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염료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금 나노막대와 유기 염료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의 광학특성 연구 (A Study on Opt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 Composed of Au Nanorods and Organic Dyes)

  • 김기세;유성일;손병혁
    • 청정기술
    • /
    • 제20권2호
    • /
    • pp.141-1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립다층박막을 활용하여 금 나노막대와 유기염료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형성과 나노막대-염료간의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온성 고분자로는 폴리아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폴리스티렌 술폰산염을 선택하였으며, 나노막대와의 스펙트럼 중첩을 고려하여 유기염료는 로다민 비 이소디오시아네이트를 사용하였다. 자기조립적인 관점에서는 수용액상에서 이들 화합물을 순차적으로 금 나노막대 표면에 코팅시킴으로써 표면 플라즈몬 특성과 형광특성을 동시에 갖는 조립체를 형성하였으며, 그 후 금 나노막대를 화학적으로 제거 해나가면서 나노막대-염료간의 상호의존 특성을 연구하였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위한 무금속 유기염료의 합성 (Synthesis of Metal-free Organic Dy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 Pattarith, K.;Pungwiwat, N.;Laosooksathit, S.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79-282
    • /
    • 2011
  • 염료감을 태양전지(DSSC)는 대체에너지 집적제로서 낮은 생산단가로 고에너지 전환 효과를 볼 수 있다. 친환경적이며 효과가 큰 무금속 염료감응제의 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유기 감광제로 6,6'-(1,2,5-oxadiazole-3,4-diyl)dipyridine-2,4-dicarboxylic acid(3A)을 합성하였다. 이 감광제를 사용하여 광전환효율(${\eta}$)이 1.00%를 달성함을 발견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루테늄착물(N719)은 4.02%의 광전환효율을 나타내었다.

페노시아진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고효율 염료합성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Organic Photosensitizers for Application of Dye Sensitized Solar Cells)

  • 양현식;신소연;김연지;김재홍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9.2-119.2
    • /
    • 2011
  •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 are currently attracting wide spread academic and commercial interest for the conversion of sunlight into electricity because of their easy manufacturing process and high efficiency. The solar energy conversion efficiencies of DSSC are strongly dependent on dye molecules adsorbed on the TiO2 surface which used for photosensitization of sun light, since an excited state of dye could inject an electron into the conduction band of semiconductor. We have developed novel organic dyes which have phenothiazine moieties as an electron donor in their charge-transfer chromophore for application of DSSCs. We had synthesized a series of phenothiazine derivatives which have different wave length absorbing chromophore in the molecule with high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SSC composed of organic chromophores with broad wavelength absorption property were measured and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at of pristine ruthenium dye.

  • PDF

Ormosil에 침투된 Rhodamine 6G Perchlorate의 이중합체의 검출 (Detection of Dimer of Rhodamine 6G Perchlorate Doped in Ormosil)

  • 김구대;이동아;문지웅;박경수
    • 분석과학
    • /
    • 제10권3호
    • /
    • pp.225-229
    • /
    • 1997
  •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organically modified silicate(Ormosil)에 Rhodamine 6G perchlorate(Rh6GP)를 침투시켰으며, 이 유기염료가 무기/유기 복합 기저체(host)에 안정하게 침투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복합졸의 상태에서 측정된 유기염료의 흡수스펙트럼과 겔화된 후의 스펙트럼, 그리고 복합체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의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Rh6GP가 이합체화되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있을 수 있는 Ormosil의 조성을 확립하였다. 졸겔반응시의 촉매로 사용된 염산의 농도가 Tetraethyl orthosilicate(TEOS) 1몰을 기준으로 0.1몰 이내의 범위에서만 유기염료가 안정하고 이합체화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었다.

  • PDF

Nb2O5-Graphene나노복합체의 제조 및 유기염료 광촉매 분해반응의 응용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Nb2O5-Graphene Nano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i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Dyes)

  • 박해수;고원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4호
    • /
    • pp.330-335
    • /
    • 2014
  • Niobium pentoxide ($Nb_2O_5$) 나노입자는 niobium (V) chloride 와 pluronic F108NF를 전구체와 주형제로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Nb_2O_5$-graphene나노복합체는 아르곤 가스 분위기 전기로 조건에서 2시간 동안 $700^{\circ}C$로 가열하였다. 시료의 결정화도, 결정형태, 광촉매 분해 반응성은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UV-vis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b_2O_5$-graphene나노복합체는 254 nm의 자외선 조건에서 유기염료 광촉매 분해 반응의 광촉매로 사용되었다. 유기염료는 methylene blue (MB), methyl orange (MO), rhodamine B (RhB), brilliant green (BG)이 사용되었다. 또한 $Nb_2O_5$-graphene나노복합체를 사용하여 유기염료 광촉매 분해 반응의 반응 속도를 결정하였다.

비스-카바졸 유기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 (Organic Sensitizers based on Bis-carbazol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김효정;변여진;남정은;김대환;강진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7-399
    • /
    • 2012
  •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for renewable energy systems in recent years. Among these, organic dyes which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large absorption coefficients, customized molecular design for desired photophysical and photochemical properties, inexpensiveness and environment-friendliness, are suitable as photosensitizers for DSSCs. We have studied on the design and synthesis of two organic dyes (BECZ 1 and BECZ 2) with a 9-ethyl-9H-carbazole cor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Two organic dyes comprised of two 9-ethyl-9H-carbazole moiety as electron-donor, two types of cyanoacrylic acid moiety acting as acceptor. In addition, n-ethyl unit introduced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and the donating power. The obtained organic dyes were comprehensively characterized by NMR, GC-MS, FAB-MS and UV/Vis spectroscopies. DSSCs sensitized by the dyes BECZ1 and BECZ2 produced ${\eta}$ value 3.31% and a ${\eta}$ value 3.21%.

  • PDF

입상점토광물에 대한 염료폐수의 흡착 (Adsorption Behavior of Organic Dye on Granular Clay)

  • 이택혁;윤국중;김선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5-50
    • /
    • 2003
  • 점토광물은 첨단소재용 원료로서 석유, 펄프, 비료, 점결제와 페인트 등 사용분야가 다양한 광물이며, 이러한 천연 점토광물을 비교적 간단하게 처리하여 체내에 농축되면 독성과 피해를 일으키는 염료 폐수의 흡착처리 및 흡착 메커니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기염료를 흡착처리하기 위한 입상 점토광물제조의 최적조선은 굽기온도 $700^{\circ}C$이며, 점결제인 polyvinyl alcohol 의 량은 25% 이었다. 제조된 입상 점토광물의 pH는 중성이었고 산성 메디움에서의 안정한 pH의 범위는 3~9 사이였고, 비표면적은 $83m^2/g$ 이였다. 제조된 입상점토광물에 대한 유기염료의 흡착량은 산성 메디움에서 좋은 흡착결과를 보였고, 이때 흡착엔탈피는 -3.36~ -0.84 kcal/mol 로 전형적인 물리흡착임을 나타내었다.

  • PDF

천연산 점토광물을 이용한 폐-유기 염료 제거 (The Removal of Organic Dye Waste using Natural Clay Minerals)

  • 박중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21-327
    • /
    • 2006
  • M78과 일본산 KJ, 2개의 점토를 사용하여 계면활성제 CTMA(M-1, KJ-1), DSDMA(M-2, KJ-2) 그리고 TMSA(M-3, KJ-3)를 이용하여 변성된 점토광물을 합성하였다. 이러한 변성된 점토광물을 사용하여 염색 폐수의 주원인인 염료 중의 하나이며 대구 염색 공단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염료인 acid blue 92와 acid red 1의 흡착 제거 실험을 통해 M-1, M-3, KJ-1 KJ-3의 경우 아주 좋은 흡착능력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점토 M과 KJ의 거의 0%에 가까운 흡착능력과 아주 좋은 비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1과 KJ-3의 경우에는 이러한 염료 제거율이 거의 100%에 근접해 이러한 변성 점토가 실제 염색공단에서 배출되는 유해성 잔류 유기 염료 성분의 제거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겠다.

유기염료의 기저체로 사용된 세라믹/고분자 복합체의 미세구조변화가 광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structural Change on the Optical Property of Ormosil Embedded Organic Molecules)

  • 김구대;이동아;김재동;박지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365-1372
    • /
    • 1996
  • 투광성이 좋고 dimer의 형성이 억제되는 유기염료의 기저체를 얻기 위해 Ormosil(organically modified silicate)제조시에 출발물질 및 촉매의 조성을 변화시켰으며 이 각각의 조성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가 광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광학적 응용이 가능한 Ormosil의 TEOS/PDMS 비는 90/10이었으며 겔의 미세구조 변화는 HCI/TEOS의 비를 조절하여 달성하였다. 이 HCI/TEOS의 비가 증가될수록 그 복합체의 기공은 커졌으며, 기공률은 증가되었다. 또한 이 비의 증가에 따라 투광성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특성변화를 가지는 기저체에 염료인 Rhodamice 6G perchlorate(Rh6Gp)를 첨가하면 HCI/TEOS의 비가 증가할수록 monomer에 대한 dimer 피크의 강도가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