenitro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이었다.

쌀과 배추의 세척 및 가열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제거 효과 (Organophosphorus pesticides removal effect in rice and Korean Cabbages by Washing and Coo]ling)

  • 제갈성아;한영선;김성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10-415
    • /
    • 2000
  • 본 실험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용식품인 쌀과 배추의 세척과 가열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제거효과를 보기 위한 것으로 유기인계 농약 중 diazinon, fenithrithion, phenthoate, EPN 인위적으로 부착하여 세척과 가열과정의 변화에 의한 저감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의 세척에 의한 농약의 제거율은 15.5∼35.4%이었으며, 제거효과는 세척회수보다 물의 양의 영향력이 더 높았다. 2. 쌀을 세척한 후 취반과정을 거치면 농약의 제거율은 72.1∼77.8%이었다. 3. 배추의 세척, 가열과정에 의한 농약의 제거율은 각각 18.4∼41.0%, 22.8∼82.7%이었다. 4. 배추는 쌀과 같이 세척과 가열시 물의 양이 많을수록 제거효과가 높았다. 5. 우리나라의 요리 방법인 나물 무침시 배추를 삶아서 꼭 짜서 수분이 제거되면 농약의 잔존량은 더욱 낮아진다.

  • PDF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고감수성 아세틸콜린에스테라이즈의 대량생산 (Mass-Production of Acetylcholinesterase Sensitive to Organophosphosphates and Carbamates Insecticides)

  • 김영미;김소미;조문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53-360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acetylcholinesterase(AChE, EC 3.1.1.7)를 이용한 간이 잔류농약 검사법에 필요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된 AChE(MAChE)를 baculovirus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된 효소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한라산에서 채취한 초파리에서 AChE의 cDNA를 합성한 후 PCR을 이용하여 AChE의 lipid anchor부분을 제거하고 site directed mutagenesis에 의해 E107Y, F368L, L408E의 염기서열을 변화시켜 재조합된 MAChE cDNA를 합성하였고 baculovirus vector에 삽입하여 대량생산을 시도하였다. 대량 증식에 필요한 조건으로 감염횟수가 네 번일 때, 그리고 세포수가 $2{\times}10^6$ cell/ml일 때 세포의 증식과 효소의 활성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His tag을 붙여 Ni-NTA 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MAChE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효소는 실험조건하에서는 pH(3-10)와 온도$(20-50^{\circ}C)$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농약 추출액으로 methanol을 사용했을 때가 ethanol을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에 대한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재조합된 MAChE는 대만의 집파리 및 변형되지 않은 AChE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이용한 유기인계 농약의 효소적 분석 (Enzymatic Analysi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Using Cholinesterase Inhibition Activities)

  • 김정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18
    • /
    • 2001
  • 유기인계 농약에 대한 cholinesterase(ChE)활성저해 관계를 규명 하고자 in vivo와 in vitro 실험을 하였다. 병아리 혈장의 ChE 활성은 $23{\mu}mol$/min/g protein이었다. in vivo에서 terbufos의 투여량을 $LD_{50}$의 0.2배(0.362 mg/kg)와 0.5배(0.905 mg/kg)로 투여하였을 경우, 투여 15분 후에 ChE 활성이 각각 36%와 96%까지 저해되었으며 그 후 회복이 일어난다. in vitro에서 유기인계의 P에 S가 결합된 P=S구조의 phosphorodithioate와 phosphorothioate의 Ki는 $74{\sim}322\;mole^{-1}min^{-1}$로 낮았다. 그러나 P에 S가 산화되어 O가 결합된 P=O구조의 phosphate와 phosphorothiolate의 Ki는 $13898{\sim}79610\;mole^{-1}min^{-1}$로 높았다. 따라서 P=S가 P=O로 산화됨으로서 ChE의 저해도가 커져서 독성이 강해짐을 확인하였다. phosphorodithioate와 phosphorothioate형의 $pI_{50}$값은 $21{\sim}102 mg/L(ppm)$ 이었다. 그러나 phosphate와 phosphorothiolate형의 $pI_{50}$값은 $0.519{\sim}0.071$ mg/L(ppm)이었다. 즉 ChE을 이용한 enzyme-inhibition(EI)법을 유기인계 농약의 정성적 검출에 이용한다면, P=O구조인 phosphate와 phosphorothiolate형은 1ppm이하 즉 ppb단위까지 정성적 검출이 가능하다.

  • PDF

유기인계 살충제 중독환자의 사망 예측 인자로서 중성구/림프구 비율의 역할 (Role of neutrophil/lymphocyte ratio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organophosphate poisoning)

  • 정재한;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84-390
    • /
    • 2020
  • 유기인계 살충제를 음독하였을 경우 임상적으로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연구는 유기인계 살충제 음독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와 생존한 환자들의 내원 당시 중성구/림프구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사망률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전자의무기록에서 추출하였고, 2008년 1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유기인계 살충제를 음독하고 일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150명)을 생존 군(135명)과 사망 군(15명)으로 분류하고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특성(나이, 성별, 기저질환 유무, 음독 후 병원까지 걸린 시간, 음독 양), 혈액검사 결과들과 의학적 중증도에 대한 개별 변수들을 먼저 비교한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나이, 혈중 백혈구 수, 아밀라아제 농도, 크레아티닌 농도, APACHE II점수 및 중성구/림프구 비율) 들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나이, APACHE II 점수 및 중성구/림프구 비율이 사망 군에서 생존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 중 중성구/림프구 비율은 응급실에 내원하면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전혈 검사를 통해 30분 이내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예측 인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사망을 예측하는 도구로 중성구/림프구 비율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치가 10 이상으로 높은 경우 환자가 사망할 확률이 높음을 인지하고 집중 감시 및 치료를 해야 할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