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발광 다이오드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1초

금속배선/은나노와이어를 활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 정성훈;안원민;김도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8-158
    • /
    • 2016
  • 최근 유연정보전자소자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개발 동향에 맞춰 정보전자소자의 각 소재를 유연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 ITO 기반의 기존 투명전극은 투명전극으로써는 매우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유연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대체 투명전극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래핀, 전도성 고분자, Oxide/metal/oxide, 금속나노와이어 등 다양한 유연 투명전극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ITO 급의 면저항/투과도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은나노와이어는 ITO 대체로 주목받는 투명전극 중에 면저항/투과도가 가장 ITO에 유사하면서, 유연성까지 지니고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약 100 nm 직경의 1차원 나노와이어가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별로 균일성에 대한 이슈가 존재하고, 표면 조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ITO ~ 1 nm, AgNW > 20 nm) OLED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대면적 OLED에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저항이 높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은나노와이어의 높은 저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 급의 미세금속배선을 보조배선으로 도입하였다. 이러한 보조배선을 통해 대면적 소자에도 전류가 잘 흐를 수 있고, 이러한 전류가 은 나노와이어를 통해 소자 전면적에 균일하게 도달하여, 대면적에서 균일한 발광을 하게 된다. 본 은나노와이어/금속보조배선 구조는 면저항 4 ohm/sqr., 투과도 90%를 달성하였고 이는 기존 ITO보다 우수한 수치이다. 더욱이, 유연성까지 함께 확보하고 있어 유연 전극으로써의 활용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를 활용해 OLED를 제작한 결과 밝기와 발광균일도가 기존의 ITO를 활용한 것보다 훨씬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EH-PPV 농도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기$\centerdot$ 광학적 특성

  • 공수철;백인재;유재혁;임현승;장호정;장영철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 /
    • pp.142-146
    • /
    • 2005
  • 패턴화된 ITO (indium tin oxide)/Glass 기판 위에 정공수송층인 PEDOT:PSS [poly(3,4-o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lnate)]와 발광층인 MEH-PPV [poly(2-methoxy-5-(2-ethyhexoxy)-1,4phenylenvinylene)]를 사용하여 ITO/PEDOT:PSS/MEH-PPV/AI 구조를 갖는 고분자 유기 발광다이오드 (polymer light emitting diode: PLED)를 제작하였다. PLED 제작시 MEH-PPV 의 농도를 ($0.1\;wt\%\;{\~}\;0.9\;wt\%$) 변수로 하여 박막의 표면 거칠기와 박막 층의 마찰재수(friction coefficient) 측정을 통하여 농도에 따른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MEH-PP 의 농도를 $0.1\;wt\%$ 에서 $0.9\;wt\%$ 로 증가함에 따라 발광 층의 RMS (root mean square)같은 1.72 nm 에서 1.00 nm 로 감소하여 거칠기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박막간의 마찰계수는 0.048 에서 0.035 로 감소하여 박막간의 접합상태가 나빠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소자의 전기, 광학적 특성의 경우 MEH-PPV 농도가 $0.5\;{\~}\;0.9\;wt\%$ 범위에서 약 0.35 mA (at 9V)의 전류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최대 휘도는 $0.5\;wt\%$ 농도에서 $409\;cd/m^2$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유기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유기발광체의 최근 동향 (Recent Progress on Organic Emitter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s)

  • 정효철;이하윤;강석우;안병관;육경수;박영일;김범진;박종욱
    • 공업화학
    • /
    • 제27권5호
    • /
    • pp.455-466
    • /
    • 2016
  •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학문 및 산업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OLED는 이미 휴대폰과 TV분야에서 상업화에 성공하고 있으며, 조명분야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어왔던 백열등, 형광등과는 다르게 면발광, 대면적, 초경량, 초박형, 유연성의 특징은 물론 낮은 에너지 사용 등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OLED)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형광 및 인광 발광 재료들을 소개한다. 이렇게 선행 연구된 물질들을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앞으로 새로운 발광 재료를 연구, 개발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형광염료 도핑이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luorescent Dye Doping on Efficiency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이정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1-305
    • /
    • 2008
  •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저전력 구동, 자체발광, 넓은 시야각, 우수한 고해상도, 풀 칼라, 높은 재현성, 빠른 응답속도, 간편한 제조 공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고성능 디스플레이로서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소자의 저소비전력, 제조공정의 안정성, 대형 기판기술, 봉지 기술, 소자의 수명, 풀 컬러화를 위한 적색, 청색, 발광소자의 고휘도 등이 시급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상용화를 위한 키(key) 이다. 이를 위해서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 개선과 새로운 유기 물질 적용을 통해 구동전압을 낮춤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ITO/TPD/Znq2+DCJTB/Znq2/Al의 구조와 ITO/CuPc/N PB/Alq3+DCJTB/Alq3/Al의 구조를 가지는 소자의 발광층에 형광염료를 도포한 적색 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그 전기적 및 광학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PLI를 이용한 OLED 드라이버 IC의 기능 검증 방법 (Functional verification method of OLED driver IC using PLI)

  • 김정학;김석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6호
    • /
    • pp.83-8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 IC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PLI(Programing Language Interface)를 이용한 검증방법을 제안한다. 기능 검증을 하기 위하여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시뮬레이터와 PLI,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이미지 뷰어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 IC의 기능 검증 방법을 이용 할 경우 종래의 기능 검증 방법을 이용 할 때 보다 40배의 실행 시간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IC의 설계 단계에서 기능 검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전기발광고분자의 양자효율 측정 (Determination of photo- and electroluminescence quantum efficiency of semiconducting polymers)

  • 이광희;박성흠;김진영;진영읍;서홍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8-133
    • /
    • 2002
  •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고분자 발광다이오드의 개발에 있어서, 발광고분자의 Photoluminescence(PL)와 Electroluminescence (EL) 양자효율 측정은 소자의 성능개선 연구 등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잘 알려진 발광고분자인 Poly(2-methoxy-5(-(2-ethyl-hexyloxy)- 1,4-phenylenevinylene) (MEH- PPV)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적분구 측정법을 이용하여 이의 P교라 EL 양자효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진이 개발한 MEH-PPV의 PL 양자효율은 8$\pm$2%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는 ~9%의 결과에 거의 접근함을 보였다. 한편, 이 물질을 이용하여 고분자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한 결과, 이의 EL양자효율은 0.02 1m/W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발광고분자의 양자효율 측정법은 국내의 유기발광소자 연구에 큰 기여를 하리라 기대된다.

고 투과, 저 저항 Ge-doped $In_2O_3$ (IGO) 투명 전극의 특성 평가 연구

  • 강신비;김한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2-19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co-sputtering 방법으로 성장시킨 고이동도를 갖는Ge-doped $In_2O_3$In2O3 (IGO)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유기태양전지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적용함으로써 고이동도 IGO 투명전극의 소자 적용가능성을 타진하였다. GeO2 타겟에 인가되는 도핑 Power와 급속열처리 온도가 30 W, $500^{\circ}C$일 때, 최적화 된 IGO 박막으로부터 $2.8{\times}10^{-4}$ Ohm-cm의 낮은 비저항과 86.9% (550 nm)의 높은 투과도를 확보하였다. 뿐만 아니라 Near Infra-red (750~1,200 nm) 영역에서의 IGO투명전극의 광투과율이 결정질의 ITO보다 높은(약15%) 투과도를 보이는 것을 통해 IGO박막의 높은 LAS (Lewis Acid Strength) 값을 가지는 Ge 원소의 도핑이 NIR 영역의 광투과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 조건의 IGO 박막을 적용하여 Fill Factor 67.38%,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8.43 mA/cm2, open circuit voltage 0.60 V, efficiency 3.44%의 유기태양전지 및 19.24%의 외부양자효율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함으로써 결정질 ITO 전극(20.05%)을 대체할 수 있는 고투과, 고이동도 IGO 투명 전극 및 이를 이용한 광전소자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 PDF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가속 수명 시험에 관한 연구 (Life Estimation of Organic Light Emission Diode by Accelerated Test)

  • 최영태;조재립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1-66
    • /
    • 2010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has been developed fast from 1963 when electric light emitting phenomenon was discovered. PMOLED(passive matrix OLED) is producted earlier than AMOLED(active matrix OLED). PMOLED is mainly mounted at sub display, but AMOLED is mounted at main display. Nowadays AMOLED is expanded to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s), navigation and TV market. Even thought OLED's market is opening to many applications, OLED's life is worried until now. If we know about OLED's real life, we need time to test so much time over 20,000hrs. Realistically, there is difficult to test such as long time with products from the information-technology sector having a short life cycle. In this paper, we study about OLED's accelerated test to reduce life test by current. We can design OLED's accelerated life model by the result of test. The model consists of design variables like ratio of light emitting, organic material structure, condition of aging, etc. In conclusion,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study about organic material, machine and manufacturing process etc, and also it's possible to develop a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 & materials, so we need to study on the subject of this paper continuously.

사이클 화학 기상 증착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다층 무기 박막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박막 봉지

  • 이준혁;민석기;한영기;안재석;최범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97.2-397.2
    • /
    • 2014
  •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의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할 기술적 문제 중하나는 장수명이다. OLED에 적용된 유기물 층은 수분과 산소에 취약하여 소자 수명을 단축하는 요소로 작용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물을 보호하며, 유기물 내로 침투되는 수분과 산소를 제어하기 위한 보호 층의 증착이 필수적이다.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 화학 기상 증착법(C-CVD)을 이용하여 SiN/SiCN/SiN 구조의 무기 박막을 증착하여 유기물 보호층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때 각층의 두께는 각 각 10 nm이다. 증착된 다층 무기 박막은 비정질 상으로 수분 침투 보호막으로서 적당하다. 다층 무기 박막의 수분에 대한 저항성은 칼슘을 이용한 투과도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칼슘을 이용한 투과도 측정을 위해 고분자 PEN 필름위에 칼슘을 60nm 두께로 증착 시키고, 이어서 무기물인 SiN/SiCN/SiN의 다층 박막을 확산 방지층으로 증착 하였다. 제작된 소자는 온도 $85^{\circ}C$, 상대습도 85%의 가혹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표면 변화 및 투과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SiN/SiCN/SiN 구조를 갖는 무기 박막 층의 투습도는 3000시간까지는 $3.2{\times}10-5g/m/day$를 유지하였다. 이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위한 요구 조건에 근접한 값이다. 그러나 투습도는 측정 시간이 6000시간이 지난 후에 급격 증가하는데 이것은 30nm 두께의 SiN/SiCN/SiN의 확산 방지층에 임계 수명이 존재 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 할 수 있다. C-CVD 기술에 의해 제조된 다층 무기 박막 보호 층의 경계면에서 각 층간의 intermixing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무기물 층의 결함과 핀 홀을 통해 내부로 확산 되는 수분의 침투 경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 결과는 유연 기판 상에 제작된 OLED 소자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서 소자 수명의 연장 뿐만 아니라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다.

  • PDF

저일함수 금속 아세트산 화합물 층을 사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기발광 특성 향상 (Effects of Low Workfunction Metal Acetate Layers on the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김만수;류근채;김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5호
    • /
    • pp.634-639
    • /
    • 2013
  •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아세트산금속(Macetate, M: Li, Na, K, Cs)을 cathode underlayer 소재로 사용하고 이들이 소자의 전자주입 및 발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 nm 두께의 M-acetate 층을 cathode underlayer로 사용한 경우 Cs-acetate를 사용한 소자를 제외한 모든 소자에서 기존의 LiF 전자주입층을 사용한 소자보다 효율적인 전자주입 및 향상된 발광특성을 보였으며, M-acetate에 포함된 금속의 일함수가 작을수록 높은 전류밀도와 우수한 발광특성을 보였다. 또한, cathode underlayer의 두께가 소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용된 M-acetate의 분자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두께(Li-acetate 0.7 nm, Cs-acetate 2.0 nm)에서 최적의 발광특성을 보였으며 기존의 LiF 층을 사용한 소자에 비하여 동일 인가전압에서 전류효율이 약 60%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