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인계농약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식품 중 유기인계 잔류농약의 위해성 평가 (Reduction Factors and Risk Assessment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Korean Foods)

  • 이미경;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0-248
    • /
    • 1997
  • 유기인계 농약의 조리 및 가공에 의한 제거율 데이타를 총정리한 결과 식품의 수세에 의해서 평균 45%, 세제에 의한 세척에 의해 56%, 과일의 껍질 벗기기에 의해 91%, 채소의 데치기 및 삶기에 의해 51%, 곡류의 도정에 의해 76%, 가공에 의해 60%가 제거되었다. 한국인의 식품 섭취량과 잔류허용기준에 의하여 농약의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을 산정한 결과, 조사된 11가지 농약중 4가지가 1인당 1일 섭취허용량(ADI)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섭취량과 잔류농약 모니터링 데이터에 의하여 추정섭취량(EDI)을 산정한 결과, 유기인계 농약의 독성을 부가적(additive effect)인 것으로 가정한 ADI 대비율은 17.2%로 나타났다. 개별 농약성분의 ADI 대비율은 diazinon 6.1%, fenthion 5.8%, fenitrotion 3.3%로 나타났고 그 이외의 농약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EDI에 감소계수를 감안한 결과 유기인계 농약성분은 조리 및 가공에 의해 50% 이상이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유기인계 농약 전체에 대해 한국인은 ADI의 23% 수준에서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준은 그 위해성이 문제되지는 않지만 체계적인 위해평가를 시도해야 할 때라고 판단된다.

  • PDF

과채류 섭취를 통한 유기인계 농약의 급성 및 만성노출평가 (Acute and Chronic Exposure Assessment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through the Consumption of Fruit Vegetables)

  • 박병준;길근환;손경애;임건재;윤현주;박경훈;김두호;임양빈;백민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0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과채류 8작물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량을 모니터링 한 후 급성 및 만성 노출평가를 시행하고 독성등가치를 이용하여 누적 및 통합노출량을 산출하고 그 위해성을 확인하였다. 과채류 8종에서 검출된 유기인계 농약은 chlorpyrifos, EPN, methidathion, phosphamidon 4종이었다. 급성평가인 NESTI의 누적량은 가지, 토마토, 호박, 오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성 노출평가의 제1단계로 과채류 8종의 총 TMDI는 ADI의 76.14%에 해당하였으며, 만성 노출평가의 제2단계인 NEDI의 총 노출량은 ADI 대비 13.949%에 해당하였다. 만성 노출평가의 제3단계로 과채류 8종 섭취에 따른 노출량을 확률적으로 평가한 결과, 총 노출량이 ADI 대비 0.0001%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우리나라 일반인이 과채류 8종을 섭취함으로써 유기인계 농약에 노출되는 수준은 매우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대상작물을 농산물 전체로 확대하고 대상집단을 어린이와 같은 subgroup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수슬러지의 토양개량재 적용시 유기인계 농약의 흡착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pplying Sewage Sludge to Soil Amendment)

  • 임은진;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95-103
    • /
    • 2004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토양개량재로 적용에 따른 세 가지 유기인계 농약 Diazinon, Fenitrothion, Chlorpyrifos의 흡착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유기인계 농약 흡착시험 결과, 농약 흡착 등온식은 Freundlich 식이 잘 맞았다. Freundlich 상수 중 하나인 N은 모든 농약에서 1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Freundlich 상수값인 N 값은 감소하였다. 또한 Freundlich식에서 흡착능을 나타내는 K값은 농약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토양에 슬러지를 첨가한 시료에서는(Soil-Sludge) 토양내 유기물 함량의 증가로 농약 흡착량은 슬러지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A-Soil)에 비해 2∼4배 정도 증가하였다. 토양층을 모사한 토양 컬럼에서 농약의 용출 특성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큰 농약일수록 용출 비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에 슬러지가 첨가됨에 따라 토양내 유기물 함량 증가하면 토양에서 농약 흡착량이 증가되어 농약이 토양하층으로 침투가 억제, 농약의 용탈 정도가 감소하였다.

일부 농업인에서의 농약살포방식 및 보호구 착용에 따른 유기인계 농약노출평가 (Evaluation of Exposure to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ccording to Application Type and the Protective Equipment among Farmers in South Korea)

  • 이지영;노상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2-18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일부 농업인을 대상으로 유기인계 농약 노출수준과 농약살포 특성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변시료를 채취하여 GC/MSD와 G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소변 중 DMP, DMTP, DEP, DETP를 대상으로 검출률 및 노출수준을 평가 하였다. 검출률은 DMP, DMTP에서 캡이 없는 SS살포기가 캡이 있는 SS살포기보다 높았고, 보호구 착용률이 낮을수록 높았다. 노출수준은 동력 분무기가 가장 높았고, 캡이 있는 SS살포기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착용 보호구 개수가 증가할수록 노출수준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출률은 카이제곱, 노출수준 비교는 연령 및 살포방법을 보정한 GL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쌀과 배추의 세척 및 가열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제거 효과 (Organophosphorus pesticides removal effect in rice and Korean Cabbages by Washing and Coo]ling)

  • 제갈성아;한영선;김성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10-415
    • /
    • 2000
  • 본 실험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용식품인 쌀과 배추의 세척과 가열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제거효과를 보기 위한 것으로 유기인계 농약 중 diazinon, fenithrithion, phenthoate, EPN 인위적으로 부착하여 세척과 가열과정의 변화에 의한 저감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의 세척에 의한 농약의 제거율은 15.5∼35.4%이었으며, 제거효과는 세척회수보다 물의 양의 영향력이 더 높았다. 2. 쌀을 세척한 후 취반과정을 거치면 농약의 제거율은 72.1∼77.8%이었다. 3. 배추의 세척, 가열과정에 의한 농약의 제거율은 각각 18.4∼41.0%, 22.8∼82.7%이었다. 4. 배추는 쌀과 같이 세척과 가열시 물의 양이 많을수록 제거효과가 높았다. 5. 우리나라의 요리 방법인 나물 무침시 배추를 삶아서 꼭 짜서 수분이 제거되면 농약의 잔존량은 더욱 낮아진다.

  • PDF

한국인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식이섭취량 추정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by the Korean Population in 1986-1990)

  • 이서래;이미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5
    • /
    • 1994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유기인계농약 11종에 대한 한국인의 식이섭취량을 농산물중 잔류량과 식품계수로 부터 산정한 결과 1인당 1일 $31\;{\mu}g$ 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 비율은 곡류 56%, 채소 23%, 과일 14%, 두류 기타 7%이었다. ADI 값에 대한 식이섭취량 비율을 보면 diazinon 6.1%, fenthion 5.8%, fenitrothion 3.3%, EPN 1.5%로 나타났고 11종 농약의 성분별 평균은 1.7%에 불과하였으나 모든 성분에 대한 합계치는 18.7%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유기인계의 농약의 사용실태 하에서는 농산물중의 농약잔류가 한국인의 국민건강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체계적인 섭취량 평가에 착수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감도 및 고선택성의 유기인계/카바메이트계 농약 검출용 바이오칩 센서 (Creating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Biochip Sensors for the Detection of Organophosphorus/carbamate Pesticides)

  • 심혜림;김수희;이재영;이혜진
    • 공업화학
    • /
    • 제20권6호
    • /
    • pp.571-580
    • /
    • 2009
  • 실시간 측정 및 이동성이 자유로운 칩 형태의 바이오센싱 원천 기술개발은 잔류 농약 검출을 비롯하여 생 유기 물질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환경과학, 식품과학, 의학진단, 신약개발 등의 연구 및 응용분야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총설에서는 유기인계/카바메이트계 농약 검출의 중요성을 토대로 최근 개발된 광학 바이오칩 센서와 이를 통해 응용된 농약검출방법에 관련한 국내 외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가능성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바이오칩 센서에 다양한 나노소재 및 마이크로 나노 공정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소형화가 용이하고, 더욱 우수한 감도와 선택성을 갖는 유기인계/카바메이트계 농약 맞춤형 나노융합 바이오칩 센서 개발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Hydroxy-5-nitrobenzoic acid와 3-hydroxy-4-nitrobenzoic acid의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유도체 합성 및 생물활성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organophosphate and carbamate compounds derived from 2-hydroxy-5-nitrobenzoic acid and 3-hydroxy-4-nitrobenzoic acid)

  • 최달순;경석헌;권오경;성기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17
    • /
    • 1998
  • 버드나무 껍질중의 배당체인 salicin으로부터 유래된 salicylic acid와 그 유사화합물인 3-hydroxy benzoic acid의 질산화된 중간체를 출발물질로 하여 몇몇의 알콜과 에스테르화반응을 거쳐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화합물의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전구체의 수산기에 diethylchlorophosphate와 methyl isocyanate를 반응시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11종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은 살충, 살균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유기인계 화합물의 벼멸구에 대한 활성은 500 ppm의 농도에서 O-(2-carbomethoxy-4-nitro phenyl) O,O-diethylphosphate 화합물이 96%의 살충력을 보였다. 반면 carbamate 화합물의 경우는 500ppm농도에서 살충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살균효과는 유기인계 화합물인 경우 도열병에 대해서 ester에 관계없이 250 ppm농도에서 95%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며, 그 이외의 병원균에서는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