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 절개술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식도이완불능증의 복강경 수술 (A case report of Successful Laparascopic Myotomy for Achalasia)

  • 황성욱;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57-160
    • /
    • 2002
  •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의 수술은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절개술로써 개복술에 상응하는 성적을 거두고 있다. 최근에는 복강경을 이용한 식도근절개술과 위저부성형술을 통해 기존에 시행되던 흉강경을 사용한 식도근 절개술보다 환자의 만족도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이 증례에서는 풍선확장술로써 치유되지 않는 식도이완불능증을 가지고 있는 15세의 남자 환자에서 5개의 작은 절개창을 통한 복부내시경을 이용하여 식도근절제술과 위저부성형술을 시행하여 증상을 현저히 개선하고 방사선적, 임상적 객관적 치료효과를 성공적으로 치험하였다.

위 절개술 접근과 긴 겸자를 이용한 식도 내 이물 제거 5례 (Gastrotomy Approach Retrieval of Esophageal Foreign Body using Long Forceps Technique in Five Dogs)

  • 윤헌영;강명곤;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28-631
    • /
    • 2009
  • 이물 섭취 병력을 보이는 다섯 마리 개가 건국대학교 부속 동물병원과 한강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무기력, 식욕 감퇴, 구토 증상을 보였으며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심장 앞쪽 또는 뒤쪽 흉부 식도에 이물이 걸려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도의 조영 촬영에서 큰 이물에 의한 식도 팽창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흉강 내로의 조영제 누수는 관찰 되지 않았다. 위 절개술을 통한 식도 내 이물 제거를 긴 겸자를 이용하여 실시 하였다. 다섯 마리 모두에서 식도 내 이물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술 후 10일 또는 2년에 정기 검진이 마무리 되었으며 수술과 관련한 구토, 연하 곤란, 식욕 저하, 과다 유연과 같은 합병 증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식도천공 후 만기 일차 봉합술의 성적 (Delayed Primary Repair of Esophageal Rupture)

  • 김길동;정경영;김창수;박한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6-51
    • /
    • 1998
  • 식도 천공후 수술시까지 24시간이상이 경과된 환자의 치료법은 아직도 논란이 많다. 1990년이후 연세 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식도 천공후 24시간이상 경과된 환자 10예중 전예를 일차 봉합술로 치료 하였다. 그중 4명은 인위적인 천공 이었고, 3명은 자연성 천공, 2명은 이물의 연하, 나머지 한명은 외상이 원인 이었다. 식도 천공후 수술시까지 소요된 시간은 평균 116시간 이었고 중앙값은 48시간 이었다. 봉합방법은 천공된 점막부위의 위 아래로 정상 점막이 나올때까지 식도근 절개술을 시행한 후 염증이 있는 점막부위를 변연 절제한다. 식도의 원위부 폐쇄가 있을 경우 수술대에서 식도 확장술을 시행하고 점막과 근육층을 단층 혹은 층층 봉합한다. 봉합부위 위에 늑막이나 심낭 지방을 이용하여 봉합을 강화하였다. 수술 사망은 1예에서 수술후 33일째 발생 하였는데 사망원인은 위괘양의 합병증으로 위출혈이었다. 술후 5명의 환자에서 봉합부위의 유출이 있었지만 사망한 1예를 제외하고 모두 고식적 치료로 완치할 수 있었다. 식도 천공 환자에서 치료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비록 수술시까지 시간이 많이 지났다하더라도 천공의 원인이 양성이고 원위부 폐쇄가 교정될 수 있다면 일차 봉합과 적절한 배농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내시경과 Cerclage Wire를 이용한 식도내 낚시바늘 제거: 증례보고 (Endoscopic Retrieval of Esophageal Fishhooks Using Cerclage Wire: A Case Report)

  • 김영기;엄미영;서유진;하미현;왕지환;정인조;장홍희;이희천;조규완;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22-626
    • /
    • 2007
  • 1년 6개월령의 수컷 비글견이 3일간의 연하통증과 식욕부진으로 내원하였다. 환축은 병력청취와 방사선학적 검사결과 낚시바늘에 의한 식도와 위내 이물로 진단되었다. 위식도 내시경을 시행한 결과 하나의 낚시바늘은 흉부식도의 심장기저 부에 나머지 하나의 낚시바늘은 위 분문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두 낚시바늘은 하나의 낚싯줄로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연결된 낚싯줄을 끊고 위내 낚시바늘을 제거하기 위해 위 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위 절개술 후 식도내 바늘을 제거하기 위해 세 갈래, 다섯 갈래 내시경 포셉과 생검 포셉을 이용한 내시경적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낚시바늘이 식도의 점막에 깊게 박혀있어 견인에 실패하였다. 낚시바늘을 더욱 단단히 잡아줄 수 있는 장치를 위해 정형외과용 스테인리스 와이어(16G)를 올가미 포셉 형태로 제작한 뒤 내시경을 통한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바늘에 걸어 제거하는데 성공하였다. 시술 10일 후 환축은 회복되어 퇴원조치 되었다.

중 대 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 봉합술과 소 절개 봉합술의 비교 - 단기 추시 예비 결과 - (Comparison of Arthroscopic versus Mini Open Repair in Medium and Large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 Short Term Preliminary Results -)

  • 고상훈;조성도;류석우;박문수;곽창렬;우종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3-80
    • /
    • 2004
  • 목적: 중범위와 대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의 봉합술과 소절개 봉합술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중범위와 대범위의 전층 회전근 개 파열 3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절경 하 봉합술을 시행한 13예를 제 1군으로, 소절개 봉합술을 시행한 21예를 제 2군으로 하였다. 파열 크기는 1 cm에서 5 cm까지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범위; 12$\~$36)개월과 28(범위;12$\~$36)개월이었다. VAS (Visual Analogue Scale) 동통 점수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을 비교하였고, ADL (Activity of Dally Living) 일상 생활 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기능 평가는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A)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양 군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동통과 기능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VAS 동통 점수, ADL 일상 생활 지수, UCLA 점수,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중범위와 대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의 봉합술과 소절개 봉합술은 VAS, ADL, UCLA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 PDF

심방중격결손을 동반한 누두흉의 동시교정 (Simultaneous Repair of Pectus Excavatum an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 김재범;이광숙;이재훈;유영선;박창권;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84-786
    • /
    • 2001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에서는 심방중격결손증을 동반한 누두흉 환자를 동시 교정하였다. 수술은 앙와위에서 정중피부절개후 흉근판을 만들고 변형된 늑연골을 절제한후 흉골을 90$^{\circ}$로 세움으로써 개심술을 위한 시야를 확보하여 심방중격결손을 동시에 교정하였다. 술 후 2시간 뒤 인공호흡기를 제거하였으며, 환아는 합병증없이 회복되어 술 후 6일째 퇴원하였다.

  • PDF

오염된 토양, 지하수 및 쌀의 인체노출에 따른 비소의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Arsenic by Human Exposure of Contaminated Soil, Groundwater and Rice Grain)

  • 이진수;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5호
    • /
    • pp.535-54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광산 지역에서의 비소가 인체에 미치는 위해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동일, 옥동, 동정, 도곡 및 화천광산 주변 지역에서 광미, 토양, 농작물 및 지하수를 채취하여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폐금속광산 주변에 폐기된 광미내 비소 함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광미가 바람이나 강우에 의해 광미댐 하부에 있는 농경지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크므로 이들 토양, 농작물, 자연수 시료들에 대한 화학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인체위해성평가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폐금속광산 지역에서의 인체노출경로는 농사활동을 통한 토양의 섭취, 지하수(식수)의 섭취, 쌀의 섭취, 농사활동에 의한 토양의 피부접촉, 목욕에 의한 지하수의 피부접촉 등 5가지로 파악할 수 있었다. 각 노출경로별 비발암성위해도 평가 결과, 모든 광산에서 지하수를 식수로 섭취하는 노출경로와 쌀의 섭취를 통해 비소의 독성위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일광산과 옥동광산에서는 HI지수가 7.0 이상으로, 화천광산의 경우는 5.0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이들 지역 주민들의 비소의 독성위해성이 높았다. 비소에 대한 발암위해도 평가 결과, 동일광산, 옥동광산 및 화천광산 지역의 쌀 섭취의 노출경로를 통한 비소에 의해 암이 발생할 확률은 만명중의 5명에서 8명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지하수를 식수로 섭취하는 경우, 비소의 발암위해도도 이들 광산지역에서 만명중의 1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국 EPA에서 제시한 초과발암위해도보다도 크므로 이들 지역 주민들이 비소에 의해 오염된 농작물(쌀)이나 지하수를 식수로 지속적으로 장기간 섭취하게 된다면 비소가 건강에 미치는 위해영향이 크다고 판단된다.warfarin 용량 조절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대한 치료 순응도가 높아졌다. 후 동율동 전환율이나 좌심방 수축능 회복에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향후 대상환자들에 대한 중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pm1.6$일째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모든 도관의 개존율$(100\%=57/57)$을 확인하였다 수술 전 중재 술을 시행한 1개소에서는 중재술 부위의 재협착소견이 보여 수술 후 조영술시 재풍선확장술로 치료하였다. 수술 후 추적관찰(평균 $25\pm26$개월)동안 1예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생존한 환자 24예에서 술 후 평균 $9.6\pm3$개월째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이식도관이 string 징후를 보인 1예를 제외하고 모두 개존(56/57)되어 있었으며, 약물용출형 스탠트를 시행하기 이전의 12예의 중재술 중 2예에서 $50\%$ 이상의 스텐트 협착이 있었으나 흉통의 재발은 없었다. 결론: 하이브리드 관상동맥 우회 술은 수술위험도를 낮추기 위하여 최소절개 관상동맥우회술과 병합하여 시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택적 환자들에서는 정중 흉골절개 관상동맥우회술과 병합하여 수술관련 유병률을 낮추고 심근의 완전 재관류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호도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된다.비위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점수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의 기기설비위생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합계(p<0.01)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으며, 위생지식의 식중독 및 미생물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개인위생(p<0.01)과 유의적인