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염료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2초

Quinacridone을 첨가시킨 SnO2가 도핑된 TiO2 분말의 광촉매 특성 (Photoactivity of SnO2-Doped TiO2 Powder Sensitized with Quinacridone)

  • 정미원;곽윤정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650-653
    • /
    • 2007
  • $SnO_2$가 도핑된 $TiO_2$ 분말을 tin (IV) bis(acetylacetonate) dichloride와 titanium diisopropoxide bis(acetylacetonate)를 출발물질로, 유기염료인 quinacridone을 첨가하여 합성하였다. 반응 전후 염료의 구조를 FT-IR로 관찰하였고, 입자의 모양과 형태 및 결정의 구조는 FE-SEM과 XRD 분석기로 알아보았다. 환경오염물질로 유기염료인 indigo carmine을 선택하여 관찰한결과, 아나타제 구조를 갖는 quinacridone이 첨가된 분말을 합성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분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형광염료 도핑이 적색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luorescent Dye Doping on Efficiency of R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이정구;임기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8-24
    • /
    • 2008
  •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저전력 구동, 자체발광, 넓은 시야각, 우수한 고해상도, 풀 칼라, 높은 재현성, 빠른 응답속도, 간편한 제조 공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고성능 디스플레이로서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소자의 저소비전력, 제조공정의 안정성, 대형 기판기술, 봉지 기술, 소자의 수명, 풀 컬러화를 위한 적색, 청색, 발광 소자의 고휘도등이 시급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상용화를 위한 키(key)이다. 이를 위해서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 개선과 새로운 유기 물질 적용을 통해 구동전압을 낮춤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ITO/TPD/Znq2+DCJTB/Znq2/Al의 구조와 ITO/CuPc/NPB/Alq3+DCJTB/Alq3/Al의 구조를 가지는소자의 발광 층에 형광염료를 도포한 적색 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그 전기적 및 광학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포화흡수체 $Cr^{4+}:YAG$와 유기염료 박막의 포화특성 분석 (The saturating property of $Cr^{4+}:YAG$and dye film as the saturable absorber)

  • 최영수;전용근;김재기
    • 한국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8-102
    • /
    • 2001
  • 포화흡수체$Cr^{4+}:YAG$와 유기염료 박막을 사용한 $1.06{\mu}m$ Nd:YAG 공진기에서 수동 큐스위칭 동작시 나타나는 포화흡수체의 포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상모드와 수동 큐스위칭 레이저의 문턱에너지 차이로 광손실을 측정하여 큐스위칭 동작에서 나타나는 포화흡수체의 포화투과도와 불포화 기저상태 밀도수를 분석하였다.

  • PDF

융합 바이오 이미징을 위한 염료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형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Dye-doped Silica Nanoparticles for Integrated Bio Imaging)

  • 김기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5-50
    • /
    • 2018
  •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DNA 마이크로 에레이와 같은 바이오 라벨링 및 바이오 이미징에 활용되고 있으며, 높은 생체 적합성과 낮은 독성 및 높은 친수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기능성 나노소재이다. 본 논문에서는 형광 유기염료를 에탄올과 탈이온수에 각각 용해시킨 후 형광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도핑 시키는 방법으로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365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형광 염료를 물리적으로 흡착시킨 실리카 나노입자보다 화학적으로 형광 염료를 도핑 시킨 실리카 나노입자의 형광특성이 우수하였으며, 도핑 된 형광 염료의 양이 많을수록 형광특성이 우수하였다. 형광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의 경우, 에탄올이 탈이온수와 비교하여 탁월한 형광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순수한 형광 염료와 형광 염료가 도핑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광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광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형광염료가 최적으로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바이오 이미징 에이전트로 사용한다면 높은 광안정성과 형광특성으로 인하여 인체 내부의 생체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장 파장 대 태양광을 흡수하는 염료감응형태양전지에 대한 염료와 합성 (Synthesis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Long Wavelength Absorption Dyes for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 김상아;윤주영;김재홍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9.2-89.2
    • /
    • 2010
  •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is a device for the conversion of visible light into electricity, based on the sensitization of wide bandgap semiconductors. The performance of the cell mainly depends on a dye used as sensitizer. The absorption spectrum of the dye and the anchorage of the dye to the surface of $TiO_2$ are important parameters determining the efficiency of the cell. Generally, transition metal coordination compounds(ruthenium polypyridyl complexes) are used as the effective sensitizers, due to their intense charge-transfer absorption in the whole visible range and highly efficient metal-to ligand charge transfer. However, ruthenium polypyridyl complexes contain a heavy metal, which is undesirable from point of view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Moreover, the process to synthesize the complexes is complicated and costly. Alternatively, organic dyes can be used for the same purpose with an acceptable efficiency. The advantages of organic dyes include their availability and low cost. We designed and synthesized a series of organic sensitizers containing long wavelength absorption-chromophores for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The DSSC composed of Blue-chromophores for the sensitization absorbed long wavelength region which is different also applied into the dye-cocktail (mixing) system. The photovoltaic property of DSSCs organic long wavelength absorption-chromophore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at of individual chromophores.

  • PDF

신규 유기염료를 적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거동 (Synthesis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novel ionic dyes for the dye-sensitized solar cells)

  • 정미란;이정관;김상아;김재홍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0.2-120.2
    • /
    • 2011
  • The improvement of solar energy-to-electricity conversion efficiency has continued to be an important research area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The mechanism of DSSCs is based on the injection of electrons from the photoexcited dye into the conduction band of nanocrystalline TiO2 or ZnO. Thus, the electronic structures, such as HOMO, LUMO, and HOMO-LUMO band gaps of dye moleculed in DSSC are deeply related to the electron transfer by photoexcitation and redox potential. Organic dyes, because of their many advantages, such as high molar extinction coefficients, convenience of customized molecular design for desired photophysical and photochemical properties, inexpensiveness with no transition metals contained, and environment-friendliness, are suitable as photosensitizers for DSSC. We believe that practically useful organic dye photosensitizers can be produced by exploiting electron donor/acceptor system with proper length of ${\pi}$-conjugation in a chromophore to control the absorption wavelength and enhanc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nd synthesized organic dyes also investigated the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 series of ionic dyes in DSSCs.

  • PDF

NIR 흡수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Synthesis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NIR Absorption Dyes for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 김상아;정미란;이민경;김재홍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8.1-118.1
    • /
    • 2011
  •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is a device for the conversion of visible light into electricity, based on the sensitization of wide bandgap semiconductors. The performance of the cell mainly depends on a dye used as sensitizer. The absorption spectrum of the dye and the anchorage of the dye to the surface of TiO2 are important parameters determining the efficiency of the cell. Generally, transition metal coordination compounds(ruthenium polypyridyl complexes) are used as the effective sensitizers, due to their intense charge-transfer absorption in the whole visible range and highly efficient metal-to ligand charge transfer. However, ruthenium polypyridyl complexes contain a heavy metal, which is undesirable from point of view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Moreover, the process to synthesize the complexes is complicated and costly. Alternatively, organic dyes can be used for the same purpose with an acceptable efficiency. The advantages of organic dyes include their availability and low cost. We designed and synthesized a series of organic sensitizers containing long wavelength absorption-chromophores for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The DSSC composed of Blue-chromophores for the sensitization absorbed long wavelength region which is different also applied into the dye-cocktail (mixing) system. The photovoltaic property of DSSCs organic long wavelength absorption-chromophore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at of individual chromophores.

  • PDF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의 채색 재료 특성 연구 -연광정연회도(練光亭宴會圖)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Welcome Feast for the Pyeongan Governor: Focusing on Banquet at Yeongwangjeong Pavilion)

  • 박진호;장연희;고수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109-13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기록화인 《평안감사향연도》 총 3점 중 <연광정연회도>를 분석하여 채색 재료를 규명했다. 포인트 위주의 분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우선 파장별 이미지를 촬영했다. 엑스선을 통해 먹, 금, 유·무기 안료를 분류했고, 적외선으로 먹과 구리계 안료를 파악했다. 초분광으로는 흑색, 청색, 녹색 재료 중에서 안료와 유기 염료를 구별해냈다. 색상별 선정 지점을 분석하여 백색(연백), 흑색(먹/쪽), 적색(연단+진사), 분홍색(염료), 자주색(염료), 갈색(산화철), 황색(석황/염료), 녹색(석록/석록+염료/쪽)과 청색(석청/연백+쪽/쪽), 자색(쪽+연지), 금색(금박) 등의 재료를 규명했다. 향후 파장별 라이브러리가 확보되면 더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물/극성유기용매 혼합욕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염색 (Dyeing Property of Polyester in Byebath Containing Water and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s)

  • 김은아;유효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7
    • /
    • 1998
  • Polyester filaments were dyed with disperse dye in dyebath containing water and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s . acetone, 1,4-dioxane, DMF. In case of Acetone and 1,4-dioxane, the equilibrium dyeuptake was maximun at the volume fraction 0.05. The equilibrium dye uptakes were decreased as volun~e fraction of organic solvents were increased. When the volume fractions of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s were varied, dye uptake was increased constantly with dyeing time. In dyebath containing water and water miscible organicsolvent, the dyeuptake was increased quickly during initial 40∼ 60 min. and slowly increased there after. The slope of Ct/Coo to t was greater in dyebath containing water and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s than dyebath containing water. The differences of the slope with volulne fractions of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 were not shown bi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