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농가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18초

발효퇴비 시용이 토마토의 생육 , 수량 및 토양중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ed Animal Manure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es and Changes of Soil Nutrients)

  • 전대우;구자형;이영복;이종석;문창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4-259
    • /
    • 1998
  • 농가에서 실행되고 있는 유기농업의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돈분, 또는 돈분과 계분을 혼합하여 만든 발효퇴비를 10a 당 3, 6, 12ton씩 시비하고 다시 미생물제를 처리한 후 토마토의 생육, 수량 및 토양 중 양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토마토 초장은 퇴비 시용구에서 관행구에 비하여 길었으며 엽폭은 관행구에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관행구에서 계속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퇴비 시용량의 차이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차이는 정식 45일 후부터 아주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미생물제를 사용하여 충분히 발효시킨 경우 12ton/10a의 시용에서 토마토의 수량이 관행구의 50-60%에 불과하였으나, 재배도중 추비하였을 경우에는 6ton/10a 시용구에서 관행구의 82%정도에 달하는 수량을 얻었다. 3. 일차 발효된 퇴비의 시용 후에 미생물제의 토양 살포는 질소성분의 빠른 유실을 초래하였으며 토양중 미생물의 밀도를 상당히 높혀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과실의 색깔은 모든 퇴비 시용구에서 관행구에 비하여 붉은 색이 선명하게 나타났으며, 당도와 산도는 퇴비 시용량이 많은 12ton/10a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도는 관행구에서 유기물 시용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5. 퇴비 시용구에서 $NO_3-N$$NH_4-N$의 함량은 시용 직후에는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나 급속히 감속되어 4-5주 후부터 아주 미량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인산,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함량은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축분자원화물의 총량관리지침 배출구조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MDL run-off pathway coefficients for livestock resources)

  • 한기봉;이영신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3호
    • /
    • pp.99-10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축분자원화물의 총량관리지침에 의한 배출구조계수[(${\beta}4$), (${\beta}5$), (${\beta}8$)]를 산정하고자 축산농가 및 축분처리 현장시설을 방문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처리장 및 개별처리장에서의 폐수개별 삭감량 계수(${\beta}4$)는 수질분석항목인 BOD, COD, SS, T-N, T-P, TOC에 대하여 공공처리장은 0.94-0.75의 범위로 산정되었고, 개별처리장은 0.99-0.83의 범위로 산정되어 개별처리장이 더 높게 산정되었다. 폐수처리 농지환원량 계수(${\beta}_5$)의 경우 공공처리장이 0.40-0.24, 개별처리장이 0.75-0.16의 범위로 나타나 다른 처리방법보다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SS와 T-P의 경우는 개별처리에 의한 농지환원율이 공공처리에 의한 환원율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공공처리량 계수(${\beta}_8$)를 산정한 결과 공공처리장에서의 축분자원화물의 처리는 T-P의 경우 공공처리량 계수(${\beta}_8$)의 평균치가 0.75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90%이상의 처리율을 보이며 0.2이하를 나타내는 처리장이 있는 등 처리장별로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에 대한 비티플러스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BtPlus against two mosquitoes, Aedes koreicus and Culex vagans)

  • 김용균;사자디안 민우;샤비르 아메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1-54
    • /
    • 2020
  • 안동지역 농가 주변의 정수에서 두 종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들이 한국숲모기(Aedes koreicus)와 줄다리집모기(Culex vagans)로 각각 동정되었다. 또한, DNA 바코드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들 모기류 유충에 대해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BtI)가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유사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에 비해 우수하였다. 한편 곤충의 면역억제를 유발하여 B. thuringiensis의 병원력을 높인다고 알려진 Xenorhabdus 세균류의 배양액을 BtI에 첨가하여 이들 모기류에 대한 살충력 증가 효과 유무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3 종류의 Xenorhabdus 세균배양액 가운데 X. ehlersii (Xe)의 배양액이 비교적 다른 세균배양액에 비해 두 종의 모기류에 대해서 BtI의 살충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Xe 세균배양액으로부터 유기용매 추출물의 생물활성을 분석한 결과 모기의 혈구 활착행동을 뚜렷이 억제시키는 면역억제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BtI와 Xe의 두 세균을 혼합한 비티플러스 미생물제제가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의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혐기성 소화에 대한 식종원 및 암모니아 농도의 영향 (Effects of Seed Sources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on Anaerobic Digestion)

  • 김양지;김성일;신범식;안기섭;김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04
  • 혐기성 소화에서 미생물에 저해/독성 물질로 알려진 암모니아의 농도와 식종원에 따른 영향을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식종원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에 장기간 적응된 축산농가 축산폐수 집수조의 슬러지 그리고 저농도의 암모니아에 노출된 하수종말처리장 혐기성 소화조 슬러지를 사용하였다. 식종원에 상관없이 암모니아는 TAN 1,500 mg-N/L에서 COD 제거율과 biogas 발생량으로 측정된 혐기성 미생물의 활성에 저해영향을 주기 시작하여 3,500 mg-N/L에서는 더욱 심하였다. 암모니아 저해 농도 범위에서 휘발성 유기산의 농도는 50 mg/L 범위로 유지되므로 메탄생성균 뿐만 아니라 산생성균도 저해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폐수 집수조 슬러지로 식종된 경우 암모니아 농도 TAN으로 $2,500{\sim}3,500\;mg-N/L$ 범위에서도 COD 제거율과 biogas 발생량의 감소폭은 미미하였으나 하수종말처리장 혐기성 소화조 슬러지로 식종된 경우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할수록 COD 제거율과 biogas 발생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암모니아에 장기간 순응된 슬러지로 식종한 경우 암모니아의 저해 농도에 대하여 적응도 빨랐으며 저해영향도 적었다.

버섯산업 발전을 위한 개선과제의 우선순위 분석 (Identification of issues and requirements for prioritizing the development of the mushroom industry in Korea)

  • 염윤미;김동환;윤병삼;김선웅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5-260
    • /
    • 2019
  • 본 연구는 버섯산업의 현황 및 개선과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적용하여 개선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버섯산업의 4개 부문 내 11개 개선과제를 선정하고, 버섯산업 관련 전문가 32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AHP 분석결과 버섯산업의 부문별 우선순위는 수출·마케팅부문이 1위, 가공부문이 2위, 유통부문이 3위, 그리고 생산부문이 4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개선과제에서는 품질 및 가격 경쟁력 강화가 1위, 다양한 제품 개발에 대한 지원 확대가 2위, 그리고 버섯의 국내가격 안정이 3위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한편 신선도 유지를 위한 포장재 개선, 재배시설 현대화, 저장비·물류비 지원 확대 등은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AHP분석에서 1순위로 나타난 '품질 및 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국내 연구기관의 연구개발(R&D)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생산농가들도 버섯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 참여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 선호 조사를 통해 기능성 버섯 품종 개발 등 다양한 품종의 개발 및 생산이 필요하다. AHP분석에서 2순위로 나타난 '다양한 제품 개발에 대한 지원 확대'를 위해서는 국내외 소비자의 특성에 맞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트렌드(trend)를 반영한 신상품 및 기존 제품에 대한 품질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수출국별로 버섯의 레시피(recipe) 개발 등 가공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AHP분석에서 3순위로 나타난 '국내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생산단계에서 버섯 출하를 조절할 수 있는 출하조절기구를 만들어 시기별, 품목별 생산량을 조정하여 과잉생산으로 인한 가격 하락을 막아야 한다. 또한 버섯이 과잉 생산될 경우 국내 물량을 신속하게 해외로 수출함으로써 국내 가격에 영향이 없도록 출하와 수출 간의 긴밀한 협력도 필요하다. 버섯산업의 종합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부문별로 나누어 어느 한 부문만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는 어렵다. 버섯의 생산, 가공, 유통, 수출·마케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부문의 집중적인 개선 및 지원도 필요하지만, 산업 전반을 거시적으로 파악하여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양곡생산(糧穀生産)의 동적(動的) 모델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YSTEM DYNAMICS MODEL OF FOOD GRAIN PRODUCTION IN KOREA)

  • 이동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8권1호
    • /
    • pp.61-69
    • /
    • 1983
  • 식량(食糧) 곡물(穀物)의 안정적(安定的) 생산(生産)은 국가적(國家的)으로 큰 비중(比重)을 차지하는 문제(問題)로서 식량생산계획(食糧生産計劃) 수립(樹立)과 정책결정(政策決定)을 위해서는 향후(向後)의 식량생산(食糧生産)에 영향(影響)을 미칠 제요인(諸要因)들의 유기적(有機的)인 관계(關係)와 시간(時間)에 따른 변이(變異)를 감안(勘案)한 '동적(動的)인 고찰(考察)'이 필요(必要)하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식량생산(食糧生産)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제요인(諸要因) 즉 농촌인구(農村人口), 경작규모(耕作規模), 농업투자(農業投資), 연구(硏究) 및 기술개발투자(技術開發投資), 농업기술수준(農業技術水準), 농가소득(農家所得), 인구동향(人口動向), 기후변이(氣候變異)등을 고려(考慮)하여 식량생산동향(食糧生産動向)을 예측(豫測)하기 위한 system dynamic model을 작성(作成)하였고 이를 통(通)하여 2008년(年)까지의 동향(動向)을 추정(推定)하였다. 향후인구(向後人口), GNP, 기술수준(技術水準)등은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증가(增加) 할것이나 경작면적(耕作面積)은 농촌인구(農村人口)의 유출증가(流出增加) 추세(趨勢)에 따라 점점 감소(減少)할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또한 농재인구(農材人口)는 농촌인구(農村人口) 유출(流出), 유입(流入)의 지표(指標)로 삼은 Income Ratio의 변이(變異)에 따라 본(本) Simulation Model의 기준년도(基準年度)인 1978년(年)부터 1983년(年)까지는 감소추세(減少趨勢)를 보이다가 이후(以後)부터 2006년경(年傾)까지는 증가(增加) 추세(趨勢)를 보일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식량생산량(食糧生産量)은 경작면적(耕作面積)의 감소율증가(減少率增加)에도 불구(不拘)하고 기술수준(技術水準)이 향상(向上)됨에 따라 변화(變化)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기후(氣候)의 변이(變異)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게 될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따라서 식량(食糧)의 절대량(絶對量) 확보(確保)를 위해서는 경작면적(耕作面積)의 확대(擴大), 농업기계화(農業機械化)를 통(通)한 부족노동력(不足勞動力)의 대체(代替), 농업기술(農業技術)의 연구(硏究) 개발(開發)과 기상변이(氣象變異)에 대처(對處)하기 위한 용수(用水) 및 관개시설(灌漑施設)의 확충(擴充)등 지속적(持續的)이며 장기적(長期的)인 대책(對策)이 강구(講究)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부산 김해평야 농업지역 친환경농업의 행위자-연결망 연구 (Actor's Role and Networks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in Busan Metropolitan Agricultural Region)

  • 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6-296
    • /
    • 2003
  • 이 연구는 부산 김해평야 농업지역의 친환경농업에서 관련 행위자(actors)들이 어떠한 역할을 부여받으며 연결망을 형성하는가를 연구하고,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s-Network Theory)이 우리나라 농촌 연구에서 지니는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인구지역에서 친환경 농업은 18농가만 수용하고 있어 수도권 등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미약하다. 친환경농업과 관련하여 형성되고, 또한 되어야 할 연결망들은 필수경로(OPP)의 형태에 의해 차단되거나 혹은 분산되어 있었고, 이 결과 지역내에서 연결망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었다. 통과되지 못한 첫 번째 필수경로는 자연(수질 토양 오염)과 부정적인 지역 이미지였다. 두 번째 필수경로는 신뢰도였으며 이 중 농민과 정부관련기관간 신뢰도 결여가 가장 큰 장애요소였다. 이외의 극복되지 못한 필수경로는 유통망 및 정보 결여였다. 연결망에서 이와 같은 필수 경로를 통과하지 못하면, 연구지역에서 친환경농업에서 농민들의 이탈은 가속화될 것으로 사료되며, 작목반도 가까운 시일내에 해체될 것으로 생각된다. 친환경농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부 예산 집행기간의 탄력성, 지역환경에 어울리는 농법 개발과 지역내 행위자들의 협의체 구성을 통한 연결망의 상설 가동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PDF

축산식품 중 벤지미다졸계 구충제 잔류실태 조사 (Determination of Benzimidazole Residues in Livestock Products)

  • 이경진;강영운;강은귀;김미란;반경녀;장영미;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15-520
    • /
    • 2010
  •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시험법은 고감도를 가지고 선택성이 뛰어난 LC/MS/MS를 이용하여 한번의 시료전처리와 분석을 통하여 축산식품 중 잔류하는 벤지미다졸계 구충제인 albendazole, fenbendazole, thiabendazole, flubendazole 및 oxibendazole 5종의 잔류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추출용매로 ethyl acetate를 사용하고 MCX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를 한 시험법으로 Codex guideline(20)에 따라 검량선의 직선성, 회수율, 검출한계 및 정량 한계 등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한 결과 검량선은 모두 0.999 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가졌으며 회수율은 albendazole 71-74%, fenbendazole 70-72%, thiabendazole 79-83%, flubendazole 79-83%, oxibendazole 81-86%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0.01 ppb, 0.03 ppb로 잔류허용기준이 가장 낮은 flubendazole의 10 ppb보다 100배 정도 더 좋은 감도를 가지고 있으며, 소의 근육, 간, 및 천엽에서 MSPD법으로 분석한 실험(21)과 정제과정 없이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LC/MS로 분석한 실험의 회수율(22)보다 본 연구의 시험법이 더 좋은 회수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확립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유통 중인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총 270건을 수거하여 잔류량을 모니터링 한 결과 경기, 충청, 전라, 경상 지역에서 수거한 돼지고기에서 fenbendazole이 0.0012-0.0031 mg/kg의 수치로 검출이 되었고, 그 검출률은 4.4%이었으나 잔류허용기준인 0.1 mg/kg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fenbendazole에 대한 노출량 평가 결과 JECFA에서 정하고 있는 ADI의 0.01%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축산 농가에서 축산물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하여 벤지미다졸계 구충제를 과다 사용하거나 안전 휴약기간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축산물의 체내에 잔류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인 잔류실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항생물질 발효 부산물이 수도 및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and Tomato Growth)

  • 임수길;양한철;김성복;권혁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56
    • /
    • 1984
  • Erythromycin 및 Rifamycin 두 종의 항생물질 발효 부산물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발효 부산물 자체의 이화학적 성질의 조사와 함께 경기도 벽제 소재 일반 농가의 논과 밭토양을 이용하여 수도 및 토마토를 표식작물로 하여 두 종 시험물질은 시용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생물질 발효균제 두 종은 모두 중성물짙($pH 6.8{\sim}7.4$)로서 다량의 유기물($21.6{\sim}24.2%$), 인산 ($2900{\sim}4600 ppm$) 및 치환성 염류($55.4{\sim}138.3meq/100g$)를 함유하였다. 2) 두 종의 항생물질 부산물은 일반토양 보다 높은 등전점($pH 7.0{\sim}8.0$)을 가짐과 동시에 양전하의 발달이 급격하여 음 ion의 흡착용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수도에 대한 두 종 항생물질 부산물의 시용효과는 삼요소 단용구 및 기타 유기질 비료의 시용효과와 대응하였으며 반당 40㎏ 시용에서 최대의 정조 수량을 나타내었다. 4) 토마토에 대한 두 종 항생물질 부산물의 시용효과도 수도에 대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 평균적으로 기타 비료 시용효과와 대등하였다. 5) 생육상황 중 수도는 식물체 초장, 건물중 및 유효 분얼 주당 수수, 그리고 토마토에 있어서는 묘목수장과 생체중이 각기 수량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들이 수량증가에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미생물 첨가에 의한 소규모 정체식 퇴비화 (Composting of Small Scale Static Pile by addition of Microorganism)

  • 장기운;유영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149-153
    • /
    • 2003
  • 본 연구는 소규모의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을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소규모 정체식 퇴비화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때 미생물을 첨가하여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의 대조구, 일반 Bacteria와 Lactobacillus을 처리한 BL구, BL구에 Photo.를 첨가한 BLP구 등 3개를 두었으며, 별도의 퇴비화 장치 없이 퇴적시킨 후 간헐적인 뒤집기를 실시하였다. 원료의 수분함량은 60% 정도였으며, 우분, 왕겨, 톱밥이 혼합되었다. 퇴비화 과정 중 온도는 3일 이내에 $60^{\circ}C$이상 상승하였으며, BLP와 BL구에서 Control구에 비해 초기 온도상승에 우세하였다. 원료의 초기 pH가 높아 퇴비화 과정중 pH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크지 않았으며, 약알카리성에 머물렀다. EC는 뇨와 분의 계속적인 배출로 축적되어 초기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퇴비화 과정중 5~10%의 상승을 보였다. C/N율의 감소는 BLP구에서 가장 높은 22.7%를 보였으며, BL과 Control구에서는 각각 19.2와 17.5%의 감소를 보였다. 식물독성평가에서는 BLP가 가장 짧은 시간에 안정되었으며, BL구와 Control구의 차이는 없었다. 소규모 축사농가에서 발생하는 축분의 처리는 적절한 뒤집기와 수분함량을 갖춘 소규모 정체식 퇴비화에 의해 가능하며, 미생물의 첨가는 초기 온도상승과 식물독성물질의 감소에 긍정적이었으나, 부숙도에 큰 영향은 미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